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기주관(記注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겸직(兼職), 사관(史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 편수관(編修官) | 관련어규장각(奎章閣), 기거주(起居注), 기사관(記事官), 실록청(實錄廳),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藝文館)
  • 기주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
    이칭별칭증편
  • 기주떡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
    정의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jutteok | MR표기kijutt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주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정민병(鄭民秉)의 시문집.
  • 기주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주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의 장수로, 가달의 장수 통골과 싸우다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죽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박영휘(朴永徽)의 시문집.
  • 기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2(성종 23)∼1521(중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자경(子敬)| 복재(服齋), 양덕(陽德)| 문민(文愍)
  • 기준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4(선조 27)∼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붕만(鵬萬)|수격(秀格)
  • 기증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
    정의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jeungbyeong | MR표기kijŭngb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지로 돌아가거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52년 2월에 발표된 월북 작가 임화(林和, 1908-1953)의 시.
    정의1952년 2월에 발표된 월북 작가 임화(林和, 1908-1953)의 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i ro dora gageodeun | MR표기Kiji ro tora kagŏdŭ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지시줄다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기지시리에 전승되는 줄다리기.
    연계항목기지시줄다리기(機池市줄다리기)
  • 기지시줄다리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윤년이 드는 음력 3월 초에 하는 줄다리기.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윤년이 드는 음력 3월 초에 하는 줄다리기.[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jisi Juldarigi | MR표기Kijisi Chuldar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지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영(兵營)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서비스업 중심의 생활권을 형성하는 군사취락.
  • 기지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전쟁 이후 미군부대 주변에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군사 촌락.
    정의한국전쟁 이후 미군부대 주변에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군사 촌락.[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ichon | MR표기kijich’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지촌문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방 이후 미군부대 주변에 형성된 기지촌을 배경으로 한 문학.
    정의해방 이후 미군부대 주변에 형성된 기지촌을 배경으로 한 문학.[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ichon munhak | MR표기kijich’on mun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방의와 기옥호의 아버지이다. 사옹을 집으로 불러다 아들 방의와 사강백에게 글을 가르치도록 한다. 강백과 딸 옥호의 혼담을 추진하다가 사옹의 가족이 집으로 돌아가 흐지부지되고 만다. 얼마 후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에서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을 가리키는 용어.
    정의성리학에서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을 가리키는 용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il | MR표기kiji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병이 나아 일어남. 병으로 끝내 일어나지 못하고 죽었다는 뜻의 ‘불기질(不起疾)’이라는 말로도 많이 쓰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질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에서 선천적‧도덕적 본성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대비되어 일컫는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性).
  • 기질지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에서 선천적‧도덕적 본성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대비되어 일컫는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性).
    정의성리학에서 선천적‧도덕적 본성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대비되어 일컫는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性).[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il ji seong | MR표기kijil chi 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차길옆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윤석중(尹石重) 작사, 윤극영(尹克榮) 작곡의 동요.
  • 기차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린이들이 새끼줄을 이용하여 기차의 흉내를 내며 즐기는 놀이.
  • 『紀纂淵海』는 南宋 潘自牧(생몰년 미상)이 작성한 類書이다. 潘自牧은 慶元 2년(1196)에 進士가 되었으며 知府, 郡守 등을 지냈다. 『紀
    서명기찬연해(紀纂淵海) | 간행潘自牧, 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기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년복(朞年服: 1년 동안 입는 상복)을 입는 참상(慘喪). 참상은 자기보다 손아래 사람이 먼저 죽었을 때 쓰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술시험.
  • 기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군사들이 깃발을 꽃아 훈련에 사용한 창
    정의조선 후기에 군사들이 깃발을 꽃아 훈련에 사용한 창 | 문광부표기gichang | MR표기ki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과에서 말을 타고 달리면서 창을 쓰는 무예 시험
    정의무과에서 말을 타고 달리면서 창을 쓰는 무예 시험 | 문광부표기gichang | MR표기ki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창(旗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단창(短槍) | 관련어십팔반(十八般), 『기효신서(紀效新書)』, 『무기신식(武器新式)』
  • 기창(騎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6기 | 관련어삼갑창(三甲槍), 무과(武科), 취재(取才)
  • 기창교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술시험.
    정의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술시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chang gyojeon | MR표기kich’ang kyo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창지표(騎槍之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일상 생활 중의 안부. 기거(起居).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천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에 있는 서원.
