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기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털은 오색이고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으며, 사슴의 몸에 소의 꼬리, 말과 같은 발굽과 갈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상의 동물.
    정의털은 오색이고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으며, 사슴의 몸에 소의 꼬리, 말과 같은 발굽과 갈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상의 동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rin | MR표기kir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황해도 평산(平山)의 기린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 기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상의 신수(神獸)인 기린을 소재로 한 민화.
  • 기린도(麒麟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위어기린역(麒麟驛), 다만역(茶滿驛), 원산역(元山驛), 연양역(延陽驛), 진목역(眞木驛), 박산역(朴山驛), 문라역(文羅驛), 안산역(安山驛), 위라역(位羅驛), 소곶역(所串驛), 소평역(所坪驛), 신흥역(新興驛), 바곶이역[所串之驛], 신로역(新蘆驛), 달만역(達滿驛), 삼지역(三支驛) | 관련어청단도(靑丹道), 정역찰방(程驛察訪), 역승(驛丞), 역도(驛道), 절령도(岊嶺道), 금교도(金郊道)
  • 기린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안남도 양덕군 온천면과 함경남도 고원군 산곡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725m. 이 고개는 낭림산맥의 남단에 위치한 재령산(載靈山, 1,208m)과 조개덕산(造介德山, 1,075m) 사이의 안부(鞍部 :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우묵한 곳)이다.
  • 기린무늬 수막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상의 동물 기린을 소재로 한 문양이 그려진 수막새.
    정의상상의 동물 기린을 소재로 한 문양이 그려진 수막새.[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rin munui sumaksae | MR표기kirin munŭi sumaks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린무늬 암막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상의 동물 기린을 소재로 한 문양이 그려진 암막새.
    정의상상의 동물 기린을 소재로 한 문양이 그려진 암막새.[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rin munui ammaksae | MR표기kirin munŭi ammaks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린혈(麒麟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용혈수(龍血樹)의 열매에서 짜낸 나뭇진. 또는 붉은색의 수지(樹脂)인 기린갈(麒麟竭). 용혈수는 백합과의 상록 식물로, 높이는 20미터 정도이고 줄기에서 분비되는 수지(樹脂)는 착색제 등으로 쓰인다. 또 혈갈(血竭)이라고도 하는 기린갈은 타박상(打撲傷)으로 인한 ...
    유형분류물품도구
  • 기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함월산(含月山)에 있는 절.
  • 기림사(祇林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 동의어임정사(林井寺) | 관련어선종(禪宗), 함월산(含月山), 토함산(吐含山), 신문왕(神文王), 각유(覺猷), 기원정사(祇園精舍), 김시습(金時習), 초의의순(草衣意恂), 부호장선생안(府戶長先生案), 불국사(佛國寺)
  • 기림사건칠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
    연계항목기림사건칠보살좌상(祇林寺乾漆菩薩坐像)
  • 기림사대적광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연계항목기림사대적광전(祇林寺大寂廣殿)
  • 기림사비로자나불복장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 대적광전(大寂光殿)에 있는 비로자나불상 복장에서 나온 전적.
    연계항목기림사비로자나불복장전적(祇林寺毘盧舍那佛腹藏典籍)
  • 기림사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
    연계항목기림사삼층석탑(祇林寺三層石塔)
  • 기림사소조비로자나삼존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 대적광전(大寂光殿)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상.
    연계항목기림사소조비로자나삼존불상(祇林寺塑造毘盧舍那三尊佛像)
  • 기림사응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연계항목기림사응진전(祇林寺應眞殿)
  • 기림이사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10(기림이사금 13). 신라 제15대 왕.
    이칭별칭기림왕
  • 기마(騎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타고 다니는 데 쓰는 말. 역마(驛馬) 중 하나. 역마는 중요한 교통통신수단의 하나로서 군사정보 및 공문서의 전달이나 사신과 수령의 왕래에 따른 영송(迎送), 물자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기마(騎馬)는 크기나 등급에 따라 상기(上騎) ‧ 중기(中騎) ‧ 하...
    유형분류제도
  • 기마감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그린 그림.
    정의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그린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ma gamheung | MR표기Kima kamhŭ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마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문신 조태억(趙泰億, 1675-1728)이 그린 그림.
    정의조선 후기 문신 조태억(趙泰億, 1675-1728)이 그린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mado | MR표기Kima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마도(騎馬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711년 통신 정사 조태억(趙泰億)이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그린 그림. 견본담채(絹本淡彩)로 그려졌고, 크기는 47.5×28.0cm이며, 1폭(幅)으로 되어있다. 낙관(落款)에는 ‘조선국조대년보서(朝鮮國趙大年甫書)’라고 쓰여 있는데, '대년(大年)'은 1711년...
