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명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도원수로, 한강을 지키고 있다가 왜적이 쳐들어오자 두려워 군기와 화포를 모두 물에 넣고 달아난다. 이후 도성을 회복하기 위해 일을 도모하던 중, 부원수 신각이 뒤를 좇지 않고 양주로 가 왜적을 쳐부수고 도성을 회복하려 하자, 나라에 장계를 올려 각의 명령 불복...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도원수로, 경성을 수비하다 진주성이 위험하자영남으로 내려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원(金命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응순(應順). 호는 주은(酒隱).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 팔도도원수로 참전하였는데, 임진강 전투에서 적을 막는 데는 실패했으나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는 데에는 성공했다. 직책상 한양을 수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가를 호송한다는...
    유형분류인물
  • 김명원(金命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명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3(성종 24)∼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회백(晦伯)|광평군(光平君)
  • 김명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하대 김명 등이 일으킨 반란.
  • 김명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3(철종 14)∼1926. 독립운동가.
  • 김명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의금부 도사로, 박팽년에게 왜 세조의 말을 듣지 않고 극형을당하느냐고 묻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0년(헌종 6)∼? 조선 말기의 문신.
  • 김명철(金命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2년 3월 동래부사(東萊府使) 김홍복(金洪福)이 재직할 때에 동래(東萊)에 사는 김명철(金命哲)과 장목포(長木浦)에 사는 김사룡(金士龍) 등이 장사를 하러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
    유형분류인물
  • 김명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송파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명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소청의 장인으로,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고 이남 일녀를 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1989. 판소리 고수.
    이칭별칭 일산(一山)
  • 김명환(金命煥)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명환(金命煥, 1913-1989)은 전남 곡성군 옥과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고이다. 호는 일산(一山)이다.(도판 1)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명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8(정조 12)∼1857(철종 ). 조선 후기의 서예가.
    이칭별칭 성원(性源)| 산천(山泉)
  • 김모로쇠(金毛老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울진(蔚珍) 사람. 김모로금. 김모로쇠는 1784년 허일성(許日成) 등 일행 11명과 함께 표류하여 나가토주(長門州) 다마에우라(玉江浦)에 표착하였는데 7월 표차왜 평행신(平行信)에 의해 조선으로 송환되었다. 당시 표차...
    유형분류인물
  • 김모진(金毛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남해(南海)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삼지수(三枝手)...
    유형분류인물
  • 김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기천의 아버지이다. 뛰어난 집안의 자손으로 30이 넘도록 자식이 없어걱정하던 중, 마침내 아들을 낳아 이름을 기천이라 짓고 소중하게 키운다. 아들 기천이 어려서부터 활달한 기질과 뛰어난 재주로 뭇사람들의 칭송을 듣자 매우 기뻐하던 중, 윤시랑부인의 주선으로 전임 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목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군수의 외사촌 형으로, 제주 목사로 있다가 올라오는 중에 이화가화초에 물을 주고 있는 모습을 보고, 뒤따르는 사람에게 누구인지 묻는다. 퇴기라는 말에수작을 걸려고 마음먹는다. 이화가 문을 닫자 놀라 이방에게 문을 열어 맞으라고 하지만, 오히려 화를 내며 묻을 더욱 닫...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목(金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제주(濟州)에 사는 김목(金目)과 막금(莫金) 형제가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히젠국(肥前國)에 이르렀다. 1444년 8월 히젠국 태수(太守)가 우단도로를 보내어 김목을 조선으로 돌려보냈으며, 이에 ...
    유형분류인물
  • 김몽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홍의 맏아들로 재주와 학행(學行)이 뛰어나고, 소흠의 손녀와 혼인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몽술(金夢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1655년 정사 조형(趙珩) ∙ 부사 유창(兪瑒) ∙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전악(典樂)으로서 부사 유창이 타고 간 제이선(第二船)에 배속...
