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경서(金景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초명은 김응서(金應瑞), 자는 성보(聖甫).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집안이 미천한 탓에 파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었다. 같은 해 8월 조방장(助防將)이 되어 평양에서 일본군과의 전투를...
    유형분류인물
  • 김경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 김경석(金景錫)[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1554년 전라도수군도절제사로 파견되어 흑산도(黑山島)에 숨어 있는 왜적을 토벌하였고, 그 공으로 한 계급 특진하였다. 1555년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가 선박 70여 척으로 일시에 침입하여 달량포(達梁浦) ...
    유형분류인물
  • 김경석(金景錫)[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사자관(寫字官)으로서 정세영(鄭世榮)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경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행(汝行)| 정문(貞文)
  • 김경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51(고종 38). 고려 후기의 장군.
    이칭별칭김운래
  • 김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3(중종 38)∼1621(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의병.
    이칭별칭 백형(伯亨)| 오천(鰲川)
  • 김경수(金景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백형(伯亨). 호는 오천(鰲川).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종제(從弟) 신남(信男) 및 두 아들 극후(克厚)‧극순(克純)과 기효간(奇孝諫)‧윤진(尹軫) 등과 함께 장성(長城)의 남문(南門)에서 격문(檄文)을 ...
    유형분류인물
  • 김경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1992. 조각가.
    이칭별칭 표천(瓢泉)
  • 김경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필수의 딸이다. 아버지 필수가 평안 감사로 부임한 어느 날 걱정과근심이 가득한 얼굴로 병들어 눕자, 아버지에게 그 연유를 묻는다. 이에 평양 기생 양산월이 다녀간 후 왕에게 하사받은 병부가 없어졌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병부란 목숨보다 귀한 것인데 이것을 잃어버렸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6(선조 29)∼1653(효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유선(由善)| 송애(松厓)| 문정(文貞)
  • 김경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충신. 경주 김씨 명문의 후손으로 백학이 나타나는 태몽을 가진다. 어려서부터 용모가 단정하고 재질이 뛰어나 글 배우기를 좋아하여, 일찍부터 벼슬길에 올라 부여현감, 예조정랑을 거쳐 사서ㆍ헌납ㆍ정언ㆍ문학ㆍ홍문관 교리 등을지낸다. 병자호란 때는 이조정랑 겸 독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 이조 정랑이다. 호란이 끝나고 보모의 병을 핑계로 벼슬을사양하여 금교역(金郊驛)에 귀양간다. 귀양을 갔다 온 뒤에도 벼슬을 거절하여 나서지 않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5년(효종 6) 김진수(金震粹)가 지은 김경여(金慶餘)의 전기.
  • 김경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41(정종 7)∼1125(인종 3). 고려 중기의 문신.
  • 김경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4(인조 2). 조선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화산군(花山君)
  • 김경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2(철종 13)∼1908. 조선 말기의 의병. 경기도 통진(通津)(지금의 경기도 김포시) 출신. 이명은 윤서(允西). 박래병(朴來秉) 의병에 가담하여 경기도 통진, 고양(高陽) 일대에서 활동했다. 1907년 8월 박래병은 의병을 일으켜 무력투쟁을 전개했다.
  • 김경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서울을 차지한 이괄의 군대와 북산에서 싸우다가 가슴을 맞아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67. 한국화가.
