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길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애써 일하는 모양. 원래 새가 둥지를 만드느라 발과 부리를 부지런히 놀린다는 뜻. 『시경(詩經)』「빈풍(.風)」[치효(..)]에 “내 날개를 부지런히 놀려 물억새의 이삭을 모아와서 둥지를 만드네(予手拮据 予所..)”라는 구절이 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길경(桔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경초(梗草), 고경(苦梗), 길경(䓀梗), 길경(吉梗), 백약(白藥) | 관련어구황장(救荒醬)
  • 길경(桔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도라지. 또는 그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줄기는 곧게 서고 40-10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가지를 거의 치지 않는다. 뿌리는 굵고 단단하며 곧은데, 길경(桔梗)이라는 이름도 이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 뿌리를 식용하거나 약재로 쓴...
    유형분류물품도구
  •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의학(醫學) | 하위어길경(桔梗), 감초(甘草), 생강(生薑), 지각(枳殼) | 관련어결흉(結胸)
  • 길경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흡기질환에 사용하는 처방.
  • 길군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악(行樂).
    이칭별칭절화(折花)|노군악
  • 길군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가사(歌詞).
    이칭별칭노요곡(路謠曲)|군악(軍樂)|행군악|행로곡(行路曲)
  • 길군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업노동요.
    이칭별칭길꼬냉이|질꾸내기|질꼬냉이|길군악|길노래|제화소리|질꼬래기|깽마쿵쿵노래|종다리소리|길꼬내기|장원질 소리|질꾸래기
  • 길군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옛 취타곡(吹打曲)의 하나. 임금의 거둥 때나 군대의 행진 때 연주됨
    정의옛 취타곡(吹打曲)의 하나. 임금의 거둥 때나 군대의 행진 때 연주됨 | 문광부표기gil gunak | MR표기kil kun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군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행 12가사(歌詞)의 한 곡명.
    정의현행 12가사(歌詞)의 한 곡명.[한겨레음악대사전] | 문광부표기Gilgunak | MR표기Kilgun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군악장단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길군악은 악곡 및 장단의 명칭으로 쓰인다. 악곡으로서 길군악은 12가사 중의 하나와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행악(行樂, 고취악)으로 일명 절화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길군악칠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와 강원도 서부, 충청도 북부지방 농악에 쓰이는 장단.
  • 길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길을 걸어가면서 연주하는 농악 장단.
  • 길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장군.
  • 길낭(吉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군빌렉([衮必里克], Günbileg) | 관련어알탄칸(俺答汗), 우익삼만호(右翼三萬戶), 제농(濟農), 진왕(晉王), 북로(北虜), 추장(酋長), 엄답아불해(俺答阿不孩)
  • 길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탈놀이나 민속놀이 또는 마을굿에 앞서 마을을 도는 놀이.
  • 길놀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길놀이는 달리 가두행렬(街頭行列), 퍼레이드, 가장행렬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길놀이를 연문축역(沿門逐疫), 가두사화(街頭社火), 행상(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길놀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길에서 하는 굿
    정의길에서 하는 굿 | 문광부표기gil nori | MR표기kil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닦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씻김굿이나 오구굿의 한 거리. 죽은 이의 영혼이 원한을 풀고 저승으로 편안히 들어가도록 길을 닦아주는 뜻으로 행함.
    정의씻김굿이나 오구굿의 한 거리. 죽은 이의 영혼이 원한을 풀고 저승으로 편안히 들어가도록 길을 닦아주는 뜻으로 행함.[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ildakkeum | MR표기kiltakkŭ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중고기의 관리.
