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격이나 말, 행동 따위가 보통 사람과 다른 별난 사람.
    정의성격이나 말, 행동 따위가 보통 사람과 다른 별난 사람.[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in | MR표기ki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사람을 보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인(其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공물주인(貢物主人), 공인(貢人), 공물(貢物) | 동의어공시탄인(供柴炭人), 공시탄자(供柴炭者), 공물공시목자(貢物供柴木者), 기인공물주인(其人貢物主人), 시탄공물주인(柴炭貢物主人), 시탄공인(柴炭貢人) 공조기인(工曹其人), 경역인(京役人), 기인공방(其人貢房) | 관련어기인가포(其人價布), 기인목(其人木), 기인역가(其人役價), 기인공가(其人貢價) 기인문기(其人文記), 시탄공물(柴炭貢物), 소목역(燒木役)
  • 기인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탄목납품인들이 조직한 계.
  • 기인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부에 땔나무와 숯을 납품하는 공인(貢人)으로서의 권리를 매매하는 문서.
  • 기인제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지방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토호세력의 자제를 인질로 서울에 머물러 있게 한 제도.
    정의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지방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토호세력의 자제를 인질로 서울에 머물러 있게 한 제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in jedo | MR표기kiin che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일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임성주(任聖周)가 모든 현상계의 존재원리와 그 현상의 다양성을 설명한 성리이론. 본래 기일분수란 이이(李珥)의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을 극복하기 위해 나온 이론이다.
  • 기일예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일날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행하는 예배
    정의기일날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행하는 예배 | 문광부표기giil yebae | MR표기kiil yeb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일원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에서 우주만물은 기(氣)에 의해 생성되고 존재한다는 본체론의 한 이론.
  • 기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경기도 관찰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문사‧잡지사‧통신사‧방송사 등의 언론기관에서 취재‧편집‧평론을 담당하는 사람.
  • 기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자조선의 건국자이다. 우리나라 평양에 도읍해 중화의 문화를 전파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은나라의 승상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주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차지하자 그의 신하가 되지않겠다고 하고 동쪽으로 달아나 평양에 와 군주가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치하는 방법에 대해 묻는 주무왕에게 홍범구주를 가르쳐 주고 그 덕으로 조선왕에 봉해진다. 왕위에 오르자 탕왕의 가르침에 따라 예법과 정치 제도를 행하고 팔조금법으로 백성들을 가르쳐 천년 사직의 기틀을 놓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당나라로 가는 김춘추의 꿈에 나타나 위험을 알려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들 낳기를 기원함. 또는 그런 풍속.
    정의아들 낳기를 기원함. 또는 그런 풍속.[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ja | MR표기kij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자감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을 이르는 말.
    정의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을 이르는 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ja gamsik | MR표기kija kam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자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씨 성 양반의 9촌 조카로, 오랫 동안 홀아비로 지내던 중에 숙부집에 의탁하고 있는 김씨부인의 소문을 듣고 찾아가 장가들기를 청하나 숙부의 꾸지람을 받고 쫓겨난다. 그러나 숙모 정씨와 여종을 꾀어 일을 도모한다. 김씨부인을 위로해 준다는구실로 술상을 차려 강제로 먹...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자동래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고대 은(殷)나라 사람 기자(箕子)가 동으로 와서 조선의 지배자가 되었다는 학설.
  • 기자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남도 평양시 기림리 에 있는 후대에 건립된 기자의 무덤.
  • 기자묘(箕子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기자릉(箕子陵), 기자묘(箕子廟), 기자사(箕子祠), 숭인전(崇仁殿)
  • 기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ㆍ조선 시대 기자(箕子)의 제향을 위해 평양에 세웠던 사당.
    이칭별칭숭인전(崇仁殿)|기자전(箕子殿)
  • 기자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식이 없는 부녀자가 자식을 낳기 위하여 기원하는 민간신앙의 한 형태.
  • 기자실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0년 이이(李珥, 1536-1584)가 편찬한 기자에 관한 책.
    정의1580년 이이(李珥, 1536-1584)가 편찬한 기자에 관한 책.[한국고중세사사전] | 문광부표기Gija silgi | MR표기Kija sil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자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자(箕子)의 영정을 모시고 제향하던 전각.
  • 기자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장헌(莊獻)
  • 기자전(箕子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자묘(箕子廟), 기자사(箕子祠) | 관련어숭인전(崇仁殿)
  • 기자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의 은나라가 멸망한 뒤 동래(東來)했다는 기자(箕子)가 평양에 설치했다는 정전(井田).
