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동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선조 6)∼1661(현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식(而式)| 봉곡(鳳谷)|동기(東起)
  • 김동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9∼1990. 판소리 고수.
  • 김동준(金東俊)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동준(金東俊, 1928-1990)은 전남 화순군 북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고수이다.(도판 1) 어린 시절 장판개(張判盖,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동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학공의 첫째장인이며 김별선의 아버지이다. 아내 조한미가 학공을 심하게 구박하자, 서당에 보내어 공부을 시킨다. 그리고 학공의 문필이 현명하고 영웅의 기상이 있음을 보고 무남독녀인 별선의 배필로 삼는다. 그러나 학공이 숨겨 놓은 노비ㆍ전답 문서를 통해 학공의 정체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돈 오 푼을 얻으려고 가자미 부인이 찾아오자 오 푼을 빌려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상도 안동 땅의 거부로, 김효증의 양아버지이다. 김효증에게 집안 살림을 맡기기 전에 청렴함을 보기 위해 처음에는 길 위에 은자 10냥을 놓고, 다음에는 은자 천여 금을 놓아 시험한다. 그러나 효증의 청렴결백함을 보고, 양자로 삼아 재산을 맡긴다. 친아들인 석이 반병...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흥부의 이웃 사람이다. 흥부가 매품팔이를 할 수 없게 되자 흥부에게 짚단을 주어 짚신을 삼아서라도 끼니를 잇게끔 도와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의 손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무관에 올라 어영장이 되나 간신배에게 억울한누명을 뒤집어쓰고 죽게 된다. 설씨부인의 아들 이여상이 이 사실을 알고 전하에게 사실대로 알려 살아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의 아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라도 나주부의 설진사와 같은 동네에 사는 김동지의 아들이다. 아내인 한임이 설씨부인의 억울한 누명을 벗기기 위해 서울에 왔다가 내려가는 길에 만나 죽이려 한다. 한임이 승지에게 받은 남병사의 직첩을 보이자 좋아하며 같이 전라도로 내려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지의 하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효증을 우연히 보고 거주성명을묻고, 집으로 데리고 들어가 저녁을 먹이고 재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동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체육인.
  • 김동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4∼?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봉호(鳳鎬)
  • 김동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78(숙종 4)∼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직(子直)| 낙건정(樂健亭)| 충혜(忠惠)
  • 김동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6(영조 12)∼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유학자.
    이칭별칭 공보(公輔)| 묵암(默巖)
  • 김동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0(철종 11)∼1944. 독립운동가.
  • 김동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4-1976.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기예능보유자.
  • 김동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1995. 군인‧체육인.
  • 김동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강릉관노가면극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동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년(고종 29)∼? 친일파.
    이칭별칭 백산(白山)
  • 김동현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송파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1980. 불교학자.
    이칭별칭 뇌허(雷虛)
  • 김동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 시인.
    이칭별칭 파인(巴人)
  • 김동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9∼1996. 배우.
  • 김동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2∼1984. 외교관‧행정가.
  • 김두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6(숙종 22)∼1763(영조 39).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도경(道卿)| 남리(南里), 운천(芸泉)
  • 김두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2(숙종 18)∼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광서(光瑞)| 낙선(樂善)
  • 김두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수봉(秀峰)
  • 김두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4(인조 22)∼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앙(子昻)| 만향(晩香)
  • 김두명(金斗明)[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자앙(子仰), 호는 만향(晩香). 1663년 20세 때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1671년 28세 때에는 정시(庭試) 문과(文科) 병과(丙科)에 합격하였다.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와 병조참의(兵曹參議) 등을...
    유형분류인물
  • 김두명(金斗明)[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정사 조태억이 타고간 제일선(第一船)의 별파진겸군관(別破陣兼...
    유형분류인물
  • 김두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 독립운동가‧한글학자‧정치가.
    이칭별칭 백연(白淵)
  • 김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2년(영조 28)∼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가인(歌人).
    이칭별칭김기성|성여|이길헌|광은부위
  • 김두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전의 아들이자, 김소저의 동생으로, 유어사의 수양아들이다. 유어사가 구해온 김소저가 친누이임이 밝혀지자 만나서 서로 붙들고 통곡한다. 유어사에게 재차 고마움을 표한다. 유어사 덕에 본래의 성인 김씨로 돌아간다. 김소저와 함께 유어사 부부를 극진히 모신다. 조윤경이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3∼?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가.
  • 김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88. 의학자.
    이칭별칭 일산(一山)
  • 김두필(金斗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백성. 부산 사람 김두필(金斗必) 등 7명이 표류하다가 쓰시마에 도착하였는데, 1733년 3월에 차왜 귤무상(橘茂尙) 일행과 함께 조선으로 돌아왔다.