  • 길돌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외적의 장수이다. 촉국이 어지러운 틈을 타 침범하여 촉왕의 후비 호씨부인과 사통하고, 호씨부인의 아들 주팔아를 왕으로 세운다. 호씨부인이 재천거한 최승상의 딸과 혼인을 하기 위해 승상을 위협한다. 호여취에게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랑병오(吉郞兵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수년 간 왜관(倭館)에서 통사로 일하였는데, 1764년 2월 9일 통신사행 중 길랑병오의 노비가 말을 타고 조선 측 국서(國書)를 지나쳐 갔다. 이에 첨사(僉事) 허규(許圭)가 노하여 그 노비의 삿갓을 채찍으로 내리쳤고, 노비가 몽둥이를 들...
    유형분류인물
  • 길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례(五禮)의 하나.
  • 길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가에서 거행하는 제사의 다른 이름. 길례(吉禮)라는 용어는 주례周禮「대종백大宗伯」에 나오는데 신에 대한 제사를 가리킨다. 길례와 더불어 흉례(凶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를 오례(五禮)라고 하였다. 오례는 유교 국가의 예제를 분류하는 기본범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길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례의 하나로, 흉례, 즉 상례와 장례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제사의식.
    정의오례의 하나로, 흉례, 즉 상례와 장례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제사의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llye | MR표기kill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례(吉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오례(五禮) | 하위어감제(監祭), 공고(公故), 기고제(祈告祭), 기곡대제(祈穀大祭), 대사(大祀), 배향(配享), 사직(社稷), 소사(小祀), 수향(受香), 신라중사(新羅中祀), 아헌관(亞獻官), 악독(嶽瀆), 작헌례(酌獻禮), 중사(中祀) | 관련어가례색(嘉禮色), 길례색(吉禮色), 길례요람(吉禮要覽), 문묘(文廟), 사직(社稷), 종묘(宗廟)
  • 길례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대군‧왕자‧왕손‧공주‧옹주‧군주‧현주 등의 관례(冠禮) 및 가례(嘉禮)에 관하여 역대의 관례(慣例)를 참고, 그 의식절차와 물목(物目) 등을 기록한 책.
  • 길림대검거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7년 만주 길림에서 독립운동가 300여 명이 중국 군경에게 붙잡힌 사건.
  • 길림서단산자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서남쪽 2.5㎞ 지점에 있는 신석기시대 말부터 청동기시대에 걸친 시기의 유적.
  • 길림소달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의 서쪽 소달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에서 철기시대 초에 걸친 유물 산포지 및 석관묘 유적.
  • 길림오도령구문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현(集安縣) 태평구공사(太平溝公社)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분묘 유적.
  • 길림조선상민수시무역장정(吉林朝鮮商民隨時貿易章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번국(藩國), 조공국(朝貢國), 토문강(土門江), 화룡골[和龍峪], 세무국(稅務局), 만국공법(萬國公法), 통상(通商)
  • 길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은나라 문중의 휘하 장수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 등에 얹어 물건을 운반하는 데 쓰는 연장.
    이칭별칭지르마|질매|질마|지르매|기르매|기르마
  • 길몽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9년(영조 35) 한석지(韓錫地)가 지은 가사.
  • 길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상대의 관리.
  • 길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좋은 영향을 가져오는 방위
    정의좋은 영향을 가져오는 방위 | 문광부표기gilbang | MR표기kil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복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상(喪)을 마친 후 입는 평상시의 복식. 국상(國喪)의 경우 발인(發引) 때에는 포단령(布團領), 포직령(布直領), 최질복[衰絰服], 삼베융복[麻布戎服], 백두건(白頭巾)에 백호의(白號衣) 등 각자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상복(喪服)을 착용하였다가, 반우(返虞) 때에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길복(吉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위어명부복(命婦服), 치의(緇衣), 포의(布衣) | 관련어상복(常服), 상복(喪服), 조복(朝服), 천담복(淺淡服), 최복(衰服)
  • 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시대 귀인 또는 대인(大人)의 호칭.
  • 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시대의 관등.
    이칭별칭계지|길차|당
  • 길삼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장사(壯士).
  • 길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실적 생의 부귀와 행복 등의 염원을 사물에 의탁하여 나타낸 그림.
