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기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년∼1974년. 철학자‧교육학자.
    이칭별칭 서은(西隱)
  • 김기석(金己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영덕(盈德)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나장(羅將)으로...
    유형분류인물
  • 김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6(순조 6)∼1883(고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유용(幼用)| 기서(沂墅)|기운(驥雲)
  • 김기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68(원종 9). 고려 후기의 문신.
  • 김기수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서울 출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지(季芝), 호는 창산(蒼山)이다. 1602년 선조의 계비가 되었던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아버지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 1562년∼1613년)의 7세손으로 부는 김준연(金駿淵)이다. 조부 김선(金䥧, 177...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김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2(순조 32)∼?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지(季芝)| 창산(蒼山)
  • 김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86. 대금(大笒) 연주가 및 작곡가‧교육자.
  • 김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8∼1997. 권투선수.
  • 김기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봉산탈춤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기수(金綺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지(季芝), 호는 창산(蒼山). 서울 출신. 김준연(金駿淵)의 아들. 1875년 현감으로 별시문과에 합격해,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응교가 되었다. 1875년 9월 운요호사건(雲揚號事件) 발생 후 일본은 전권대사 구...
    유형분류인물
  • 김기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화감독ㆍ제작자.
  • 김기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1938. 독립운동가.
    이칭별칭명숙(明淑)|사보(士寶)
  • 김기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3∼1996. 고고학자.
    이칭별칭 동인(東人)
  • 김기조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기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5(선조 18)∼1635(인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윤(仲胤)| 청하(聽荷)| 충정(忠定)|영해군(瀛海君)
  • 김기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9년(철종 10)∼1933년. 육영사업가.
    이칭별칭 원파(圓坡)
  • 김기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9(순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공서(公緖)| 석거(石居)
  • 김기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0(고종 27)∼1935. 원불교의 성직자.
    이칭별칭 삼산(三山)|김성구(金聖久)
  • 김기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목의 아들로, 일찍이 규목낭이 동자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태몽을 꾸고 태어난다. 어려서부터 활달한 기질과 뛰어난 재주로 뭇사람들의 칭송을 듣던 중, 윤시랑부인의 주선으로 전임 재상 최두칠의 딸 최장옥과 혼약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절강 원성현화월루로 가 혼인식을 치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기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86. 정치가‧행정가.
  • 김기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85. 독립운동가‧불교지도자.
    이칭별칭 백봉(白峯)
  • 김기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4(영조 30)∼1827(순조 2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대백(大伯)
  • 김기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9(인조 27)∼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용구(用九)
  • 김기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4(고종 21)∼1921.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직재(直齋)
  • 김기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7(고종 24)∼1943. 독립운동가.
    이칭별칭해악|현구(鉉九)|현구(玄九)|현구(玄狗)
  • 김기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4(순조 24)∼1903. 조선 말기의 천주교인.
    이칭별칭요한
  • 김기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1∼1986. 의학자.
    이칭별칭 윤숙(允淑)| 덕천(德川)
  • 김기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7(영조 23)∼1830(순조 3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중(士重)| 효헌(孝憲)
  • 김길생(金吉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 남원(南原) 사인(士人) 김용협(金龍俠)의 아들. 정유재란 당시 13세의 나이로 포로가 되어 일본에 잡혀갔다. 1617년 정사 오윤겸(吳允謙)・부사 박재(朴榟)・종사관 이경직(李景稷)으로 하는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가 일본을 방...
    유형분류인물
  • 김길손(金吉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 직장(直長)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무장 이여송(李如松)의 차비통사(差備通事)로 강화교섭을 위해 명나라 진영과 일본군 진영에 사이의 통역 업무를 담당하였다. 1595년 12월 명나라 장군 심유경(沈惟敬)이 일본에 대한 명의 책봉사...
    유형분류인물
  • 김길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고종 29)∼1977. 목사‧교육사업가.
  • 김길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8(태종 8)∼1473(성종 4).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숙경(叔經)| 월천(月川)| 문평(文平)|월천군(月川君)
  • 김길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의관.
  • 김길호(金吉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의 의관(醫官). 문종이 39세로 강녕전(康寧殿)에서 죽을 때 내의를 역임하였으므로 조경지(曺敬智)‧전인귀(全仁貴)‧정차량(鄭次良)‧조흥주(趙興周)‧송담(宋膽)과 함께 곤장 90대의 체벌을 받고 관직을 박탈당하였으나 곧 내의원(內醫院)에 벼슬하였다. 1...
