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관식시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관식의 시집.
  • 김관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65.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우당(愚堂)|관오(官五)
  • 김관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학자.
  • 김관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관리.
  • 김관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의 신하로, 건문황제가 물러난 뒤 바닷가를 떠돌다 조선에들어와 묘항산에서 중이 돼 오공선사(悟空禪師)라 한다. 조선의 장흥 천관산에 있다가 동문으로 찾아온다. 은자의 뒤를 이어 여러 곳을 떠다니며 황제를 위해 지었던 시를 읊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3(영조 19)∼1806(순조 6). 조선 후기의 척신(戚臣).
    이칭별칭 경일(景日)| 문익(文翼)
  • 김관주(金觀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일(景日). 아버지 김한록(金漢祿)이 영조의 장인인 김한구(金漢耉)의 사촌 동생이어서, 김관주는 정순왕후(貞純王后)와 6촌간이었다. 1765년 식년문과의 병과에 급제하였다. 지평‧정언‧교리‧수찬을 거쳐서 동래부사에...
    유형분류인물
  • 김관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서도소리의 명창.
  • 김관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7(고종 14)∼? 조선 말기의 군인‧관료.
  • 김관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0(고종 27)∼? 서양화가.
  • 김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천인.
  • 김광(金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왕조의 먼 친척으로 일본에 잡혀갔다가 쇄환된 인물. 1601년부터 1603년까지 일본에 체류하다 가족과 함께 쇄환됐다. 쇄환 이후 조선과의 화친을 바라는 일본국 게이테쓰 겐소(景轍玄蘇)의 서신을 조정에 알리고, 이어 일본과의 강화를 왕에게 진언했다. 이로 인해 ...
    유형분류인물
  • 김광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5(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대관(大觀)
  • 김광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4∼1993. 시인‧실업가.
  • 김광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2(명종 17)∼1608(선조 4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우(汝遇)| 일묵재(一默齋)
  • 김광두(金光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여우(汝遇), 호는 일묵재(一默齋).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 정경세(鄭經世)‧이전(李㙉)‧이준(李埈)‧전식(全湜)‧조정(趙靖) 등과 함께 함창(咸昌)‧황령(黃嶺) 등지에서 의병을...
    유형분류인물
  • 김광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이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광려 삼남매 화회문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020호. 상산김씨(商山金氏) 가문의 진사 김광려(金光礪, ?-?), 유학(幼學) 광범(光範, ?-?) 형제와 사위 좌랑 한건(韓健, ?-?)의 처 등 동복 삼남매가 토지와 노비를 분배하기 위하여 쓴 화회문기(和會文記).
    정의보물 제1020호. 상산김씨(商山金氏) 가문의 진사 김광려(金光礪, ?-?), 유학(幼學) 광범(光範, ?-?) 형제와 사위 좌랑 한건(韓健, ?-?)의 처 등 동복 삼남매가 토지와 노비를 분배하기 위하여 쓴 화회문기(和會文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Kim Gwang-ryeo Sam Nammae Hwahoe Mun-gi | MR표기Kim Kwang-nyŏ Sam Nammae Hwahoe Mun’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광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1966. 군인. 군번 1331197.
  • 김광립(金光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관. 본관은 김해(金海). 1618년 무오(戊午) 증광시(增廣試) 무과(武科)에 합격하였다. 황주판관(黃州判官)을 지냈다. 1635년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가 조선과의 우호 증진을 위해 쓰시마도주 소 요시나리(宗義成)를 시켜 통신사를 ...
    유형분류인물
  • 김광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광사(金光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의원(醫員). 자는 백여(白汝), 호는 소심헌(小心軒). 부사과(副司果)와 사과(司果) 등을 지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
    유형분류인물
  • 김광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 독립운동가.
    이칭별칭현충|경천
  • 김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9(고종 16)∼1939. 원불교의 성직자.
    이칭별칭 팔산(八山)|김성섭(金成燮)
  • 김광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1977. 시인.
    이칭별칭 이산(怡山)
  • 김광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제미(濟美)
  • 김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1953. 군인. 군번 18577. 평안북도 출신. 한국전쟁시 소위로써 제9사단 30연대 11중대 화기소대장으로 참전하여 경기도 김화의 북진능선전투(北進稜線戰鬪)에서 사망하였다.