  • 길상부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을 기원하는 부적.
    정의복을 기원하는 부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lsang bujeok | MR표기kilsang puj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도당산(都堂山)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연계항목길상사(吉祥祠)
  • 길상사(吉祥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원승(元乘), 박연폭포(朴淵瀑布), 오백성재(五百聖齋), 오백나한재(五百羅漢齋), 나한재(羅漢齋), 기우제(祈雨祭)
  • 길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상대의 모반자.
  • 길선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9∼1935. 장로교 목사.
    이칭별칭 윤열(潤悅)| 영계(靈溪)
  • 길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궁한촌(弓漢村)|길주(吉州)|해양(海洋)|삼해양(三海洋)
  • 길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씨 가운데 서로 혼인관계를 즐겨 맺는 성씨.
    이칭별칭길반(吉班)
  • 길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벽란도의 주막에서 만난 사람이 장승동 사람이 아니냐고 묻자, 교동이 살기 좋다는 말을 듣고 찾아간다는 말을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관리.
  • 길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녀자들이 가정에서 베‧모시‧명주‧무명의 직물을 짜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 말.
  • 길쌈노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 길쌈놀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의 부녀자들이 한데 모여 공동으로 길쌈하는 전통적인 풍습.
    정의마을의 부녀자들이 한데 모여 공동으로 길쌈하는 전통적인 풍습.[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lssam nori | MR표기kilssam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씨세효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영조 때의 효자 길창거(吉昌擧)의 효행사적과 그의 아들 경회(慶會)‧경연(慶延) 등의 언행을 모은 책.
  • 길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길안부곡(吉安部曲)
  • 길안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방각산(方覺山)에서 발원하여 반변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 길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백과 장소저 남매의 이웃 사람이다. 소상강 근처 주점에서 장소저가 물에빠졌단 소문을 듣고 장백에게 알려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소저 남매의 이웃이다. 장소저가 왕평의 계교에 빠져 납치를 당하고 생사를 모르게 되어 망연해 하는 동생 장백에게 장소저가 소상강에 빠졌다는 소문을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영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관료.
  • 길영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년∼1984년. 교육자.
  • 길옥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7∼1995. 대중음악가.
  • 길운(吉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김석년(...
    유형분류인물
  • 길운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장사(壯士).
    이칭별칭삼봉(三峰)
  • 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상대의 관리.
  • 길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달의 첫 날.
    정의한 달의 첫 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rwol | MR표기kirw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유궁(吉帷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길유(吉帷) | 관련어국장(國葬), 노부(鹵簿), 반차(班次), 발인(發靷), 부묘(祔廟), 상례(喪禮), 신주(神主), 영장전(靈帳殿), 지방(紙榜), 천장(遷葬), 혼백(魂帛), 흉의장(凶儀仗)
  • 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일본에서 활약한 백제유민 출신의 의술가.
    이칭별칭길전련의(吉田連宜)|혜준(惠俊)
  • 길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ㆍ조선시대의 평상적인 왕실 의장.
  • 길의장(吉儀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노부(鹵簿), 의장(儀仗) | 동의어길례 노부(吉禮鹵簿), 길례 의장(吉禮儀仗) | 관련어국장(國葬), 노부(鹵簿), 대가의장(大駕儀仗), 반차(班次), 발인(發靷), 법가의장(法駕儀仗), 부묘(祔廟), 소가의장(小駕儀仗), 천장(遷葬), 황의장(黃儀仗), 흉의장(凶儀仗)
  • 길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끝에서 다른 한 끝까지의 거리.
  • 길인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입암(笠巖)
  • 길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이 좋거나 상서로운 날
    정의운이 좋거나 상서로운 날 | 문광부표기giril | MR표기kiri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잡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길잡이는 북청사자놀음에서 사자놀이패가 정월 4일부터 14일까지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사자놀이를 놀아줄 때, 선두에서 길을 안내하는 인물이다.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길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 시대 길례(吉禮)의 의장 제도.
