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류의 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류가 왕으로 추대할 사람을 고민할 때 곤룡포를 입은 능양군의 꿈을 꾼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7(충렬왕 3)∼1348(충목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무기(無己)| 죽헌(竹軒)| 정렬(貞烈)
  • 김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관리. 관등은 아찬(阿飡).
  • 김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9(명종 4)∼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도성(道盛)| 물암(勿巖)
  • 김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0(중종 35)∼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희옥(希玉)| 백암(柏巖)| 민절(敏節)
  • 김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종정으로 김유신의 후예이다. 왕의 총애를 받는 흑의도인을 참소하여 유배를 당하게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2(공민왕 11).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2. 사회주의운동가. 1918년 한인사회당 창당에 참가한 주요 임원으로서 이동휘(李東輝)위원장 체제의 교통부장 연락책(連絡責)을 역임하였다.
  • 김립(金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백성. 1661년 6월에 김립은 밤에 몰래 왜관(倭館)의 담을 넘어 들어가서 가포(價布)와 흑각(黑角)을 훔쳐 나왔다. 그 장물을 임오을미(林五乙未)의 집에 숨겨두었다가 발각되었다. 이에 김립은 왜관 근처에서 효시되었고, 임오을미는 엄벌에 처해졌다.
    유형분류인물
  • 김립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시인 김병연(金炳淵)의 시집.
  • 김마당(金麻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포수(砲手)로...
    유형분류인물
  • 김마당(金磨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1643년에 정사(正使) 윤순지(尹順之) ‧ 부사(副使) 조경(趙絅) ‧ 종사관(從事官) 신유(申濡)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갔을 때, 김용금(金龍金) ‧ 김천(金千) 등과 함께 전악...
    유형분류인물
  • 김마리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1944. 독립운동가‧교육자.
  • 김마리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70. 독립운동가.
  • 김막금(金寞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제주(濟州)에 사는 김목(金目)과 막금(莫金) 형제가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히젠국(肥前國)에 이르렀다. 1444년 8월 히젠국 태수(太守)가 우단도로(牛丹都老)를 보내어 김목을 조선으로 돌려보냈는...
    유형분류인물
  • 김막대(金莫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기선(騎船) 소속의 정수(碇手)로서 사행에 ...
    유형분류인물
  • 김막립(金莫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7년 5월 경상도 울산(蔚山)에 사는 김막립(金莫立) 등 7명은 생복(生鰒)을 캐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
    유형분류인물
  • 김막복(金莫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57년 10월 장기(長鬐)에 사는 김막복(金莫福)과 동래(東萊)에 사는 김구세(金九世) 등 24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들에게 쌀‧...
    유형분류인물
  • 김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학자.
  • 김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성의 관복으로, 태평과를 치르기 위해 경성에 올라온 윤선옥이 거처로잡은 집의 주인이다. 딸 난향이 윤선옥과 혼인하기를 청하니, 이를 받아들여 선옥에게 구혼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만(金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40년 5월 전라도 강진(康津)에 사는 김만(金萬) 등 10명이 진상품인 생복(生鰒)을 캐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고토(五島)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유형분류인물
  • 김만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6(고종 23)~? 사회주의운동가.
  • 김만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9(명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임(仲任)
  • 김만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1(인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정평(正平)| 사휴(思休), 취선(醉仙), 이호(梨湖)
  • 김만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1984. 농업관료.
  • 김만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3(인조 11)∼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영숙(永淑)| 서석(瑞石), 정관재(靜觀齋)| 문충(文忠)|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김만기묘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에 있는 김만기의 유택.
    연계항목김만기묘역(金萬基墓域)
  • 김만기(金萬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만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적(子迪)
  • 김만남(金萬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25년 4월 제주(濟州)에 사는 김만남(金萬男) 등 11명이 굶주린 백성을 구휼할 곡식을 사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고토(五島)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
    유형분류인물
  • 김만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제주에 살던 의로운 기생이다. 본래 탐라에 살던 양가의 딸이나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의지할 곳이 없어 스스로 기생이 된다. 조금 자라 기명(妓名)을 ‘만덕’으로 하고 몸을 굽혀 기생 노릇을 하나 여느 기생과 생각하는 바가 달라, 스무 살이 될 때 관가에 나가 자신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만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원철의 하인이다. 원철이 아버지 박참판의 명을 어기고 벽부용의 미색에빠져 집으로 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자, 상전을 보필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만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소설가.