    유형분류인물
  • 김몽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홍의 둘째아들로 천성이 순후하고 어려서부터 외가쪽의 조상을 받들어마씨부인의 사랑을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몽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7(명종 12)∼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숙무(叔武)| 옥봉(玉峰)
  • 김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의관(醫官).
  • 김무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94. 단소‧거문고의 명인.
  • 김무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장군.
  • 김무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귀족.
  • 김무분깃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9년(세종 11) 12월에 김무(金務)가 자신 소유의 노비를 나누어준 분재문서(分財文書).
  • 김무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0∼1966. 군인. 군번 18630.
  • 김무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당나라에 파견된 숙위학생.
  • 김무숙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종(成宗) 때 서울의 한량으로, 공부에는 뜻이 없고 풍류로 허송세월을 하며 가족을 돌보지 않는다. 평양 기생 의양에 대한 소문을 듣고 찾아가 백년가약맺기를 청하나 거절당한다. 그러나 김무숙이 돈쓰기와 노름을 일삼으며 가산을 탕진하니, 보다 못한 의양이, 무숙의 아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무숙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무숙이타령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무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눌지마립간 때 고구려에 질자로 간 복호(卜好)의 보좌관.
  • 김무응금(金無應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남해(南海)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영기수(令旗手)...
    유형분류인물
  • 김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1951. 독립운동가‧공산주의운동가.
  • 김무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학자.
  • 김무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당나라에 파견된 사신.
  • 김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48(세종 30).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윤보(潤甫)| 서헌(西軒)
  • 김문(金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문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말기의 관리.
  • 김문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1(순조 1)∼1863(철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노부(魯夫)| 충순(忠純)|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
  • 김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9(정종 1)∼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공(汝恭)| 백촌(白村)
  • 김문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 복위의 거사를 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1∼1956. 군인. 군번 128608.
  • 김문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3∼1989. 꽹과리 연주가.
  • 김문달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이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문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11(성덕왕 10). 신라 중대의 대신.
  • 김문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8(공민왕 7)∼1418(태종 18). 고려말 조선초의 무신.
  • 김문발(金文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고려말‧조선초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1386년 전라도원수를 따라 남원(南原)‧보성(寶城) 등지에서 왜구를 무찌른 공을 인정받아 돌산만호(突山萬戶)가 되었다. 1394년 3월 17일에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김빈길(金賓吉)‧만호 김윤검(金允劒)과 함께 왜...
    유형분류인물
  • 김문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선일이 늦게야 낳은 아들이다. 어렸을 때에 부모가 도적들에게 탈취되자 시녀인 옥련과 함께 온성(穩城) 땅의 베장수인 장문길에게 구원되어 그의 집에 의탁한다. 십여 년 후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유랑하던 중 하루는 산사에 이르러 노승[팽오]을 만나게 되어 글공부와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문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1957. 조선 말기의 의병.
    이칭별칭 석계(石溪)|익진(翼軫)
  • 김문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0∼1980. 섬유공학자.
  • 김문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언론인‧독립운동가.
  • 김문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4(영조 20)∼1811(순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재인(在人)
  • 김문식(金汶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문신. 1876년 제1차 수신사 김기수(金綺秀)가 파견되었을 때, 군관(軍官)으로 수행하였다. 신분은 판사(判事)였다. 예비(禮裨) 김문식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지방관의 막료인 비장(裨將)이었고, 예방(禮房) 소속의 군관이었다. 수신사가 처음...
    유형분류인물
  • 김문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14(충숙왕 1). 고려 후기의 척신.
    이칭별칭 영신(榮信)
  • 김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장군.
  • 김문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유신의 부하 장군이다. 유신의 계책대로 군사를 이끌고 청목성 주변에 매복해 있다가, 성 밖으로 도망 나온 패양후를 사로잡고, 고구려의 첩자인덕창을 생포한다. 백제의 계교로 탐라 등 연합군이 신라 당항성을 칠 때 유신의 명으로 당나라에 가 태종황제에게 백제 등에 조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65(문무왕 5). 신라 중대의 왕족.