    유형분류인물
  • 김나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진성의 아버지이다. 대대 명문거족으로 전라도 나주 목사를 지냈는데, 붕당의 파벌을 싫어하여 벼슬을 내놓고 충청도 홍주로 내려가 조용히 살아간다. 어느 날 18세 된 아들 진성에게 ‘은자 십만 냥을 송도 사는 이희철에게 빌려주었으니받아오고, 돌아오는 길에 조정에서 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문신.
  • 김낙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1(고종 18)∼1925. 조선 말기의 의병, 독립운동가.
    이칭별칭낙진(洛振)
  • 김낙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0(철종 11)∼1919.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맹암(孟巖)
  • 김낙준(金洛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통사.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의 일원으로 내무성(內務省)을 시찰한 박정양(朴定陽)의 통사를 맡았으며, 이상재(李商在) ‧ 왕제응(王濟膺) 등과 함께 일본에 다녀왔다.
    유형분류인물
  • 김낙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8(철종 9)∼1917. 조선 말기의 동학지도자.
    이칭별칭 여중(汝仲)| 용암(溶庵)
  • 김낙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6(정조 10)∼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적여(績汝)| 삼락재(三樂齋)
  • 김낙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8(숙종 34)∼1766(영조 42).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간부(艮夫)| 구사당(九思堂)|진행(晉行)|퇴보(退甫)
  • 김난기(金蘭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군졸(軍卒). 동래(東萊) 출신.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수호(修好)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
    유형분류인물
  • 김난립(金亂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6년 5월 동래부사(東萊府使) 한중희(韓重熙)가 재직하던 때에 경상도 경주(慶州)에 사는 김난립(金亂立) 등 6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지쿠젠국(筑前國)에 이르렀다....
    유형분류인물
  • 김난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7(중종 2)∼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응(季應)| 병산(?山)
  • 김난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5(고종 32)∼? 독립운동가.
  • 김난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파견된 사신.
  • 김난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1(정조 5)∼1851(철종 2). 조선 후기의 문신ㆍ서예가.
    이칭별칭 사의(士?)| 벽곡(碧谷)| 효문(孝文)
  • 김난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만의 딸이다. 평소 입상출장할 남자와 혼인하기를 소원하다가, 과거를 보러 온 윤선옥을 보고 부친 김만에게 그와 혼인하기를 청한다. 선옥이 거절하나, 포기하지 않고 직접 술상을 차려 가 첩으로 삼아 달라고 간청해 소원을 이룬다. 박씨부인이 살아 돌아오자 기뻐한다. 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남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1945. 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 우산(雨田), 학산(鶴山)
  • 김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0(충정왕 2)∼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이칭별칭 장양(莊襄)
  • 김남이(金男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관리. 『조선통신총록(朝鮮通信總錄)』에는 김남(金男)으로, 필담창화집 『상한훈지(桑韓塤篪)』에는 김만(金萬)으로 되어 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
    유형분류인물
  • 김남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5(인조 13)∼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백(重伯)| 지남(砥南)
  • 김남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6∼1994. 시인.
  • 김남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6(선조 29)∼1663(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진(白珍)| 야당(野塘)| 정효(貞孝)|경천군(慶川君)
  • 김남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87. 언론인‧수필가.
    이칭별칭 남봉(南鳳)
  • 김남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할아버지가 영상(領相)을 지내고 아버지는 판서에 이른 명문가의자제이다. 문장과 재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풍류를 알아 술과 여자를 좋아하여 명성이 자자하다 숭정 갑신년. (崇禎) (甲申年, 1644) 2월 어느 봄날에 춘흥을 못이겨 친구 몇 명과 함께 산 위에 올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남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참의이다. 세자부빈객이 되어 세자를 수행해 청으로 가려 하나박노로 바뀐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남중(金南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남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1∼1953. 소설가‧문학비평가.
  • 김남표(金南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1년 2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형상(李衡祥)이 재직할 때에 전라도 진도(珍島)에 사는 김남표(金南杓) 등 3명이 물품 교역을 위해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에 이르렀다. 당시 도...
