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길진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 양화가.
  • 길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짝에 붙어 있는 긴 막대 모양의, 들쇠를 겸한 장식용 쇠붙이.
    정의문짝에 붙어 있는 긴 막대 모양의, 들쇠를 겸한 장식용 쇠붙이.[문화원형용어사전] | 문광부표기gilchae | MR표기kilc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승상의 조카이다. 황소저가 부모에게 사안과 혼인하기를 청하자 황승상의부탁으로 안에게 가서 혼인 의사를 묻고 다시 황승상에게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최승모(崔承謨)의 시문집.
  • 길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만의 우익장으로, 명나라에서 장군이 나오자 함께 맞서 싸우다가 주영의 공격을 받고 말에서 떨어진다. 명나라 본진으로 잡혀오자 명나라 대원수가 서경의 생사를 물으니, 처음에는 수천 리 해도 중에 갇혀 있었으나 지금은 성내 별궁에 있다고 말한다. 명나라 진영에서 풀려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후백제의 장수이다. 연산진 싸움에서 유검필에게 패해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9(명종 4)∼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가(士可)
  • 길흉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이 좋고 나쁨.
    정의운이 좋고 나쁨.[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lhyung | MR표기kirhy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라털과에 속하는 해조(海藻).
  • 김 번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원 관아의 군노사령으로 신임사또 변학도의 명령을 받고 춘향이를 잡으러 나갔다가 뇌물을 받고 그냥 돌아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 패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원 관아의 군노사령으로 신임사또 변학도의 명령을 받고 춘향이를 잡으러 나갔다가 뇌물을 받고 그냥 돌아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오히라메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의 김종필(金鍾泌, 1926- )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1910-1980) 일본외상 간의 대일청구권문제에 관한 비밀합의각서.
    정의한국의 김종필(金鍾泌, 1926- )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1910-1980) 일본외상 간의 대일청구권문제에 관한 비밀합의각서.[한국근현대사사전] | 문광부표기Kim-Ohira Memo | MR표기Kim-Ohira Mem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안동부사를 살해하고, 그 부인을 납치하여 겁탈하려 하나 실패한다. 양아들 효석에게 용문이라는 이름을 지어주나, 효석에게 죄상이 알려져 처벌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59(헌안왕 3). 신라시대의 도교가(道敎家)‧문장가.
    이칭별칭 사원(士元)| 일구당(一丘堂)
  • 김가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소싯적에 아들 김재현을 얻은 후로는 평생 홀로 지낸다. 세 번 금강산에 다녀 왔어도 한 켤레의 신도 해어지지 않는다. 정양사의 한 노승과 함께 가부좌를 트는데, 어린 승려가 준 송화수(松花水)를 마시지 않고 도를 닦는다. 새벽에시냇가에 엉덩이를 드러내고 물에 앉아 있...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가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6(헌종 12)∼1922.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동농
  • 김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6(중종 31)∼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성(景惺)| 석천(石川)
  • 김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좌승상으로, 소인배의 모함을 입은 왕공렬을 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각(金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영동(永同). 자는 경성(景惺), 호는 석천(石川). 1567년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바로 부친상을 당한 이후로 과거 공부를 작파하고 고향인 경상도 상주(尙州)에 머물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상주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일본군...
    유형분류인물
  • 김각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옥향의 아버지이다. 문장과 풍채가 뛰어난 백운선을 옥향의 배우자로 점찍고 그를 급제시키려고 글제와 글을 미리 지어서 백손민에게 알린다. 이운선의시험지를 보고 자기가 이미 운선과 약속했던 글이었으므로 상지상으로 매긴다. 뜻밖에 이운선이 한림학사가 되자, 그제야 백운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4(고종 1)∼? 조선 말기의 문신.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6(인조 24)∼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직경(直卿)| 후재(厚齋)| 문경(文敬)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3(효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행(士行)| 죽봉(竹峯)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4(정조 18). 조선 후기 청나라의 조선인 문신.
    이칭별칭 가정(可亭)
  • 김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원상이 벼슬에서 물러나며 고종에게 천거한 인물 중의 하나이다. 89) ‘번수’는 번을 드는 사령. 대궐 또는 지방 관아에서 번을 들으면서 밤새 지키는 사람.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간(金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건륭제(乾隆帝), 김삼보(金三保), 병자호란(丙子胡亂), 삼달리(三達理), 연행사(燕行使), 정묘호란(丁卯胡亂)
  • 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6(세조 12)∼1509(중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헌(子獻)| 일재(一齋), 선동(仙洞)| 문경(文敬)|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 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6(명종 2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허(仲虛)| 입택(笠澤)
  • 김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 복위의 거사를 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감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기술자.
  • 김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콩쥐의 아내이다. 전라 감사로, 벼슬이 종일품으로 가세가 부유하고 일가가 번성하였으나, 아들을 두지 못하고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홀로 살아간다. 이상한 일을 보면 자세히 알고자 하는 성격이 있어, 냇가에 떨어진 콩쥐의 신발을 발견하고유심히 조사한다. 콩쥐의 사연을 듣...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감(金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8(고종 25)∼?. 독립운동가.