    유형분류작품
  • 기마도강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기의 화가‧정치가인 이제현(李齊賢)이 그린 산수인물화.
  • 기마도강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기의 화가‧정치가인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그린 산수인물화.
    정의고려 말기의 화가‧정치가인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그린 산수인물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ma dogangdo | MR표기Kima togang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마민족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대 한반도의 기마민족이 일본 열도에 진출해 초기 국가를 형성했다는 학설.
  • 기마인물형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주제로 하여 주로 신라ㆍ가야지역에서 제작된 삼국시대의 토기.
    연계항목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
  • 기마인물형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에서 출토된 가야시대의 토기.
  • 기마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삼국시대 백제에서 일본 궁중에 파견되었던 악사(樂師).
  • 기마차지두왜(騎馬次知頭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역마(驛馬) 중에서 타고 다니는 데 쓰는 말을 맡아 관리하는 두왜(頭倭). 두왜는 왜인의 책임자로, 정례의 외교사행은 아니나, 1609년 기유약조가 체결되기 이전에 일본이 파견한 사절의 우두머리를 통칭하는 말로 쓰이다가 1693년 이후 정례화하였다. 기마(騎馬)는 ...
    유형분류제도
  • 기마차지통사(騎馬次知通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역마(驛馬) 중에서 타고 다니는 데 쓰는 말을 맡아 관리하는 통사(通詞). 통사는 에도시대의 통번역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특히 조선어에 능숙한 사람이 왜관에 상주하거나 통신사 일행을 수행하였다. 기마(騎馬)는 크기나 등급에 따라 상기(上騎) ‧ 중기(中騎) ‧...
    유형분류제도
  • 기마타 사쿠베에(木俣作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목오작병위(木俣作兵衛). 마쓰다이라 무네토시(松平宗俊)의 가신.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
    유형분류인물
  • 기만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3(선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시가(時可)
  • 기만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병자호란 때 도사로서 강화에 들어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일인칭 겸사. ‘기(記)’는 서로 기억하는 사이라는 뜻, ‘말(末)’은 자기보다 아랫사람에 대하여 자신을 낮춘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14일.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16일.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대(期待).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맥(氣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맥(脈), 용(龍), 용맥(龍脈), 지맥(地脈)
  • 기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묘제례악 중「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두번째 곡으로 제일변(第一變).
  • 기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식품을 담는 기구. 명(皿)은 밥그릇으로, 반(盤)이나 바리 같은 따위를 지칭함. 광의(廣義)로는 수저나 술병도 포함됨.
    정의식품을 담는 기구. 명(皿)은 밥그릇으로, 반(盤)이나 바리 같은 따위를 지칭함. 광의(廣義)로는 수저나 술병도 포함됨.[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gimyeong | MR표기kim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명절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진기한 그릇과 꽃가지‧과일‧화초‧채소 등을 배치하여 그린 그림.
  • 기명절지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러 가지 그릇과 꽃가지, 과일 따위를 배치하여 그린 그림.
    정의여러 가지 그릇과 꽃가지, 과일 따위를 배치하여 그린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myeong jeoljido | MR표기kimyŏng chŏlchi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몹시 궁금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목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영주와 예천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기주(基州)|기천(基川)
  • 기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이상적(李尙迪)이 지은 한시.
    이칭별칭거중기몽
  • 기묘과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과거 시험에 대한 부정으로 인해 발생한 사건.
  • 기묘록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 기묘사화와 관련된 봉사문(封事文)을 수록한 책.
  • 기묘록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 명종 때 안로(安璐)가 『기묘당적(己卯黨籍)』을 보충한 책.
  • 기묘록속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 기묘사화와 관련된 인물의 전기와 사화의 내용을 수록한 책.
  • 기묘명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등 사림을 일컫는 말.
    정의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등 사림을 일컫는 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myo Myeonghyeon | MR표기Kimyo Myŏngh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묘사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9년(중종 14) 11월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사류가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 기묘사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9년 12월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勳舊宰相)에 의해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 사류가 화를 입은 사건.
    정의1519년 12월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勳舊宰相)에 의해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 사류가 화를 입은 사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myo Sahwa | MR표기Kimyo Sa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사화(士禍) | 관련어기묘명현(己卯名賢)
  • 기묘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인조 때 안방준(安邦俊)이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가 축척(逐斥)된 일을 모아 기록한 책.
  • 기묘제현수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묘제현들의 서간(書簡)을 모은 첩.