  • 김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3∼? 사회주의 운동가.
  • 김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8(세조 14)∼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국화(國華)| 송은(松隱)
  • 김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6(숙종 22)∼? 조선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성중(成仲)| 상고당(尙古堂)
  • 김광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광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1∼1972. 대금 명인.
  • 김광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순부의 6촌 형제. 김순부가 방백과 진수, 종인의 모함을 받고 관동지방으로 귀양을 가자, 관동으로 따라 간다. 순부가 있는 곳 가까이에 천연두가 성하여 고을 현감인 조봉주에게 부탁하여 정결한 곳으로 옮겨 달라고 부탁을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4(숙종 20)∼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동첨(東瞻), 수이(秀而)| 독좌와(獨坐窩)
  • 김광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1(명종 16)∼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회(而晦)| 죽일(竹日)
  • 김광옥(金廣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광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7(숙종 33)∼1781(정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첨(伯瞻)| 당계(棠溪)
  • 김광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0(선조 13)∼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회이(晦而)| 죽소(竹所)| 문정(文貞)
  • 김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8(성종 9)∼1550 (명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언명(彦明)| 월봉(月峰)
  • 김광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
    이칭별칭 천서(天瑞)| 반포암(伴圃庵)
  • 김광일(金光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수역(首譯) 최상집(崔尙㠎)의 소동(小童)으로서 정사가 타고...
    유형분류인물
  • 김광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3(공민왕 12).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여(子輿)| 송당(松堂)| 문간(文簡)
  • 김광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6(고종3)∼? 민족운동가.
  • 김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공신.
  • 김광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1985. 악기장(樂器匠)의 기능보유자.
  • 김광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0∼1973. 소설가. 필명은 평(萍). 경기도 수원 출신. 중국 상해로 건너가 남양의학대학(南洋醫學大學)에서 수학했으나 중퇴하였다. 중일전쟁 중에는 중국에 머물다가 광복 후 귀국하여 ≪문화시보 文化時報≫‧≪예술조선 藝術朝鮮≫ 등의 창간에 관여하였고, 경향신문의...
  • 김광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3(명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숙예(叔藝)|상락군(上洛君)
  • 김광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0(의종 24). 고려 중기의 문신.
  • 김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7∼1997. 군인. 평양 출신.
  • 김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1986. 북한의 경제학자‧정치가.
  • 김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5(연산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임(子任)
  • 김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5(인조 3)∼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진옥(晋玉)
  • 김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1964. 독립운동가.
  • 김광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7(선조 30)∼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회(思晦)
  • 김광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상헌의 아들로, 전 정랑이다. 호란 때 아버지가 목을 매자구하지 않고 울며 운명하기를 기다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둔재(鈍齋)| 문민(文敏)
  • 김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3(성종 24)∼1550(명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유(子由)
  • 김광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귀봉의 남편. 아버지 김판서의 명에 따라 친척인 박춘천의집으로 가 이종사촌 사이인 박춘경과 친하게 지낸다. 어느 날 춘경의 청에 따라 집안어른들끼리 혼삿말이 오가는 귀봉을 미리 볼 욕심에 춘경의 도움을 받아 여장을 하고 귀봉의 집으로 간다. 그리고 춘경이 그려준 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체건의 아들이다. 특이한 체질을 지니고 태어나, 김신선을 따라가 약을 먹고 몸을 가볍게 하는 방술을 배운다. 김신선처럼 짚신 하나로 금강산에 두 번을다녀와도 떨어지지 않고 태식(胎息)에 능하여 겨울에도 홑옷을 입고 다닌다. 18세 때 아버지 김체건을 따라가 공청(空...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필(金匡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사행에 참여하였다. 부사 이언강의 소동인 배봉장(裵鳳章)과...
    유형분류인물
  • 김광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0(선조 23)∼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회경(晦卿)| 동림(東林)
  • 김광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4(선조 17)∼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회여(晦汝)| 수북(水北)
  • 김광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상헌의 조카로 참판이다. 호란 때 상헌이 목을 매자 구하지않고 울며 운명하기를 기다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광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년∼? 군인‧정치가.