    유형분류인물
  • 김두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8∼1972. 정치가.
  • 김두한가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연계항목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 김두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3년∼1981년. 윤리학자‧교육자.
    이칭별칭 예동(汭東)
  • 김둔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군관.
  • 김득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철과 아라나의 제수인 여인 사이에 태어난 둘째아들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4(우왕 10). 고려 후기의 무신.
  • 김득관(金得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김득관은 1784년 허일성(許日成) 등 일행 11명과 함께 표류하여 나가토주(長門州) 다마에우라(玉江浦)에 표착하였는데 7월 표차왜 평행신(平行信)에 의해 조선으로 송환되었다. 당시 표차왜 등정홍(藤正弘)도 손고남(孫...
    유형분류인물
  • 김득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라도 보성 군수로, 이순신과 함께 옥포에 가 우대장을 맡아일본 수군을 공격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철과 전유년의 동생인 여인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철과 전유년의 동생인 여인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명(金得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초의 무신.  1422년 8월 16일 왜선(倭船) 1척이 흑산도 인근에 침입해오자 전라도 도안무처치사(都安撫處置使) 조치(趙菑)의 명령을 받아 진무(鎭撫) 박현우(朴賢祐)와 함께 나가 싸워 적의 머리 12급(級)을 베었으며, 나머지 왜구들은 모두 바다에 익사...
    유형분류인물
  • 김득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12(충선왕 4)∼1362(공민왕 11).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난계(蘭溪)| 문충(文忠)
  • 김득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재상이다. 시관이 되어 책문이란 글로 인재를 뽑는데, 정몽주를 세 번 다 장원으로 뽑는다. 태조와 더불어 홍두적을 파하는 큰 공을 이루나 모함을당해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뒤, 시체가 저자거리에 버려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1(명종 16)∼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의병.
    이칭별칭 수중(綏仲)| 동엄(東?)
  • 김득복(金得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수중(綏仲), 호는 동엄(東广).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우 김득상(金得祥)과 함께 경주(慶州)에서 의병을 모았다. 4월 21일, 불국산(佛國山)으로 가서 이눌(李訥)을 만나 적을 막을 대책을 논의하고, 그와 합세하여...
    유형분류인물
  • 김득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철과 아라나의 제수인 여인 사이에 태어난 첫째아들이다. 1641년 전쟁 때 군대에 소속되어 있다가 아라나에 의해 아버지 김영철과 만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득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5(명종 20)∼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의병.
    이칭별칭 인중(麟仲)| 동오(東塢)
  • 김득상(金得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인중(麟仲), 호는 동오(東塢). 의병장 김득복(金得福)의 동생.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이 되었다. 6월 19일에 금오산(金鰲山)에서 여러 의병장들과 함께 문천회맹(蚊川會盟)에 참여하였고, 의병장 권응수(權應銖)의...
    유형분류인물
  • 김득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90. 판소리 고수.
    이칭별칭김영수(金永洙)
  • 김득수(金得洙)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득수(金得洙, 1917-1990)는 전남 진도군 진도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고이다. 본명은 김영수(金永洙)이다. 세습예인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득수(金得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인물. 1617년 정사 오윤겸(吳允謙) ∙ 부사 박재(朴榟) ∙ 종사관 이경직(李景稷)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오사카 평정을 축하하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유형분류인물
  • 김득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4년(선조 37)∼1684년(숙종 10). 조선 후기의 시인.
    이칭별칭 자공(子公)| 백곡(栢谷)
  • 김득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4(영조 30)∼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현보(賢輔)| 긍재(兢齋), 홍월헌(弘月軒)
  • 김득신(金得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후기의 인물. 163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였다. 1643년에 정사(正使) 윤순지(尹順之) ‧ 부사(副使) 조경(趙絅) ‧ 종사관(從事官) 신유(申濡)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갔을 때,...
    유형분류인물
  • 김득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5(명종 10)∼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여정(汝精)| 갈봉(葛峯)
  • 김득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 김득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득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 김득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2(명종 17)∼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운서(雲西)| 구재(懼齋)
  • 김득추(金得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운서(雲西), 호는 구재(懼齋). 1599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다. 영양(永陽)‧창암(倉巖)‧노항(魯巷) 등지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으며, 당시의 공을 인정받아 훈련원주...
    유형분류인물
  • 김득휘(金得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719년 2월 옥포왜학(玉浦倭學)으로서 신도주승습고경대차왜(新島主承襲告慶大差倭) 정관(正官) 히라타 사네카타(平田眞賢, 平眞連) 일행과 구도주고부차왜(舊島主告訃差倭) 정관 이치노미야 스케자에몬(一宮助左衛門) 일행이 왔을 때 문정(問情)...