  • 기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2년(순조 32)에 편찬된 경상북도 영풍군 풍기(지금의 영주시) 읍지.
  • 기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희웅(李熹熊)의 시문집.
  • 기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金鉦)의 시문집.
  • 기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6(공민왕 5). 고려 후기의 권신.
    이칭별칭빠엔부카
  • 기첩(妓妾)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생(妓妾), 축첩(蓄妾), 솔휵[率畜], 기생첩(妓生妾)
  • 기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교에서 서원(誓願)을 세워 부처님과 보살에게 가피를 청하는 불교의식.
    이칭별칭기서(起誓)
  • 기청불사(祈晴佛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소재법석(消災法席) | 동의어기청법회(祈晴法會), 기청도량[祈晴道場], 기양법석(祈禳法席)
  • 기청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마가 연일 계속되어 피해가 예상될 때 나라에서 비가 멎기를 빌던 제사.
    이칭별칭영제
  • 기청제(祈晴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잡사(雜祀), 소사(小祀) | 하위어문제(門祭), 사성문제(四城門祭), 사천상제(四川上祭) | 동의어영제(禜祭) | 관련어기우제(祈雨祭), 기우제등록(祈雨祭謄錄)
  • 기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안부. 상대방의 안부를 극진히 높여 이르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초공사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2년 11월 《신계단》에 발표된 이북명(李北鳴, 1910-?)의 단편소설.
    정의1932년 11월 《신계단》에 발표된 이북명(李北鳴, 1910-?)의 단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cho gongsajang | MR표기Kich’o kongsa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초생활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초생활권은 기본적 삶의 질이 보장될 수 있도록 나누어진 계획권역.
    이칭별칭정주생활권|1차생활권
  • 기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학자 장용한(張龍翰)의 시문집.
  • 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군사조직의 하부단위인 기(旗)의 장.
  • 기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정8품 서반 잡직(雜職)으로 하부 단위부대인 기(旗)의 통솔자.
    정의조선 후기의 정8품 서반 잡직(雜職)으로 하부 단위부대인 기(旗)의 통솔자.[관직명사전] | 문광부표기gichong | MR표기kich’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총(旗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속오법(束伍法), 파총(把摠), 초관(哨官), 대총(隊摠)
  • 기추(騎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마상무예(馬上武藝) | 하위어분종(分踪), 대등(對蹬), 말추(抹鞦) | 동의어기추(騎芻) | 관련어기사(騎射), 모구(毛毬), 삼갑사(三甲射), 갑을사(甲乙射)
  • 기축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으로 발생한 기축옥에서부터 1625년(인조 3) 이 옥사가 일단락될 때까지의 기록 및 문서를 편집한 책.
  • 기축록(己丑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축록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7년(효종 8)부터 1702년(숙종 28)까지 정개청(鄭介淸)을 제향하는 서원의 훼철과 복설을 반복한 기록을 모아놓은 책.
  •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연계항목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
  • 기축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으로 일어난 동인과 서인간의 정쟁.
  • 기축옥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9년 정여립(鄭汝立, 1546-1589)의 모반으로 일어난 동인과 서인 간의 정쟁.
    정의1589년 정여립(鄭汝立, 1546-1589)의 모반으로 일어난 동인과 서인 간의 정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chuk Oksa | MR표기Kich’uk O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정여립(鄭汝立), 정철(鄭澈), 동서분당(東西分黨), 동인(東人), 서인(西人), 남명학파(南冥學派), 화담학파(花潭學派), 퇴계학파(退溪學派)
  • 기춘현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죽부인(竹夫人)’을 의인화한 것이다. 관자허의 딸로서성격이 활달하고 외모 또한 뛰어나 기춘현부인에 봉해져 임금의 총애를 받는다. 임금이 싫증을 느끼고 또 피탕파(皮湯婆)의 투기로 인해 총애를 잃게 되자, 내쳐져 청노(靑奴)로 불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충격(祈充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충격(祁充格) | 관련어『명사(明史)』, 『태종실록(太宗實錄)』
  • 기측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최한기(崔漢綺)의 저서.
  • 기치에몬(吉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 왜관에서 근무한 사람. 길우위문(吉右衛門). 왜관에서 조선의 흙으로 도자기를 만드는 직인(職人)의 가옥을 지키는 차완가마야모리(茶椀竈屋守)였다. 기치에몬은 소통사에게 인삼 밀무역을 제안 받았는데, 그 소통사에게 술을 먹여 잠들게 한 후, 살해하여 ...