  • 김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가야국 수로왕의 아들로, 가야진의 용왕이다. 아버지의 명령으로 가야진을 다스린 지 천년이 지나 낙신왕(洛神王)으로 불린다. 만랑자가 쓴 축문에나타난 애민정신(愛民精神)에 감동해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돕는다. 만랑자에게 혹심한 가뭄이 인륜도덕을 지키지 않는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갑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경란을 납치한 무뢰한이다. 한태식의 부탁을 듣고서는 그 여자를 직접 보아 괜찮으면 자신이 데려갈 마음을 품고 승낙한다. 경란을 보고 아름다움에 반해납치해 도망가다가 뒤따라온 태식에게 붙잡힌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1995. 법조인.
  • 김갑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갑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2∼1961. 기업가.
  • 김갑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4(공민왕 23).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갑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4∼1952. 군인. 군번 12966.
  • 김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치정(致精)| 우미(迂未), 우수(迂?)
  • 김강녕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통영오광대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강사와 티교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5년 《신동아(新東亞)》 1월호에 발표된 유진오(兪鎭午, 1906-1987)의 단편소설.
    정의1935년 《신동아(新東亞)》 1월호에 발표된 유진오(兪鎭午, 1906-1987)의 단편소설.[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Kim Gangsa wa Ti Gyosu | MR표기Kim Kangsa wa T’i Kyo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강사와티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진오(兪鎭午)가 지은 단편소설.
  • 김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5(태종 5)∼1484(성종 15).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선택(宣澤)| 평호(平胡)
  • 김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4(연산군 10)∼1569(선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방보(邦寶)| 독송정(獨松亭)
  • 김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2(선조 15)∼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숙(啓叔)
  • 김개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8(명종 3)∼1603(선조 3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공제(公濟)| 만취당(晩翠堂)
  • 김개금(金開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 창원(昌原)에 살던 사람이다. 1617년 정사 오윤겸(吳允謙)・부사 박재(朴榟)・종사관 이경직(李景稷)으로 하는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9월 20일 도모노우라(韜浦)에서 선박을 멈추고 있던 사행단을 찾아왔...
    유형분류인물
  • 김개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3(철종 4)∼1895(고종 32). 조선 말기의 동학농민운동가.
    이칭별칭 기선(箕先), 기범(箕範)
  • 김개동(金介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관.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진무(鎭撫). 1587년 2월, 왜구가 전라도의 손죽도(損竹島)에 침입했을 때 이언세(李彦世) 등과 함께 왜구에게 포로로 잡혀가서 중국의 남쪽 지방[南蕃國]으로 팔려갔다가 중국으로 도망쳐 조사를 받고 북경(北京)으로 ...
    유형분류인물
  • 김개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2(원종 13)∼1327(충숙왕 14).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구(元龜)|김서정
  • 김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3(인조 1). 조선 후기의 상궁.
  • 김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왕족.
    이칭별칭예원(禮元)
  • 김개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순부의 6촌 형이다. 김순부에게 편지를 받고 순부의 아버지를 급하게 다른 곳으로 피신을 시키려 하나, 순부의 재수가 병으로 죽어 부탁대로 하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거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63(의종 17).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김자표
  • 김거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38년(충숙왕 복위7)∼?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ㆍ문신.
  • 김거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고종 때의 판소리 명창.
  • 김거복(金巨福)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거복(金巨福)은 전북 부안군 줄포면에서 태어나 19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정확한 생몰연대는 알 수 없지만, 65세에 타계했다고 한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거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후기의 문인 김극기(金克己)의 문집.
    이칭별칭김한림집
  • 김거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0(의종 24). 고려 중기의 문신.
  • 김거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시대의 서예가.
  • 김거원(金巨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초기의 문신. 김거원(金巨原)은 일본회례사(日本回禮使)가 되어 승려 범명(梵明)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포로로 잡혀갔던 조선인 569명을 1394년 5월에 데리고 돌아왔다.
    유형분류인물
  • 김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9(명종 4)∼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공계(公啓)
  • 김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작가.
    이칭별칭창기(昌基)
  • 김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벼슬이 정자이다. 유유의 한 동리 출신으로 어렸을 적에 친히 지낸다. 조정에서 천유용으로 행세하던 인물이 유유인지 확인하기 위해 조사할 때 나아가 그가 진유(眞柳)임을 증언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건서(金健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군강(君剛). 『통문관지(通文館志)』를 편찬한 김지남(金指南)의 증손. 1771년 역과에 급제하였다. 왜학교회와 당상역관을 거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1779년 4월 당하역관이 되어 당상역관 이명화(...