  • 김만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3(명종 8)∼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덕로(德老)| 장양(莊襄)
  • 김만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8(철종 9)∼? 조선 말기의 문신.
  • 김만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고종 31)∼1924.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회일(會一)
  • 김만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춘영이 남복을 하고 다닐 때 사용한 이름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만수(金萬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로(德老). 천수(千壽)・백수(百壽)・구수(九壽) 세 아우와 함께 용맹하기로 알려진 인물이다. 1592년 7월 김진수(金進壽)・김만수(金萬壽)・황하수(黃河水) 세 사람을 의병장(義兵將)으로 정하라는 명령을 ...
    유형분류인물
  • 김만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1∼1991. 군인.
  • 김만식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기경(器卿), 호는 취당(翠堂)이다. 청은군(淸恩君) 김익정(金益鼎)의 넷째 아들로서 김윤식의 종형이다. 유신환(兪莘煥)의 문인으로 진사가 되었고, 186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동부승지 ‧ 공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82년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김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4(순조 34)∼1900.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기경(器卿)| 취당(翠堂)
  • 김만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오군란이 평정되고 일본과의 제물포조약이 체결된 후 일본에 사례사를 보낼 때 부사로 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만식(金晩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 청풍(淸風). 자는 기경(器卿), 호는 취당(翠堂). 청은군(淸恩君) 익정(益鼎)의 아들. 1869년 병과로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 ‧ 공조참의(工曹參議)가 되었다. 1880년 제2차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의 부사(副使)로서...
    유형분류인물
  • 김만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8∼1967.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순학(舜鶴)
  • 김만유(金萬裕)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서울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반전직(盤纏直)으로서 종사관 김상익이 타고 간 제삼...
    유형분류인물
  • 김만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7년(인조 15)∼1692년(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소설가.
    이칭별칭 중숙(重淑)| 서포(西浦)| 문효(文孝)
  • 김만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5(인조 1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경능(景能)| 둔촌(遯村)| 문정(文貞)
  • 김만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4(인조 22)∼171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봉(子封)
  • 김만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6∼1984. 양화가.
    이칭별칭 형중(亨仲)
  • 김만형(金萬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인물. 자는 예중(禮仲). 김해 출신.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에 방문하였을 때, 정사 반인(伴人)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만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36. 일제 강점기의 항일무장투쟁 지도자.
    이칭별칭김동만|박봉남|강철산|오만복
  • 김만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광무 9)∼1969. 정악 해금의 명인.
    이칭별칭 후락재(後樂齋)
  • 김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9(우왕 5)∼1464(세조 10).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간지(幹之)| 문장(文長)
  • 김말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62. 여류소설가.
    이칭별칭말봉(末鳳)|보옥(步玉)
  • 김말승(金唜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5년 5월 경상도 영해(寧海)에 사는 김말승(金唜承) 등 9명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
    유형분류인물
  • 김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는 잡초를 없애는 일.
  • 김매기 소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의 총칭
    정의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의 총칭 | 문광부표기gimmaegi sori | MR표기kimmaegi s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매기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논이나 밭의 김을 매면서 부르는 민요. 농요(農謠)의 하나이다.
    이칭별칭기음노래|논매기소리|만두레소리
  • 김매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6(영조 52)∼1840(헌종 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덕수(德?)| 대산(臺山)| 문청(文淸)
  • 김매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주부의 딸이다.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와 같은 모습이나, 김주부를 시기한 조정 백관과 경계하는 전하 의 눈을 피해 남복을 하고 황해도 연안골로 간다. 부모를 기다리다가 조병사(兵使)의 여종 옥란이 물을 길러 왔다가 병사의 집으로 가 부모와 헤어진 사실을 이야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30(현종 21). 고려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정고(貞固)| 문정(文定)
  • 김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0(태종 10)∼1483(성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진(子進)
  • 김맹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역관(譯官).
  • 김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학자.
    이칭별칭 만취당(晩翠堂)
  • 김맹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고종 13)∼1959. 조선 말기의 의병.
    이칭별칭찬두(讚斗)
  • 김맹산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환술
    대분류환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맹삼(金孟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나장...