    유형분류인물
  • 김득(金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실(仲實). 1570년 40세 때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였고, 내금위(內禁衛)를 지냈다. 1595년 12월 명나라 장군 심유경(沈惟敬)이 일본에 대한 명의 책봉사(冊封使)에 조선의 ...
    유형분류인물
  • 김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27(태조 10). 고려 전기의 개국공신.
    이칭별칭 장절(壯節)
  • 김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1(공민왕 20).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래(金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량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약야계의 사신으로, 당나라 3년에 적병이 아압지에 침범한 경위를 보고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폐신(嬖臣).
  • 김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75(숙종 1)∼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용여(用汝)| 설재(雪齋)
  • 김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6(영조 42)∼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문인‧학자.
    이칭별칭 사정(士精)| 담정(?庭)
  • 김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8(충렬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숙종시절 예방 승지를 지낸 김함담의 아버지이다. 퇴임한 후 군자동에 집을 짓고 영아지(影娥池)란 연못을 만든다. 어느 가을날 밤 단종의 슬픈 죽음에 관한이야기를 듣고 감동하여 시를 짓고 술을 부어 제를 지낸다. 그날 밤 이후 단종의 어머니 최빈이 나타나 연꽃을 주는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6(선조 9)∼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옥여(玉汝)| 경재(警齋)
  • 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7(선조 10)∼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준(子峻)| 계암(溪巖)| 문정(文貞)
  • 김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희경의 부친이다. 송나라 문제 때 평장사(平章事) 벼슬을 지내나 하직하고 고향인 하남(河南) 벽도촌(碧桃村)에 돌아가 산다. 40이 되도록 자식이 없어 슬퍼하다가 금화암(金華庵) 청룡사(靑龍寺) 노승에게 시주하여, 아들 김희경을 낳는다. 간신의참소를 입어 북해로 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령역(金嶺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양재도(良才道) | 관련어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경기좌도충청도정역찰방(京畿左道忠淸道程驛察訪), 광주도(廣州道), 용인현(龍仁縣)
  • 김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5(공민왕 4)∼1416(태종 16). 고려 말ㆍ조선 초의 문신.
    이칭별칭 공경(恭頃)
  • 김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3(정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유(景由)| 설암(雪?)| 문헌(文獻)
  • 김록주(金綠珠)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록주(金綠珠, 1898-1928)는 경남 김해(현재 경남 김해시)에서 태어나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여성 명창이다.(도판 1)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룡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지도 태수이다. 계중자가 유태사를 찾는 방문을 보고 자신의 집에 머무는 글방선생이라 말하자, 황제에게 유태사가 지도 북촌에 있음을 아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룡리 운달산(雲達山)에 있는 절.
  • 김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1(선조 4)∼1648(인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관옥(冠玉)| 북저(北渚)| 문충(文忠)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경징의 아버지이다. 공론(公論)을 살피지 않고 강도(江都)[江華島] 수비의 중한 임무를 아들 김경징에게 맡겨 일을 그르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반정을 도모하던 중, 누구를 임금으로 세울까 망설이다가 꿈에곤룡포를 입고 옥련(玉輦)을 탄 인물을 보았다는 부인의 말을 듣고는 마침 찾아온 능양군을 보고 그가 꿈속의 인물임을 깨닫고 왕으로 추대하기로 정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귀, 이괄 등과 함께 인조반정에 참여한다. 거사 당일 뒤늦게도착하여 이괄로부터 병권을 빼앗아 다툼을 일으키지만 이귀의 중재로 그친다. 인조가 공에 따라 벼슬을 내릴 때 거의대장이 된다. 이어진 잔치에서 이귀의 오른편에 앉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항복이 유배를 떠나면서 광해군에게 바른 정사를 할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하며 그림 한 장을 전해 준다. 항복이 죽은 뒤 능양군의 사저에 가 그림을 건네주고, 후일 반정을 할 때 도움을 준다. 93) 이본인 [여중호걸]에는 ‘송나라 문제 시절의 명관 김평’으로 나와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신하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으로 올리는 반란을 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승평부원군으로 자는 관옥이다. 광해군의 폭정이 날로 더하자, 능양군을 모시고 반정을 도모한다. 이귀와 함께 반정 계획을 주장한다. 신경진을 찾아가 반정에 뜻을 모으고 힘써 노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청나라가 쳐들어와 강화도에 피신 중인 소현세자와 효종 등을잡아들이자 최명길과 함께 인조에게 화친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의정으로, 척화를 주장하고, 요충지의 진을 철회하여 뒤로 물릴 것을 주장한다. 적이 공격해 오자 체찰사가 되어 남한산성에 들어가 경기 수령들에게 성첩을 지키게 한다. 나가서 싸우자는 의견이 올라오자 반대하여 산성을 지키기를 청한다. 술사가 찾아와 이로운 날이니 무엇...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