    유형분류인물
  • 김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0(정조 14)∼1854(철종 5).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공립(公立)| 만회(晩悔)
  • 김건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1(정조 5)∼1841(헌종 7).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대중(大中)
  • 김검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헌의 혼령과 언쟁하던 역리의 혼령이다. 전생에 시랑 염흥방의 종 금이로, 시랑의 가희인 목환과 이화정에서 서로 사랑을 나눈 후 밀회를 거듭하며연애를 한다. 그러던 중 목환이 잉태하여 아들을 낳자, 흥방의 노여움을 사 태어난 아들과홍교(紅橋)에 버려진다. 현생에 김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견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이칭별칭 인로(仁老)
  • 김견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의주의 의병장으로, 용맹과 지략, 충의가 뛰어나다. 반란군 소식에허항과 의병을 일으켜 서림을 기습하고, 철산과 송림을 되찾는다. 군사를 이끌고 정주에 도착해 윤욱렬의 후원군이 되어 서문에 진을 친다. 산위에 임경업 장군의 사당이 있는 걸 알고 박천 군수와 상의해 제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견희(金見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1655년 정사 조형(趙珩) ∙ 부사 유창(兪瑒) ∙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종사관 남용익의 별파진(別破陣) 겸 군관(軍官)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유형분류인물
  • 김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5(우왕 1)∼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익보(益甫)| 평원(平原)
  • 김겸(金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익보(益甫). 1396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423년 1월에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내던 김겸(金謙)은, 회례사(回禮使)가 일본으로 갈 때 규정에 의거한 물건 외에 잡물(雜物)과 금물(禁物)을 숨겨서 일본으...
    유형분류인물
  • 김겸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9(세종 1)∼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위경(?卿)| 공안(恭安)
  • 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2∼1965. 양화가.
    이칭별칭김만두(金萬斗)
  • 김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목란의 남편이다. 전생 북두성으로 월궁항아에게 무례하게 군 죄로인간 세계에 김현의 아들로 태어난다. 어려서 정전의 딸 목란과 혼인하기로 약속한 후 15세가 되어 혼례식을 올리기 한 달 전에 원나라 몽고군이 쳐들어와 정국이 어지러워진다. 그러던 중 징집될 상황에 처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태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배선달과 함께 제주도로 간다. 방자와 배선달이 하는 내기를 듣고, 기생 애랑에게 분부하여 배선달을 혹하게 만든다. 속은 것을 알고 몸둘 바를 몰라 하는 배선달에게 옷을 내어주고 이 일로 애랑을 혐의하지 말고 그와 함께 잘지내라고 하며 타이른다. 배...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金卿)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배비장전(輩裨將傳)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경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9(정조 13)∼? 조선 후기의 의관‧화가.
    이칭별칭 미백(美伯)
  • 김경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9(명종 14)∼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의병.
    이칭별칭 이신(而信)| 대하재(大瑕齋)
  • 김경근(金景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이신(而信), 호는 대하재(大瑕齋). 1591년 장차 일본에 의해 난리가 일어날 것을 예견하여 방백(方伯)에게 글을 올려서 미리 산성을 수축하여 방비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민심을 동요시킨 죄로 몇 개월 동안 투옥되었다...
    유형분류인물
  • 김경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거문고 대가.
  • 김경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무신.
  • 김경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야로의 꿈에 나타난 인물이다. 무신 집안의 사람으로 임진왜란의 참혹한 정경에 붓을 내던지고 호방에 올라 두 고을을 관장한다. 왜군이 쫓겨나고 임금이 귀경하매 기뻐하나 왜군이 재침범하자 이복남과 함께 호령을 지키기 위해 성으로 들어간다. 왜군의 포위에 명나라의 구원병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로(金敬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남원(南原)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한 뒤 1587년 경성판관(鏡城判官)이 되어 두만강변의 야인을 소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해부사(金海府使)로서 경상도 관찰사(觀察使) 김수(金睟)의 휘하에서 군사의 규합, 군량조달...
    유형분류인물
  • 김경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역관.
    이칭별칭 수겸(守謙)| 소암(蘇巖)
  • 김경문(金慶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수겸(守謙), 호는 소암(蘇巖). 김지남(金指南)의 아들. 18세인 1690년 식년시 역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공은 한학(漢學)이다. 1708년에 사역원 당상역관이던 아버지 김지남과 함께 『통문관지(通文...
    유형분류인물
  • 김경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0(명종 5)∼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백수(伯綏)| 장의(壯毅)
  • 김경복(金慶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백수(伯綏). 1580년 무과에 급제하여 순변공(巡邊公)이 되었다. 함경도 쌍성(雙城)의 영인(寧仁)에 대대로 살았는데, 여러 차례에 걸쳐 국경을 침입해 오는 오랑캐와 맞서 싸워 전공을 세웠다. 1592년 임진왜란이 ...
    유형분류인물
  • 김경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장군.
  • 김경빈(金宗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경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4(명종 19)∼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성보(聖甫)| 양의(襄毅)
  • 김경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홍립의 휘하 장수이다. 강홍립과 중영(中營)이 되어 군사를 총지휘한다. 후금과의 전투 후에 누르하치의 아들 귀영가가 화의를 맺자고 제안하자 대표로 회의에 다녀오고, 강홍립에게 후금을 공격할 것을 주장하나 홍립은 반대한다. 후금에 투90) 작품 중반부에서는 ‘김선’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부원수. 후금을 치는데 조선 병사들을 이끌고 참전하나광해군의 밀지를 받은 강홍립과 함께 후금에 투항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