    이칭별칭 탄월(灘月), 하정(何淨)
  • 김경원(金慶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선비.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이선(而善). 1588년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아버지 김해(金澥)가 상주목사(尙州牧使)로 있던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버지의 휘하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으며, 상주성(尙州城)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
    유형분류인물
  • 김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8(숙종 24)∼1773(영조 49).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군철(君哲)| 노은(老隱)
  • 김경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7(선조 30)∼1653(효종 4).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덕승(德承)| 구암(龜巖)
  • 김경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 일제 강점기의 언론가‧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김작|적성|진영철|김광우
  • 김경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경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몽주에게 종사하던 사람으로, 벼슬은 녹사이한다. 몽주가 죽는날 먼저 돌아가라는 말을 듣지만, 어찌 혼자 살기를 바라겠냐고 하며 끝까지 함께 한다. 선지교에 다다라 조영규가 정몽주를 내리치려 하자 온 몸을 던져 막고 먼저 죽음을 맞이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0(숙종 36)∼1786(정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직(元直)| 집재(執齋)
  • 김경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식재(息齋)
  • 김경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7(명종 22)∼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정(而正)| 우정(憂亭)
  • 김경직(金敬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경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9(선조 22)∼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선응(善應)|순흥군(順興君)
  • 김경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화도 수비의 중임을 맡은 검찰사(檢察使)로, 음주 등의 방탕한 생활을 한다. 병자호란 때 적의 공격을 받아 강화가 함락되자, 많은 대사, 유생, 부녀자들이 절사를 하지만, 자신은 목숨이 아까워 도망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란 때 강도검찰사(江都檢察使)이다. 서울을 내놓고 강화로 떠날 때 부사 이민구와 종사관 홍명일과 함께 먼저 강화로 들어간다. 강화로 들어가서 배를 건너편으로 보내지 않다가 빈궁의 호통이 있을 후에야 배를 보내 사람들을 건너게 한다 배로 김포 통진의 나라 곡식을 옮겨...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화를 지키는 장수로, 신장을 부리는 재주만 믿고 청군을막겠다고 한다. 술만 먹고 지내다 신장을 부르나 만승천자가 좌정해 오지 못한다는 연락을받고 어쩔 줄 모른다. 용골대 등이 습격하자 도망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화 유수로, 호국이 쳐들어 왔음에도 좋은 군기를 창고 속에 넣어두고 술만 먹고 지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징의 아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란 때 강화로 적이 공격해 들어오자 며느리가 죽는 것을 보고 따라서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향교의 임장으로, 박만성 등과 함께 장성관에게 소를 내어 유씨부인의 사적을 기리도록 상소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경칠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경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년∼1970년. 동양철학자‧한학자‧교육자.
    이칭별칭 우암(愚庵)
  • 김경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4(고종 11)∼1921. 독립운동가. 일명 영근(永根). 충청남도 청양 출신. 1910년대 국내 대표적인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대한광복회의 충청도 방면 지도자인 김한종(金漢鍾)‧장두환(張斗煥)과 군자금 조달에 힘을 기울여서 당시의 ...
  • 김경화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8(중종 23)∼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회숙(晦叔)| 운강(雲江)
  • 김계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1(광해군 13)∼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겸(景謙)| 구재(鳩齋)
  • 김계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육일(六一), 서강(西岡)|계면(係綿)
  • 김계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계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3(영조 29)∼1815(순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문정(文靖)
  • 김계립(金戒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도사공(都沙工)으로서 부사가 타고 간 제이선(第二船)...
    유형분류인물
  • 김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왕족.
  • 김계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순안 사람으로 윤욱렬의 부하 장수이다. 욱열이 용천에서 반란군과대적할 때 스스로 지원해 좌선봉이 되어 이제초와 대결한다. 제초에게 당하지 못하고 말에서 떨어져 위험에 처하나, 김이해의 도움으로 제초를 사로잡는다. 최신엽, 송지렴 등과 정주성 북문으로 들어가 반란군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계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24(고종 11). 고려 후기의 장군.
  • 김계비(金計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던 인물. 1686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항(李沆)이 재직할 때에 강원도 평해(平海) 사공(沙工) 김계비(金計非)‧강원도 고성(固城) 사공 김삼월(金三月)‧경상도 영해(寧海) 사공 김원남(金元男) 등이 각각 격군(格軍)을 거느리고 ...
    유형분류인물
  • 김계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1943. 젓대의 명인.
    이칭별칭 죽농(竹濃)
  • 김계선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재담
    대분류재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계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년∼1989년. 철학자.
  • 김계승(金啓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군일(君日), 자호는 진광(眞狂). 용문산인(龍門山人) ∙ 완희재주인(玩羲齋主人)이라고도 한다.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
    유형분류인물
  • 김계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9(중종 3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안(景顔)| 웅음(雄?)
  • 김계우(金季愚)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안(景顔), 호는 웅음(雄飮). 1504년(연산군10년) 주부(主簿)로서 별시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판관‧청도군수‧수원부사‧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중종이 잠저(潛邸)에 있을 때에는 사부(師傅)로 있었다. ...
    유형분류인물
  • 김계운(金繼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성수(聖壽). 1831년 24세 때 역과 신묘 식년시에 6위로 합격하였고, 품계는 가선대부(嘉善大夫) ∙ 숭정대부(崇政大夫)이다. 왜학(倭學)을 전공하여 교회(敎誨) ∙ 지추(知樞) ∙ 총민(聰敏)을 역임하였다. ...
    유형분류인물
  • 김계일(金繼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용양위(龍驤衛) 부사과(副司果)를 지냈다. 1635년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가 조선과의 우호 증진을 위해 쓰시마도주 소 요시나리(宗義成)를 시켜 통신사를 요청하였고, 쓰시마도주 또한 그의 부관(副官) 야나가와 시게오키(柳川調興)...
    유형분류인물
  • 김계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 김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0(태종 10). 조선 전기의 무신.