    유형분류인물
  • 기쿠나 히로유키(菊名啓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료. 국명계지(菊名啓之). 1881년 5월 24일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일행이 요코하마항(橫濱港) 세관을 방문했을 때 수세과장(受稅課長)으로 근무하였다. 조사시찰단 일행이 세관장 모토노 모리미치(本野盛亨)와 세관업무에 관해서 문답했을 때, 부관장 아...
    유형분류인물
  • 기쿠치 다케미쓰(菊池武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 국지무신(菊池武愼). 이름은 다케미쓰(武愼), 자는 하쿠슈(伯修), 호는 난요(南陽) ∙ 돗사이(訥齋), 별호는 난요엔(南陽園) ∙ 가류칸(臥龍館) ∙ 다라후쿠산인(多羅福山人). 에도 출신. 국지난요(菊池南陽)로도 알려져 있다. 하...
    유형분류인물
  • 기타 분효(北文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문표(北文彪). 단바(丹波) 출신.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기타 분효...
    유형분류인물
  • 기타가와 히로시(喜多川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리. 희다천광(喜多川廣). 1880년 7월 9일 제2차 김홍집(金弘集) 일행이 도쿄에 머물렀을 때, 미야모토 오가즈(宮本少一)가 수신사의 관소(館所)를 찾아가서 회담내용의 초안을 전달하였다. 그때 각성(各省)에서 사람을 보내서 문안을 하였는데, 기타가...
    유형분류인물
  • 기타가키 구니미치(北垣國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리. 북원국도(北垣國道). 호는 시즈야(靜屋). 돗토리번(鳥取藩) 향사(鄕士) 기타가키 사부로사에몬(北垣三郞左衛門)의 아들. 1871년 돗토리현(鳥取縣) 쇼산지(少參事)가 되었다. 고치(高知), 도쿠시마(德島) 현령(縣令)을 거쳐 1881년 교토부...
    유형분류인물
  • 기타무라 도쿠쇼(北村篤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유학자. 북촌독소(北村篤所). 이름은 가쇼(可昌), 자는 반페이(伴平), 호는 도쿠쇼(篤所), 통칭은 이헤에(伊兵衛). 오미(近江) 출신. 북촌가창(北村可昌)으로도 일컬어졌으며, 교토에서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에게 배웠다. 1696년 야마토(...
    유형분류인물
  •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北白川宮能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황족(皇族) 및 군인. 북백천궁능구(北白川宮能久). 아명은 미쓰노미야(滿宮).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伏見宮邦家) 친왕(親王)의 아들이며, 1858년 친왕이 되었다. 1870년 프로이센에 유학하여 병학(兵學)을 배웠다. 유학중이던 1872년 기타시라가...
    유형분류인물
  • 기타야마 고(北山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후기의 유의(儒醫). 북산호(北山皓). 자는 하쿠호(白甫). 통칭은 쇼조(昌藏). 가와치(河內) 출신. 가타야마 시치소(北山七僧)라고도 한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유형분류인물
  • 기타야마 세이슈(北山淸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 북산청주(北山淸洲). 오사카의 문인 도리야마 고켄(鳥山香軒)의 문하생이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
    유형분류인물
  • 기타야마 쇼(北山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후기의 유의(儒醫). 북산호(北山皓). 가타야마 시치소(北山七僧)라고도 한다. 자는 하쿠호(白甫). 통칭은 쇼조(昌藏). 가와치(河內) 출신.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다이인(北尾退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미퇴은(北尾退隱). 자는 시코(士耕), 호는 가이오(海翁). 기타오 모테쓰(北尾孟哲)의 부친.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도바이(北尾東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미동매(北尾東梅). 이름은 노부사다(信貞), 자는 다다이마(唯今).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부친.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도센(北尾道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북미도선(北尾道仙). 이름은 다다시(直), 자는 교호(行方). 미노(美濃) 출신.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아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란슈(北尾蘭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미난주(北尾蘭洲).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가 9월 19일 오사카 혼간지(本...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모테쓰(北尾孟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북미맹철(北尾孟哲). 성은 기타오(北尾), 이름은 모테쓰(孟哲), 자는 고메이(弘明, 公明), 호는 게카(華霞) ∙ 스이카(翠霞). 미노(美濃) 오가키(大垣)의 의관(醫官)이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슈카쓰(北尾周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미주극(北尾周克). 주극(周克)이 북극(北克)으로 되어 있는 곳도 있다. 자는 기레이(希禮), 호는 이치쿠(依竹). 기타오 슌린(北尾春倫)의 아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슌다쓰(北尾春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의원 겸 한시인(漢詩人). 북미춘달(北尾春達). 이름은 다카시(敬), 자는 기호(義方). 미노(美濃) 출신.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아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슌린(北尾春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북미춘륜(北尾春倫). 성은 기타오(北尾), 이름은 겐(權), 자는 주세이(中正) ∙ 시이(子彛), 호는 스이하쿠(翠栢). 