    이칭별칭기전
  • 기자조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나라가 망한 후 기자가 고조선에 망명하여 세웠다고 하는 나라
    정의은나라가 망한 후 기자가 고조선에 망명하여 세웠다고 하는 나라 | 문광부표기Gija Joseon | MR표기Kija Cho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0년(선조 13) 윤두수(尹斗壽)가 기자에 관한 기록을 모아 편찬한 책.
  • 기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9년(고종 16)에 정인기(鄭璘基) 등이 기자에 관한 사실ㆍ논평 등을 모아 엮은 책.
  • 기자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7(명종 17)∼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정(士靖)| 만전(晩全)
  • 기자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광해군의 폭정에 상소를 올려 간하다가 쫓겨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잔(義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 교토의 승려. 의산(義山). 도후쿠지(東福寺) 후지안(不二菴)의 승려인 교쿠레이 슈에이(玉嶺守英)의 도승(徒僧)이다.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南...
    유형분류인물
  • 기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
  • 기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 기장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아주 좋은 소식.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장 남산봉수(機張南山烽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부산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竹城里) 봉대산에 위치한 봉수. 남산봉수(南山烽燧). 봉수는 왜구의 침입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비롯하여 위급한 상황을 감영(監營)과 조정(朝廷)에 신속히 알리기 위해 설치된 군사통신시설이다. 기장 남산봉수는 고려 985년에 설치되었으...
    유형분류유적
  • 기장 아이봉수(機張阿爾烽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부산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봉대산 정상에 위치한 봉수. 아이포봉수(阿爾浦烽燧), 아시포봉수(阿示浦烽燧), 아소포봉화(阿厼浦烽火) 등으로 불렸다. 봉수는 왜구의 침입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비롯하여 위급한 상황을 감영(監營)과 조정(朝廷)에 신속히 알리기 위해 설...
    유형분류유적
  • 기장 죽성리 왜성(機張竹城里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 둘레 약 960m. 면적 38,253㎡. 현재 성문과 해자(垓字) 등의 시설이 남아 있다. 이 성은 1593년 한양에서 후퇴한 왜군이 서생포(西生浦)에서 동래‧김해‧웅천‧거제에 이르...
    유형분류유적
  • 기장(旗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치(旗幟) | 관련어의장(儀仗), 어기(御旗), 예기(睿旗), 친왕기(親王旗), 군기(軍旗), 황실(皇室), 궁내부(宮內府), 의정부(議政府), 원수부(元帥府), 표훈원(表勳院), 우정총국(郵政總局), 훈장(勳章), 여단기(旅團旗), 연대기(聯隊旗)
  • 기장군(부산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군.
  • 기장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에 편찬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읍지.
    이칭별칭경상남도기장군읍지(慶尙南道機張郡邑誌)
  • 기장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멥쌀에 기장쌀을 섞어 지은 밥.
  • 기장읍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군 동부리‧서부리‧대라리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
    연계항목기장읍성(機張邑成)
  • 기장이길봉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산 51-1번지에 있는 봉수대.
    연계항목기장이길봉수대(幾張爾吉烽燧臺)
  • 기장죽성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왜성(倭城).
    이칭별칭기장성(機張城)|두모포왜성(豆毛浦倭城)
  • 기장척화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비석.
    연계항목기장척화비(機張斥和碑)
  • 기장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 기장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양산시 기장면 교리에 있는 향교.
    연계항목기장향교(機張鄕校)
  • 기장현(機張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 차성(車城)
  • 기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4(철종 5)∼1921. 조선 말기의 학자.
    이칭별칭 입부(立夫)| 식재(植齋)
  • 기재기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3년(명종 8)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한문단편소설집.
  • 기재기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3년 신광한(申光漢, 1484-1555)이 지은 한문단편소설집.
    정의1553년 신광한(申光漢, 1484-1555)이 지은 한문단편소설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jae gii | MR표기Kijae ki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인 강유안(姜幼安)의 시문집.
  • 기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원상진(元尙鎭)의 시문집.
  • 기재잡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인조 때의 문신 박동량(朴東亮)이 야사류와 일기를 함께 편저한 책.
  • 기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문신 신광한(申光漢)의 시문집.
  • 기저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젖먹이 어린아이나 병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하여 샅에 채우는 헝겊.
  • 기적(妓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기생(妓生) | 동의어옥적(玉籍) | 관련어관기(官妓), 기녀(妓女), 기역(妓役), 악적(樂籍)
  • 기적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과거 보는 유생들을 위해 참고용으로 엮은 책.
  • 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시대의 관서.