  • 김광호(金光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관리. 동래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향서기(鄕書記)로서 정사 조엄이 타고 간 ...
    유형분류인물
  • 김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0(세종 32)∼1482(성종 13).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개백(介伯)| 석정(石亭)
  • 김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4(공민왕 23). 고려 후기의 무신.
  • 김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0(성종 1)∼1526(중종 2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견중(堅仲)
  • 김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9(영조 15)∼1816(순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야(子野)| 구와(龜窩)
  • 김굉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단종을 노산군에서 대군으로 추봉하자는 상소를 올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굉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4(단종 2)∼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이칭별칭 대유(大猷)| 사옹(?翁), 한훤당(寒暄堂)| 문경(文敬)
  • 김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8(세종 10)∼1480(성종 11). 조선 전기의 무신.
    이칭별칭 고경(高卿)| 양양(養襄)|오림군(烏林君)|선산군(善山君)
  • 김교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2(고종 19)∼1954. 독립운동가.
  • 김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60. 대중가요 작곡가.
  • 김교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45. 무교회주의를 제창한 교육자‧종교인.
  • 김교적개공신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에 있는 조선 세조가 이시애(李時愛)의 난에 공을 세운 김교(1428∼1480)에게 내린 교서.
    연계항목김교적개공신교서(金嶠敵愾功臣敎書)
  • 김교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4(고종 21)∼1965. 근대 양의학계의 선구자이며, 대종교 최고원로의 한 사람.
    이칭별칭 계평(季平)| 내원(萊園)|김준(金準)
  • 김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고종 26)∼1959. 독립운동가.
  • 김교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8(고종 5)∼1923. 독립운동가‧대종교 제2대 교주.
    이칭별칭 백유(伯猷)| 무원(茂園), 보화(普和)|헌(獻)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11(희종 7)∼1278(충렬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차산(次山)| 지포(止浦)| 문정(文貞)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3(우왕 9)∼1462(세조 8).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직지(直之)| 귀산(歸山)| 문장(文長)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8(성종 1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
    이칭별칭 대유(大柔)| 자암(自庵), 삼일재(三一齋)| 문의(文懿)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9(인조 27)∼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긍(士肯)| 관복재(觀復齋)| 충헌(忠憲)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고종 13)∼1949. 독립운동가‧정치가.
    이칭별칭 연상(蓮上)| 백범(白凡), 연하(蓮下)
  • 김구(金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초의 무신. 1406년 왜선(倭船)이 경상도 소지도(小知島)에 침입해 들어오자 견내량(見乃梁) 천호(千戶) 김구(金甌)가 녹도(鹿島) 천호 김인상(金仁祥)과 함께 왜선을 포획하고, 왜구의 머리 13급(級)을 베었다. 그 공을 인정받아 6월 4일 태종에게서 기(...
    유형분류인물
  • 김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 김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 선학연구가.
    이칭별칭담설행자(擔雪行者)
  • 김구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구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28(세종 10).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안정(安靖)
  • 김구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원(重遠)| 묵와(默窩)
  • 김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의관.
  • 김구세(金九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57년 10월 경상도 동래(東萊)에 사는 김구세(金九世)와 경상도 장기(長鬐)에 사는 김막복(金莫福) 등 24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
    유형분류인물
  • 김구안(金九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반인(伴人) 혹은 소동(小童) 등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구영(金九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삼지...
    유형분류인물
  • 김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38(충숙왕 복위 7)∼1384(우왕 10).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지(敬之)| 척약재(?若齋), 육우당(六友堂)| 문온(文溫)
  • 김구음립(金九音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7년 5월 경상도 흥해(興海)의 사공(沙工) 김구음립(金九音立)이 동료들과 함께 교역을 위해 영해(寧海)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갑자기 태풍을 만나 격군(格軍) 2명이 익사하였고, 생존자들은 표류하여 일본의 해안에...
    유형분류인물
  • 김구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0(영조 16)∼1786(정조 10). 조선 후기의 척신(戚臣).
  • 김구주(金九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통신사행 당시 한량(閑良)이었다.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
    유형분류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