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구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 복위의 거사를 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구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0(순조 20)∼?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락(景洛)
  • 김구(金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국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5(태종 15)∼1480(성종 11). 조선 전기의 문신‧공신.
    이칭별칭 관경(觀卿)| 서석(瑞石)| 정정(丁靖)
  • 김국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사인데, 방외의 뜻을 품고 부설과 결사하여 날마다경(經)을 강(講)하고 이치를 논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군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81(신문왕 1). 신라 중대의 장군‧대신.
  • 김군만(金君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 동래(東萊)에 거주.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
    유형분류인물
  • 김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설당(雪堂)
  • 김군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무관.
  • 김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8년(공민왕 17).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9(명종 4)∼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중(而中)| 졸탄(拙灘)| 충간(忠簡)
  • 김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청풍군(淸風君)이다. 정홍익과 함께 광해군에게 순임금의 효에관한 이야기를 예로 들며 인목대비를 잘 섬겨야 할 것을 주장하다 강계로 유배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권(金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재상.
  • 김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6년(공민왕 15).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귀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양공주의 모친으로, 딸이 양중경과 혼인하고자 하여 황제에게 뜻을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귀산(金貴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26년 5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중협(李重協)이 재직하고 있던 때에 경상도 경주(慶州)에 사는 김귀산(金貴山) 등 9명이 물고기 교역을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
    유형분류인물
  • 김귀석(金貴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쓰시마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16년 윤(閏) 3월 동래부사(東萊府使) 김시환(金始煥)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울산(蔚山)에 사는 김귀석(金貴石) 등 19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유형분류인물
  • 김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수영야류(水營野遊)」의 기예능보유자.
  • 김귀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수영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0(중종 15)∼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현경(顯卿)| 동원(東園)
  • 김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별감과 양씨부인의 아들로, 신왕(神王)이 점지해 준 귀중한 아이이다. 용모가 비범하고 재주가 비상한 소년으로 귀곡산에서 안동 땅 박중군의 딸 박취란과 함께 한 스승 밑에서 글을 배우며 훗날 부부가 되기로 한다. 꿈속에 나타난 노인[귀곡산 신령]의 말을 받아들여 넓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병조판서로, 첩의 딸을 이순신의 첩으로 삼고자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영부사이다. 선조의 명을 받아 임해군, 순화군 두 왕자를 모시고 강원, 함경으로 피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귀영(金貴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현경(顯卿), 호는 동원(東園). 154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7년 알성 문과에 급제, 2년 뒤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로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해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 즉...
    유형분류인물
  • 김귀탄(金貴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53년 5월 경상도 고성(固城)에 사는 김귀탄(金貴坦) 등 6명이 장사를 하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이와미국(石見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유형분류인물
  • 김귀태(金貴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곤양(昆陽)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점자수(點子手)...
    유형분류인물
  • 김귀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희서(希瑞)| 노곡(魯谷)
  • 김귀희(金貴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희서(希瑞), 호는 노곡(魯谷).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이각(李珏)과 순찰사 김수(金睟)의 막료로 일본군과 싸웠으나 그의 계책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듭 패하자 고향에 돌아와 의병에 가담하였...
    유형분류인물
  • 김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2(중종 17)∼1565(명종 20).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몽서(夢瑞)| 탄수(灘?)
  • 김규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1(고종 18)∼? 사회주의운동가.
  • 김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국서(國瑞)
  • 김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8(헌종 4)∼1896.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우약(雨若)| 충헌(忠憲)
  • 김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9.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호은(芦隱)
  • 김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1(고종 18)∼1950. 항일독립운동가‧정치가‧학자.
    이칭별칭 우사(尤史)|요한
  • 김규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가.
  • 김규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9(영조 5)∼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경휴(景休)| 최와(最窩)
  • 김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2(철종 13). 조선 후기 민란(開寧民亂)의 주모자.
  • 김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8(고종 5)∼1933. 서화가.
    이칭별칭 용삼(容三)| 해강(海岡),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 무기옹(無己翁)
  • 김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1(고종 18)∼1929. 조선 말기의 의병,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비장(飛將)|규철(奎喆)
  • 김규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1962. 만화가‧삽화가.
    이칭별칭 웅초(熊超)
  • 김규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0(영조 16)∼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내협(乃協), 여초(汝初)
  • 김규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5(헌종 11)∼?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화일(華一)
  • 김규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9∼1985. 언론인‧학자.
  • 김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7(철종 8)∼? 조선 말기의 문신.
  • 김규(金珪)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대풍의 아버지이다. 대풍이 춘추절을 기념한 궁중 행차를 구경하러 나갔다가 이만영의 딸 이씨부인을 보고 아름다움에 반하여 이씨부인과 혼인하게 해 달라 조른다. 이씨 가문에 혼인을 청하나 권장복에게 정절을 바치고 있으므로 거절한다는 답신이 오자, 억지로 혼인을 청하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36(희강왕 1). 신라 하대의 왕족‧대신.
  • 김극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4(성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 김극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9(세종 21)∼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렴(士廉)| 괴애(乖崖)
  • 김극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명종 때의 문신.
    이칭별칭 노봉(老峰)
  • 김극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9(우왕 5)∼1463(세조 9).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ㆍ문신.