    이칭별칭김문왕(金文汪)
  • 김문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춘추의 아들이다. 부친 춘추가 당나라에 원병을 청하러 갈때 보좌한다. 황제에게 원병의 약속을 받은 후 당에 머물며 일을 도모한다. 춘추가 왕위에오른 후 공자에 봉해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당나라에서 활동한 신라 유학생.
  • 김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문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6(헌종 12)∼?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성종(聖從)
  • 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 평론가.
    이칭별칭화돈(花豚)
  • 김문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승상의 아들이다. 첫째부인 성씨를 두고, 양광효의 맏딸 양봉화를 다시 재취로 맞는다. 성씨와 성태부인의 모함으로 귀양 가나, 성태부인이 성씨의 간악함을 고발하는 상소를 올려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8(우왕 14).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문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8(철종 9)∼?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부(元敷)
  • 김문호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필봉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문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라의 장수로, 백제가 망한 후 공신 18인에 들어 봉작과 상94) 이하는 43회본의 내용임. 을 받는다 사신이. 되어 예맥에 파견되어 신라로의 귀화를 유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문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 독립운동가.
  • 김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김정|김치
  • 김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시옹(時翁)
  • 김미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태의 딸이며 김학공의 여동생으로, 신승상의 아들과 혼인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미하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 사회주의운동가.
  • 김민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2(중종 37)∼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달부(達夫)
  • 김민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순조 때의 시인.
    이칭별칭 신여(愼汝)| 매월송풍(梅月松風), 매옹(梅翁)
  • 김민식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민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9(숙종 25)∼1766(영조 42).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사수(士修)| 우계(愚溪), 보가재(寶稼齋)
  • 김민종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통영오광대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무장.
  • 김민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78(숙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치중(致中)| 죽헌(竹軒)
  • 김민학(金敏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관(軍官). 1643년에 정사(正使) 윤순지(尹順之) ‧ 부사(副使) 조경(趙絅) ‧ 종사관(從事官) 신유(申濡)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갔을 때, 부사 조경의 군관으로서 전 현감(縣監) 홍우량(洪...
    유형분류인물
  • 김민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4(순조 24)∼1883(고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사인(士仁)| 용암(勇菴)
  • 김바우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이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박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사심보의 아버지의 친한 친구이자 장인‧김희제의 아버지이기도하다. 구천로와 조절보의 집에서 쫓겨난 심보의 딱한 처지를 동정하여 적극적으로 도울 것을약속한다. 곧 종에게 쌀과 돈 그리고 비단을 보내 주고 심보에게 글공부를 하라고 서책을챙겨주고 여자아이까지 부리라고 배려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학자.
    이칭별칭 사원(詞源)| 송정(松亭)
  • 김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0(선조 13)∼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일(士逸)| 허주(虛州)
  • 김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조의 뒤를 이어 대사헌이 된다. 장령 유석과 박계영을 파면시키라는 상소를 올린다. 또한 정온의 뛰어난 행동을 칭찬하며 온에게 죄를 내리니 벼슬을하기 어렵다며 자신을 파면시켜줄 것을 청한다. 뒤에 예전부터 계속 죄인을 두둔하다 배척을 당하니 자신을 파면시켜 줄 것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반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60(태종무열왕 7). 신라 중대의 장군.
  • 김반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흠순의 아들이다. 황산벌전투에서 아비 흠순이 나라에 대한 충을 말하자, 홀로 백제군에 들어가 싸우다 전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반의 아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란 때 강화로 적이 공격해 들어오자 절개를 지켜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밥에 여러 가지 속을 넣고 김으로 말아 싼 음식.
  • 김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
    정의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mbap | MR표기kimba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방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3(인조 1)∼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흥(士興)| 지촌(芝村)
  • 김방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12(강종 1)∼1300(충렬왕 26). 고려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본연(本然)| 충렬(忠烈)
  • 김방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화가.
  • 김방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6(고종 3)∼1895(고종 32). 조선 말기의 농민운동가.
  • 김방의고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9년(성종 20) 1월에 일어난 무고사건(誣告事件).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