    이칭별칭 송곡(松谷)|송곡(松谷)
  • 김계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세번(世蕃)
  • 김계철(金啓喆)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김제철(金濟哲)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계최(金繼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98년 5월에 통사(通事) 김계최(金繼崔)는 동래부(東萊府)에 사는 한귀석(韓貴碩)‧구중경(仇重卿)‧박재장(朴再章) 등과 함께 인삼과 은자(銀子) 2,000냥을 몰래 왜인과 거래하다가 현장에서 발각되었다. 이들은 잠상률(潛商律)에 따라 7월에...
    유형분류인물
  • 김계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과거시험에서 이수문에 이어 부 장원을 한다. 왕명으로 이수문과 함께 요괴[金猪]에게 납치당한 공주를 구하러 출발한다. 백토산에 이르러 지하로 통하는 굴을 발견하여 이수문이 지하로 내려가고 자신은 지상에서 기다린다. 이수문이 요괴를 퇴치하고 공주를 구해 먼저 올려보낸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계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 김계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1(세종 13)∼1517(중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취사(取斯)| 보백당(寶白堂)| 정헌(定獻)
  • 김계행(金係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계헌(金繼獻)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관. 충무위(忠武衛) 부사과(副司果)를 지냈다. 1635년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가 조선과의 우호 증진을 위해 쓰시마도주 소 요시나리(宗義成)를 시켜 통신사를 요청하였고, 쓰시마도주 또한 그의 부관(副官) 야나가와 시게오키(柳川調興)와 서로...
    유형분류인물
  • 김계현(金繼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인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에 방문하였을 때, 정사 반인(伴人)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계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준도의 딸이다. 절강 자사가 엄월계의 자색을 탐내어 취하려 하니, 아버지 김준도가 월계를 집으로 데려다 살게 하여, 친절히 보살펴준다. 유오룡이석록을 처단한 후 유오룡의 둘째부인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계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6(중종 21)∼1582(선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회(重晦)| 황강(黃岡)
  • 김계휘신도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김계휘(金繼輝)의 신도비.
    연계항목김계휘신도비(金繼輝神道碑)
  • 김계희(金宗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23(인종 1). 고려 중기의 문신.
  • 김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당나라 유학생.
  • 김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8(태조 7).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이칭별칭 제숙(齊肅)|계림군(鷄林君)
  • 김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 김곤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 능평리 에 있는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김곤의 유택.
  • 김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성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 김공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2(성종 13)∼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위수(渭?)
  • 김공망(金公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공빈(金中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공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공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저박경의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7년(중종 2) 1월 김공저‧박경 등이 박원종(朴元宗)‧유자광(柳子光)‧노공필(盧公弼)을 죽이려다 실패한 사건.
  • 김공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의학박사(醫學博士).
  • 김공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형주 땅의 소문난 효자이다. 어머니가 죽어 시묘살이를 하러 간 사이에아내 노씨부인의 화용월태에 반한 백계삼이 한밤중을 이용하여 침입하여 공필의 음성을 흉내내어 동침한다. 삼년상을 마치고 돌아온 후 아내에게 태기가 있음을 알고 시묘살이 중에집에 다녀간 일이 없음을 밝힌...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공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우의정으로, 한림학사 정수경을 사위로 삼겠다고 상소를 한다. 임금의 중재로 혼사를 이룬다. 그러나 첫날밤에 딸이 죽임을 당하니, 수경을 의심하여 임금에게 고발한다. 종이의 누런 대나무 그림의 뜻이 자신의 노복인 백황죽이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죄인을 잘못 고발한 죄로 삭...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5(세종 7)∼1485(성종 16).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영중(瑩中)| 묵재(默齋)| 공양(恭襄)|종동(終同)|언양군(彦陽君)
  • 김관(金琯)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순옥(純玉). 1678년 35세 때 무오(戊午) 증광시(增廣試) 역과에 합격하였고, 왜학(倭學)을 전공하였으며, 판관(判官) ∙ 교회(敎誨) 등을 지냈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
    유형분류인물
  • 김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2(고종 19)∼1925.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석산(石山)|병률(炳律)|병삼(炳三)
  • 김관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줄타기
    대분류곡예‧묘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사회사업가. 일명 관성(觀星). 평양 출신. 1919년 3‧1운동 뒤 항일독립투쟁을 목적으로 장명환(張明煥)‧이춘산(李春山) 등과 북간도로 이주하였다.
  • 김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8(고종 25)∼1948. 목사‧교육가.
  • 김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4∼1970. 시인.
    이칭별칭 추수(秋水), 만오(晩悟), 우현(又玄)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