    유형분류인물
  • 김맹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4(공민왕 23)∼1449(세종 31).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희경(僖敬)
  • 김맹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7(세종 19)∼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선원(善源)| 지지당(止止堂)
  • 김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당나라에 가 있던 질자(質子).
  • 김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1년(중종 36)∼1593년(선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
    이칭별칭 지해(志海)| 송암(松庵)
  • 김면(金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지해(志海), 호는 송암(松庵).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5월에 조종도(趙宗道)‧곽준(郭䞭)‧문위(文緯) 등과 함께 거창(居昌)과 고령(高靈)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금산(錦山)과 개령(開寧) 사이에 주...
    유형분류인물
  • 김면삼(金免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후기의 인물. 현풍(玄風) 출신. 1636년 정사 임광(任絖) ∙ 부사 김세렴(金世濂) ∙ 종사관 황호(黃㦿)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막부의 태평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부사 소속의 소동(小童)으로서 심극룡(沈克龍) ∙ 박광화(朴光華) ...
    유형분류인물
  • 김면장군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에 있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김면(金沔)장군의 묘소 및 신도비ㆍ도암사(陶巖祠)ㆍ도암재(陶巖齋)ㆍ도암서당(道巖書堂) 등 일괄유적.
    연계항목김면장군유적(金沔將軍遺蹟)
  • 김면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0(순조 20)∼1866(고종 3). 조선 후기의 천주교 순교자.
    이칭별칭토마스|면호(冕浩)|계호
  • 김면호(金勉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명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명국󰠐천여󰠐연담󰠐취옹
  • 김명국(金明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도화서(圖畫暑) 화원(畵員).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천여(天汝), 호는 연담(蓮潭) ∙ 취옹(醉翁). 1636년 정사 임광(任絖) ∙ 부사 김세렴(金世濂) ∙ 종사관 황호(黃㦿)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막부의 태평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
    유형분류인물
  • 김명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고종 26)∼1923. 독립운동가.
  • 김명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8(헌종 14)∼?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문정(文貞)
  • 김명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1977. 독립운동가.
  • 김명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 김명길(金命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도사공(都沙工)으로서 정사가 타고 간 제일선(第一船)...
    유형분류인물
  • 김명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1950. 독립운동가‧정치가.
  • 김명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1978. 조선 말기의 의병,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유근(有根)
  • 김명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1975. 체육학자. 평안북도 정주 출생. 오산중학교를 거쳐 1935년 일본체조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인 오산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47년부터 평양교원대학 교수, 1954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장‧교육대학원장‧부총장을 역임하였다.
  • 김명빈1(金昌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명빈2(金千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명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나라 무종 황제 때 진권이 난을 일으키자, 오인응[오금선]과 함께 출정하여 붉은 갑옷을 입고 주작기를 들고 나가 남방에 진을 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색(金命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통영(統營)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기선도사공(騎船都沙工)으...
    유형분류인물
  • 김명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7∼1982. 의사.
    이칭별칭 해사(海沙)
  • 김명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 여류시인ㆍ소설가.
    이칭별칭탄실|망양초
  • 김명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1924. 민족운동가‧언론인.
  • 김명신(金命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04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야(李壄)가 재직할 때에 전라도 낙안(樂安)에 사는 김명신(金命信) 등 10명이 장사를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해안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
    유형분류인물
  • 김명신(金明信)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명신(金明信, 1946- )은 전남 화순군 춘양면 출신의 판소리 여성 명창으로, 본명은 김연임(金連任)이다. 12세(1957년) 무렵 광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명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미(士美)
  • 김명우(金命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천성진(天城鎭)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영기수(令旗...
    유형분류인물
  • 김명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4(중종 29)∼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응순(應順)| 주은(酒隱)| 충익(忠翼)|경림군(慶林君)
  • 김명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왜란이 일어나자 한강을 지키다가 일본군에게 패하여 임금께벌을 내려 달라고 하나, 임진강을 막은 공으로 벌을 면한다. 임진강을 지키다가 일본군이몰려드니 일본군을 치려는 성질 급한 신할을 제지한다. 어느 날 갑자기 도망가는 일본군을보고 유인 작전임을 간파하여, 유극량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명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대신으로, 남이신의 거짓 보고를 의심하여 선조에게 의견을 말한다. 원균이 패하여 죽자, 이는 원균의 죄이니 서둘러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