  • 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3년(공민왕 2)∼1419년(세종 1).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학자.
    이칭별칭 재보(再父)| 야은(冶隱), 금오산인(金烏山人)| 충절(忠節)
  • 길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삼영정실(三楹靜室)의 사선생(四先生) 중 한 사람이다. 각건에 양구(羊裘 도포를 입고 있다. 금생에게 성현의 도는 일상생활을 벗어나지 않는다며, 근본을 버리고 먼 곳으로 나아가려 함을 경계토록 한다. 정시중[정몽주]이 찾아오니제자의 예로 반기고 상좌에 모신다. 정시중...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 말의 명현으로, 호는 야은(冶隱)이다. 정몽주의 식견에 탄복하고높은 지조와 깊은 도학을 칭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길재항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간행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수록된 이야기.
    정의조선시대에 간행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수록된 이야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l Jae hangjeol | MR표기Kil Chae hangj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길재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3∼1985. 군인‧정치가.
  • 길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례(喪禮)의 한 절차로, 담제(禫祭 : 대상 다음다음 달에 지내는 제사)를 지낸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
  • 길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졸곡(卒哭) 후에 지내는 제사. 담제(.祭: 초상으로부터 27개월만의 제사)를 지낸 다음 달에 지내는 제사. 상주는 길제를 지낸 다음날부터 상복(喪服)을 벗고, 평상복을 입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길주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명천군과 동해, 서쪽은 함경남도 단천군‧혜산군,남쪽은 학성군, 북쪽은 무산군‧경성군과 접하고 있다.
  • 길주동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건물.
  • 길주명천지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중남부의 길주에서 명천을 거쳐 경성에 이르는 좁고 긴 지구대(地溝帶)로 되어 있는 지괴. 이 지괴의 북쪽에는 두만지괴(豆滿地塊)가 위치하고, 서쪽에는 평안북도개마지괴(平安北道蓋馬地塊)가 넓게 분포한다. 이 지괴의 동쪽 산지는 칠보산(七寶山, 9...
  • 길주명천지구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명천간에 형성된 지구대. 길주 남대천의 하구에서 어랑천(漁郎川) 하구에 이르는 길이 약 80㎞, 평균 너비 약 20㎞의 북북동에서 남남서 방향의 저지대이다. 이 지구대의 동남쪽에는 편상화강암(片狀花崗岩)을 기반암으로 한 칠보산지괴(七寶山地...
  • 길주목(吉州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해양(海洋), 삼해양(三海洋), 궁한촌(弓漢村), 길성(吉城) | 관련어방어영(防禦營), 방어사(防禦使)
  • 길주목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길주목(지금의 길주군) 읍지.
    이칭별칭함경북도길주군읍지(咸鏡北道吉州郡邑誌)
  • 길주문암리고인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문암리 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 길주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8년(고종 25) 여름 함경도 길주에서 일어난 민란.
  • 길주산성(吉州山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산성(山城) | 동의어길주성(吉州城) | 관련어여진(女眞)
  • 길주온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장백면 십일동에 있는 온천.
    이칭별칭십일온천(十一溫泉)|대사동온천(大寺洞溫泉)
  • 길주이매패류화석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에 있는 조개 화석층.
  • 길주펄프공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는 종이제조공장.
  • 길주평륙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덕산면 평륙리 영암촌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 유적.
  • 길주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웅평면‧덕산면‧장백면에 걸쳐 있는 평야. 동서 약13㎞, 남북 약 25㎞, 면적 185㎢. 이 평야는 만탑산(萬塔山, 2,205m)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내리는 산릉을 따라 누에머리산[蠶頭山, 552m]‧마유산(馬乳山, 395m)과...
  • 길주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에 있는 향교.
  • 길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길(吉)한 운수를 지닌 종이.
    정의길(吉)한 운수를 지닌 종이.[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문광부표기gilji | MR표기kilch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