    유형분류인물
  • 김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낭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흠탈의 딸로, 신계후의 아내이다. 16세 때 집 초당에서 공부하며 지내던 신계후와 혼인한다. 어느 날 남편이 중요한 문적이라며 건네준 것을 살펴보고, 아버지가 계후 집안에서 도망간 노비임을 알게 된다. 아버지가 계후를 죽이리라 생각하여계후와 옷을 바꾸어 입고 도망갈...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낭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낭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낭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내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9(고종 6)∼? 장로교 목사ㆍ독립운동가.
  • 김내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9∼1957. 소설가.
    이칭별칭 아인(雅人)
  • 김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7(선조 즉위년)∼1650(효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지(汝知)| 돈봉(遯峯)
  • 김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김해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가야군(伽倻郡)|금관군(金官郡)
  • 김녕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 에 있는 용암동굴.
    이칭별칭김녕사굴|사굴|만장굴
  • 김녕중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 김노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1(정조 5)∼1853(철종 4).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원익(元益)| 성암(性菴), 길고자(吉皐子)
  • 김노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6(영조 42)∼1837(헌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가일(可一)| 유당(酉堂)
  • 김노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1(순조 11)∼1886(고종 23).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자유(子唯)| 기계(奇溪)
  • 김노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사각 휘하의 아장으로, 호장 태평춘과 싸우다 죽음을 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노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7(영조 33)∼1824(순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유일(唯一)| 일와(一窩)| 정헌(正獻)
  • 김노응(金魯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유일(唯一), 호는 일와(一窩). 1786년 진사시에, 1805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지평‧부응교‧대사성을 거쳐서 1812년 4월 동래부사에 제수되었고, 7월에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면서 자리를 옮겼다. 이...
    유형분류인물
  • 김노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5(영조 11)∼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성첨(聖瞻)
  • 김노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왕족.
    이칭별칭노단(老旦)|노차(老且)
  • 김노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술막 주인의 아내로, 동정심과 연민이 많고 외로움을 타는 편이다. 또한 외아들이 방탕하고 난봉꾼이어서 근심도 많다. 금동에게 아들보다 많은 사랑을 주고금동에게 자신을 친고모로 여기라고 한다. 그러나 자신의 아들의 계략으로 위기에 처한 금동을 도와주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노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성에 사는 노파로, 돈 100냥을 받고 반필석에게 여장을 시켜김승상 집에 데려가 승상의 딸과 함께 별당에서 놀게 하는 한편, 은 100냥을 받고 보검을사 필석에게 채워 준다. 필석에게 밤에 몰래 김승상 댁 초당에 들어가는 방법을 알려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노(金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녹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녹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4∼1985. 정치가.
  • 김녹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23. 판소리의 명창.
  • 김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6(세종 18)∼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고(子固)| 금헌(琴軒), 취헌(翠軒), 쌍계재(雙溪齋), 관후암(觀後庵), 상락거사(上洛居士)
  • 김능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31(흥덕왕 6). 신라 하대의 왕족.
  • 김능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1∼? 대중가요 작사가.
  • 김늦쇠[金芿叱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김잉질금. 김늦쇠는 1784년 손고남(孫古男) 등 일행 13인과 함께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주(長門州) 나카지마(中島)에 표착하였다가 7월 표차왜 등정홍(藤正弘)에 의해 송환되었다. 함께 표류한 손고남은 같이 표류한 사람...
    유형분류인물
  • 김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0(중종 35)∼1621(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학자ㆍ문신.
    이칭별칭 지중(止中)| 유당(柳塘)
  • 김다준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무신.
  • 김단갈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관리.
  • 김단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38.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김태연
  • 김달(金達)[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군관(軍官). 동래(東萊) 출신. 군공정(軍功正)을 지냈다. 1600년 6월 15일 비변사(備邊司)에서 일본사신의 동태와 일본에 답서를 보내는 일로 아뢰는 글에 의거하면, 동래부사(東萊府使) 김준계(金遵階)가 본사(本司)에 “왜사(倭使)는 지난날 ...
    유형분류인물
  • 김달(金達)[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후기의 역관(譯官). 1663년 2월 왜인 리헤에(利兵衛)가 빚을 받기 위해 김용갑(金龍甲, 『변례집요』 권14 잡범(雜犯)에는 ‘朴龍甲’으로 나옴)과 다투는 과정에서 소통사(小通事) 김달(金達)이 이를 말리려다 리헤에에게 칼로 머리를 맞아 죽었다. 이 ...
    유형분류인물
  • 김달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귀족.
    이칭별칭김복달
  • 김달봉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수영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