    이칭별칭별금방
  • 기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일원을 부르던 칭호. 본래는 천자가 직접 다스리는 왕도(王都) 주위 사방 오백 리 이내의 지역을 말함.
    정의경기도 일원을 부르던 칭호. 본래는 천자가 직접 다스리는 왕도(王都) 주위 사방 오백 리 이내의 지역을 말함.[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gijeon | MR표기ki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전(紀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문체(文體) | 동의어기전체(紀傳體), 정사체(正史體) | 관련어편년체(編年體),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
  • 기전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0년(정조 14)에 이가환(李家煥)과 이의준(李義駿)이 몇 사람의 기전론(箕田論)을 모아 편집한 책.
  • 기전도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한백겸(韓百謙, 1552-1615)이 지은 도설로, 평양에서 기자(箕子, ?-?)가 시행했다는 정전제(井田制)의 흔적을 고찰한 것이 주 내용.
    정의조선시대에 한백겸(韓百謙, 1552-1615)이 지은 도설로, 평양에서 기자(箕子, ?-?)가 시행했다는 정전제(井田制)의 흔적을 고찰한 것이 주 내용.[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eon doseol | MR표기Kijŏn to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전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자(箕子)가 평양성(平壤城) 밖에 정전제도를 실시할 때 사용한 척도.
  • 기전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를 군주의 정치관련 기사인 본기(本紀)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인 열전(列傳), 통치제도ㆍ문물ㆍ경제ㆍ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쓴 지(志)와 연표(年表) 등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 기전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를 서술할 때 본기(本紀)‧열전(列傳)‧지(志) 등으로 구성하여 서술하는 역사 서술 체제.
    정의역사를 서술할 때 본기(本紀)‧열전(列傳)‧지(志) 등으로 구성하여 서술하는 역사 서술 체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jeonche | MR표기kijŏnch’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전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가야연맹의 하나인 반피국(伴跛國)의 귀족.
    이칭별칭고전해(古殿奚)
  • 기정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0(영조 6)∼1798(정조 22).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현경(見卿)| 낙암(樂庵)
  • 기정병(騎正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정기병(正騎兵) | 관련어정병(正兵), 정보병(正步兵)
  • 기정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원(元)나라 때 왕적(王適, ?-?)이 지은 산곡.
    정의중국 원(元)나라 때 왕적(王適, ?-?)이 지은 산곡.[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 jeongin | MR표기Ki chŏng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8년(정조 22)∼1879년(고종 16).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대중(大中)| 노사(蘆沙)| 문간(文簡)|금사
  • 기정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최정(崔挺)의 시문집.
    이칭별칭동원집
  • 기정팔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후천수(後天數:6, 7, 8, 9, 10의 다섯 가지 수.
  • 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람이 죽은 날, 즉 기일에 지내는 제사.
  • 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행본 《주역(周易)》 64괘 중 63번째 괘의 이름.
    정의현행본 《주역(周易)》 64괘 중 63번째 괘의 이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e | MR표기Ki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마다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에게 드리는 유교식 제사
    정의해마다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에게 드리는 유교식 제사 | 문광부표기gije | MR표기ki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제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역』 64괘 중 63번째 괘명.
  • 기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병조(兵曹)의 별칭.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보내신 문안 편지. '존(存)'은 보통 수령이 관할 지역 안에 있는 사람에게 보낸 편지를 가리킴.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잊지 않고 생각해줌’을 높여 이르는 말. 남이 자신을 생각해 줌을 높여 이르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잊지 않고 생각해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기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헌공의 부하이다. 문헌공의 명을 받아 문구몽을 꾀어내 해치려는구미호를 죽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지방관.
  • 기종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반야 오빠의 양아들이다. 반야를 찾아갔다가 우연히 식탁 밑에 떨어뜨린 밥풀을 뭉쳐 짐승 형용으로 만드는데, 이것이 쇠붙이를 집어 먹고 불가살이로자라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종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병자호란 때 파주 목사이다. 김류의 명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좌도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방월리 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 기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이미 경작되고 있는 토지[기경전 起耕田]의 전주. 이에 반해 경작되고 있지 않은 토지인 진전(陳田)의 전주를 ‘진주(陳主)’라 하였다.
  • 기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 기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염려해주심. 남이 자신을 염려해 줌을 높여 이르는 말. 금주(錦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주 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주원장이 군사를 일으켜 여러 성을 토벌하고 기주성에 이르러 항복을 요구하는 격서를 보낼 때 이를 전달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춘추관의 정ㆍ종5품 관직.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