미노(美濃) 출신.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차남. 교토에 가서 이토 슈케이(伊藤周敬)에게 의학을 배워 료가에...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슌이쓰(北尾春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의관(醫官) 겸 한시인(漢詩人). 북미춘을(北尾春乙). 이름은 다다시(貞), 자는 고추(虛中). 미노(美濃) 출신.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아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슌치쿠(北尾春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북미춘죽(北尾春竹). 이름은 다다시(忠), 자는 신기(信義). 미노(美濃) 출신. 기타오 슌포(北尾春圃)의 아들. 부친의 업을 계승하여 의술에 종사하였고, 글을 읽어 시문에 뛰어났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
    유형분류인물
  • 기타오 슌포(北尾春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유의(儒醫). 북미춘포(北尾春圃). 이름은 이쿠히토(育仁), 자는 슌포(春圃), 호는 쇼인(松隱) ∙ 도소안(當壯菴). 미노(美濃) 출신. 대대로 의술을 가업으로 한 기타오가(北尾家)의 후손으로 미노 요로초(養老町) 무로하라(室原)에서 태어나...
    유형분류인물
  • 기타자와 마사노부(北澤正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관료. 북택정성(北澤正誠).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숙소에 외무성(外務省) 고요가카리(御用掛)로 찾아가 그들과 필담하였으며, 『흥아회규칙(興亞會規則)』 2권을 조사시찰단에게 기증하였다. 외무성 기록에 의하면 당시 구라파아묵리가전수사국삼등수찬(...
    유형분류인물
  • 기타타니 도잔(北谷東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북곡동산(北谷東山). 성은 기타타니(北谷), 이름은 료초(良調), 자는 시테이(子鼎), 별호는 도잔(東山). 나니와(浪華, 오사카) 출신.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유형분류인물
  • 기탁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9(명종 9). 고려 중기의 무신.
  • 기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탄성을 자아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태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텐 에이코(鈞天永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임제종 승려. 균천영홍(鈞天永洪). 사행록에는 홍장로(洪長老)라 함. 교토에 있는 겐닌지(建仁寺) 주조인(十如院)의 제302대 주지(住持)이다. 1643년 3월부터 1644년 4월까지 이테이안(以酊菴)의 윤번승 제8번으로서 대조선 외교업무를 ...
    유형분류인물
  • 기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당나라 황제에 맞서던 도적의 우두머리이다. 당 황제가 기생 화월을데리고 연일 연회를 베풀며 향락에 빠지자 곳곳에서 도적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들의 우두머리가 된다. 도술에 능하며 강우자를 비롯한 열 명의 강호인들과 결의형제를 맺고 당나라를 치려 한다. 그러나 당나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 기패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관리로, 양순무의 서신을 장사지현에게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패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정의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paegwan | MR표기kip’ae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패관(旗牌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교련관(敎鍊官), 기효신서(紀效新書), 훈련도감(訓鍊都監), 『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 기패관(旗牌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각 군영에 두었던 하급무관. 임진왜란 이후에 설치되었다. 훈련도감(訓鍊都監)에 20명, 금위영(禁衛營)에 10명, 어영청(御營廳)에 11명, 총융청(摠戎廳)에 2명, 수어청(守禦廳)에 19명, 강화도 진무영(鎭武營)에 71명을 두었으나, 시기에 따라 인...
    유형분류제도
  • 기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심부름꾼을 보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굶어죽은 사람. 표(莩)는 표(.)와 같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타고난 기질과 성품.
    정의타고난 기질과 성품.[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pum | MR표기kip’u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품지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에서 선천적‧도덕적 본성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대비되어 일컫는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性).
    정의성리학에서 선천적‧도덕적 본성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대비되어 일컫는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性).[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pum ji seong | MR표기kip’um chi 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풍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던 제사
    정의나라에서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던 제사 | 문광부표기gipungje | MR표기kip’ung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