    연계항목기묘제현수첩(己卯諸賢手帖)
  • 기묘제현수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묘명현의 필적을 모은 서첩.
    연계항목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 기묘제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 김육(金堉)이 편찬한 기묘사화에 관한 책.
  • 기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국가의 중요한 일.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무라 겐카도(木村蒹葭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문인 ‧ 화가 ‧ 장서가 ‧ 박물학자. 목촌겸가당(木村蒹葭堂). 이름은 고쿄(孔恭), 자는 세슈(世肅) ‧ 손사이(巽齋), 호는 겐카도(蒹葭堂), 통칭은 스보이야(坪井屋) ‧ 기치에몬(吉右衛門). 오사카 출신. 집안 대대로 술을 대량으로 빚어 판...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고에몬(木村五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목촌오우위문(木村五右衛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때, 가나야(金谷)의 통사(通詞)들의 숙...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구모하치(木村雲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초기의 관리. 목촌운팔(木村雲八).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曹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이즈(伊豆) 후지사와(藤澤)에서 마...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데이칸(木村貞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 목촌정관(木村貞貫). 성은 기무라(木村), 이름은 데이칸(貞貫), 자는 군조(君恕), 호는 호라이(蓬萊), 별호는 레이난(嶺南), 통칭은 가쓰요시(勝吉). 오와리(尾張) 출신. 12세 때 에도에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에게 배웠고, 뒤...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도다유(木村藤太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관리. 목촌등태부(木村藤太夫). 마쓰다이라 무네토시(松平宗俊)의 가신.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부사 임수간(任守幹)・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을 ...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바이안(木村梅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목촌매암(木村梅菴). 하리마(播磨) 다쓰노(龍野) 출신. 목촌감곡(木村甘谷)으로도 일컬어졌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시게미치(木村惠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한시인(漢詩人). 목촌혜적(木村惠迪). 이름은 시게미치(惠迪), 자는 시타쓰(子達), 호는 쇼코(松江), 별호는 호카쿠산인(放鶴山人), 통칭은 조에몬(丈右衛門). 나니와(浪華, 오사카) 출신.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시게코레(木村重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센고쿠시대(戰國時代) - 에도시대 전기의 무장이자 다이묘(大名). 목촌중자(木村重玆). 별칭 기무라 히타치노스케(木村常陸介).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가신으로 3,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임진왜란에 참전했다. 제1차 진주성전투에서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신베에(木村新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목촌신병위(木村新兵衛).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쓰시마번(對馬藩)의 관리인 쓰지...
    유형분류인물
  • 기무라 야스타다(木村保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일행과 필담한 사람. 목촌보충(木村保忠). 1881년 5월 21일 조사시찰단 일행이 도쿄에 머물렀던 숙소 옆방에 시미즈 소이치(淸水象一)와 함께 있다가 민건호(閔建鎬)를 찾아가 필담을 나누었다. 이때 나이는 19세였다.
    유형분류인물
  • 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와 가야의 접경지역에 있었던 지명. ≪일본서기≫ 계체(繼體) 7년(513) 6월조에 의하면, 백제가 가야의 반피국(伴跛國) 소유인 기문의 땅을 빼앗으려 하였다는 기사가 있으며, 그 해 11월에 기문은 백제의 소유가 되고 있다.
  • 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야담집.
  • 기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잊지 않고 문안인사를 하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문둔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양의 변화에 따라 몸을 숨기고 길흉을 택하는 용병술(用兵術).
    정의음양의 변화에 따라 몸을 숨기고 길흉을 택하는 용병술(用兵術).[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mun dun-gap | MR표기imun tun’ga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문총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문헌설화집.
  • 기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운과 기분. 안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미정책(羈縻政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사대교린(事大交隣), 책봉체제(冊封體制), 화이관(華夷觀) | 하위어일본(日本), 여진(女眞), 유구(琉球), 대마도(對馬島) | 동의어외이기미책(外夷羈縻策) | 관련어적례교린(敵禮交隣), 기미교린(羈縻交隣), 소중화의식(小中華意識)
  • 기민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지은 한시.
    정의조선 후기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지은 한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minsi | MR표기Kimin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민중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남도 논산시 지산동 에 있는 사립중학교.
  • 기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관리라는 굴레에 얽매여 살아감. 관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반(碁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바둑을 두는 판. 바둑판. 평(枰), 기평(棋枰), 기국(碁局)이라고도 한다. 기반(碁盤)은 오동나무판을 애용하였는데, 가볍기도 하고 바둑돌을 놓는 감촉이 좋기 때문이다. 판은 보통 50㎝ 가량 되는 정방형의 나무판을 높이 30㎝정도 되는 네모진 통 위에 부착하여...