    이칭별칭 예근(禮謹)| 지월당(池月堂)
  • 김극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문사로, 호는 거사(居士)이다. 허리에 서각대를 띠고 이마에는 옥을 붙여 다른 공경 대신들과 요직을 나누어 맡는데, 관각의 직책을 맡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극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4(성종 5)∼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성지(成之)| 청라(靑蘿), 우정(憂亭)| 충정(忠貞)|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김극수(金克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관리. 김해(金海)에 거주.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방문하...
    유형분류인물
  • 김극유(金克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의 문신. 부교리(副校理)를 지냈다. 1423년 11월 진하사(進賀使) 권희달(權希達)이 가지고 간 표문(表文) 속에 잘못된 글자가 있음을 알고 진하사를 뒤쫓아가 다시 쓴 진하표문을 교부하였다. 그런데 이때 방물표(方物表)도 진하표문과 같이 봉해서 주...
    유형분류인물
  • 김극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효자.
    이칭별칭 용협(用協)| 모암(慕庵)| 효절(孝節)
  • 김극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2년(중종 17)∼1585년(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백순(伯純)| 약봉(藥峰)
  • 김극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무신.
  • 김극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2(성종 3)∼1531(중종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성(子誠)| 평정(平靖)
  • 김극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의 문신.
  • 김극형(金克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관리.
  • 김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9(선조 12)∼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성지(性之)| 오우당(五友堂)
  • 김근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7(헌종 13)∼1910. 조선 말기의 순국지사.
    이칭별칭 광원(光元)| 매하(梅下)
  • 김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6(세조 12)∼1539(중종 3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명통(明通)
  • 김근사(金謹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명통(明通). 1486년(성종 17)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08년 왜구가 가덕도(加德島)에 침입하여 그곳에서 웅천현(熊川縣) 관리의 명으로 벌목하던 조선인 아홉 명을 ...
    유형분류인물
  • 김근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2(영조 4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인(汝仁)| 십청(十靑), 귀연(歸淵)
  • 김근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중보(仲甫)| 용재(庸齋)
  • 김근행(金謹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왜학역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선회(鮮悔). 18세이던 1627년 식년시 역과에 합격하였다. 전공은 왜학(倭學)이다. 사역원 교회(司譯院敎誨)를 거쳐서 품계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다. 1643년과 1655년에 통신사의 일원으로 파견...
    유형분류인물
  • 김금남(金今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40년 5월 경상도 영덕(盈德)에 사는 김금남(金今男) 등 8명이 진상품인 대구어(大口魚)를 잡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
    유형분류인물
  • 김금동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성수의 하나뿐인 아들로, 어머니 뱃속에 있었을 때 옥녀와 정혼한다. 부모가 병으로 돌아가자 아버지의 죽마고우인 이상록[이진사]의 집에서 사랑채의 일을돌봐주며 살게 된다. 이상록의 부인 조씨가 여종인 은성과 혼인시키려 하자 조상을 욕보이는 일이라 하여 거절하는데, 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금복(金今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군졸(軍卒). 연일(延日) 출신.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수호(修好)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
    유형분류인물
  • 김금석(金今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25년 3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조석명(趙錫命)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평해(平海)에 사는 김금석(金今石) 등 2명이 강원도로 배를 타고 가는 길에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의 해안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
    유형분류인물
  • 김금이(金金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소통사(小通事)로 일본에 다녀왔다. 같은 해 6월 초 ...
    유형분류인물
  • 김긍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척족(戚族).
  • 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58(경덕왕 17). 신라 중대의 대신.
  • 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5(중종 30).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강(重綱)
  • 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7(명종 2)∼1603(선조 36).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지숙(止叔)| 북애(北厓)
  • 김기(金圻)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지숙(止叔), 호는 북애(北厓).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602년 순릉참봉(順陵參奉)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 그의 종제(從弟) 해(垓)와 함께 고을 사람들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으며, 정제장겸소...
    유형분류인물
  • 김기각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기남(金起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도훈도(都訓導)로서 정사 윤지완이 타고 간 제일선(第一船)에 배속...
    유형분류인물
  • 김기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4(숙종 40)∼1775(영조 5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덕용(德容)
  • 김기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고종 29)∼1953. 실업가.
  • 김기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7년∼1986년. 국문학자.
    이칭별칭 시원(枾園)
  • 김기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1993. 법학자.
  • 김기두(金箕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관리. 1876년 황해도(黃海道) 현감(縣監)에 취임하였다. 1880년 인천항 개항 및 공사관 설치의 철회와 부산항에서의 관세징수 교섭 등 외교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제2차 수신사로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별군관(別軍官)으로 수행하였...
    유형분류인물
  • 김기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3∼1983. 칠보공예가‧금속공예가.
  • 김기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6(정조 20)∼1854(철종 5).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원회(源會)| 묵천(默泉)
  • 김기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미상. 시인ㆍ문학평론가.
    이칭별칭인손(寅孫)|편석촌(片石村)
  • 김기립(金己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07년 4월 경상도 영해(寧海)에 사는 김기립(金己立) 등 11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
    유형분류인물
  • 김기만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수영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기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8(고종 5)∼1920. 기독교 감리교 목사.
  • 김기봉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기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이칭별칭 치규(稚圭)| 이호(梨湖), 낭간거사(琅?居士)
  • 김기서강학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연계항목김기서강학당(金麒瑞講學堂)
  • 김기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무신.
    이칭별칭 성극(聖極)| 정무(貞武)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