    유형분류물품도구
  • 기반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바둑판 모양의 구조
    정의바둑판 모양의 구조 | 문광부표기gibansik | MR표기kiban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변방의 군사 정보나 왕명을 말을 타고 전달하던 교통 통신 수단.
    이칭별칭마발(馬撥)
  • 기발리승지설(氣發理乘之說)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 | 관련어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이황(李滉), 율곡학파(栗谷學派), 기호학파(畿湖學派), 천명도(天命圖), 이이(李珥)
  • 기발이승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理)는 최고의 존재 원리이나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변화하지 못하며, 형체도 있고 스스로 작용할 수 있는 기(氣)만 발한다는 이이가 주창한 인식 이론
    정의이(理)는 최고의 존재 원리이나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변화하지 못하며, 형체도 있고 스스로 작용할 수 있는 기(氣)만 발한다는 이이가 주창한 인식 이론 | 문광부표기gibal iseungseol | MR표기kibal isŭng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발이승일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가 주장한 것으로 기(氣)가 작용을 하고 이(理)가 그 위에 올라타는 한 길밖에 없다는 주장
    정의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가 주장한 것으로 기(氣)가 작용을 하고 이(理)가 그 위에 올라타는 한 길밖에 없다는 주장 | 문광부표기gibal iseung ildo | MR표기kibal isŭng ilt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발이승일도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이(李珥)가 주창한 인식 이론. 기발이승이라는 말은 이황(李滉)의 ‘사단이발이기수지(四端理發而氣隨之), 칠정기발이이승지(七情氣發而理乘之)’에서 유래한다.
  • 기발일도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理)는 최고의 존재 원리이나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변화하지 못하며, 형체도 있고 스스로 작용할 수 있는 기(氣)만 발한다는 이이가 주창한 인식 이론
    정의이(理)는 최고의 존재 원리이나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변화하지 못하며, 형체도 있고 스스로 작용할 수 있는 기(氣)만 발한다는 이이가 주창한 인식 이론 | 문광부표기gibal ildoseol | MR표기kibal ilto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무하는 기생의 집.
    정의가무하는 기생의 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bang | MR표기ki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방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직의 아들로, 사옹에게 사강백과 함께 글을 배운다. 강백과 누이 옥호에게 혼담이 있자, 이를 시기하여 고불의와 함께 짜고 사옹의 가족을 집으로 돌려보낸다. 아버지 직이 죽은 뒤 불의가 옥호를 마우락의 계실로 보내라고 하여 일을 추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사망의 완곡한 표현. 주로 손윗사람에게 쓰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일남왕의 장수. 하군장 풍륭의 부장이 되어 원나라를 쳐멸하는 데 공을 세운다. 주명이 하나라 태조로 즉위한 후 진남후(鎭南侯)에 봉해진다. 86) 이본에 따라 ‘기흥대’로도 나타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대장군 주일옹의 우선봉이다. 주일옹의 명령을 받고 환백의 다섯 진지주위에 매복하였다가, 거짓 패주하는 주일옹을 환백의 전군이 좇아 나선 사이에 진지들을힘들이지 않고 점령한다. 또 주일옹의 계교에 따라 주일옹의 차림새를 하고 숨어 있다가 나타나니, 이를 진짜로만 안 월...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씩씩하고 굳센 기상과 진취적인 정신.
    정의씩씩하고 굳센 기상과 진취적인 정신.[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baek | MR표기kib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백(畿伯).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평안도 관찰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경기도 관찰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백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과 거창군 위천면에 걸쳐 있는 산.
  • 기벌포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76년(문무왕 16) 11월에 기벌포(伎伐浦)에서 신라의 해군이 당나라 해군을 크게 깨뜨린 전투.
  • 기범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이원곤(李源坤)의 『홍범(洪範)』 주석서.
  • 기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2간지(干支)의 주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보통 60분(分)을 말함.
    정의12간지(干支)의 주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보통 60분(分)을 말함.[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gibeop | MR표기ki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베 소슈(木部滄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 목부창주(木部滄洲). 이름은 아쓰시(敦), 자는 시요쿠(子翼) ∙ 시빈(子敏), 호는 소슈(滄洲). 무사시(武藏) 출신. 목부돈(木部敦) ∙ 목부돈(木部惇)으로도 알려져 있다. 하야시 호코쿠(林鳳谷)의 제자이고, 모리야마번(守山藩)...
    유형분류인물
  • 기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에 따라 변함.
    정의때에 따라 변함.[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byeon | MR표기kib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