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기선장(騎船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후기 통신사와 문위행이 일본에 도항할 때 타고 간 기선(騎船)의 선장. 기선은 삼사신 등 사행원이 타는 배를 말한다. 통신사행 때 사절단이 정사 ∙ 부사 ∙ 종사관을 중심으로 각각 제일선(第一船) ∙ 제이선(第二船) ∙ 제삼선(第三船)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
    유형분류제도
  • 기설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 눈이 오기를 기원하던 제사.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속된 농경의례의 하나이다.
  • 기설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 눈이 오기를 기원하던 제사.
    정의나라에서 눈이 오기를 기원하던 제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seolje | MR표기kisŏlch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설제(祈雪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사한제(司寒祭), 초제(醮祭)
  • 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원도 김화 지역의 옛 지명.
    이칭별칭동사홀군(冬斯忽郡)
  • 기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계로 가는 길에 있는 열두 나라 중 하나인 유구국의 왕.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소식을 전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억력.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성(箕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이십팔수(二十八宿) | 동의어기(箕), 기수(箕宿) | 관련어성수(星宿), 천문(天文)
  • 기성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 기성별곡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정의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seong byeolgok | MR표기Kisŏng pyŏl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성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표준화된 치수와 일정 디자인을 가지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으로 제품화된 의복류의 총칭.
  • 기성볼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4년평양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 기성연합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법연구회(현재의 원불교)가 1928년 7월에 교단의 경제확립과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조직한 단체.
  • 기성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인조 때 이징(李澄)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평양성 그림지도의 사본.
  • 기성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6년 정내근(鄭乃根)이 엮은 전라남도 함평군 읍지.
  • 『騎省集』은 北宋 徐鉉(917∼992)의 문집이다. 徐鉉은 젊었을 때 南唐에 出仕하였다가, 南唐 멸망 후 宋에서 散騎常侍 등을 지냈다. 『騎
    서명기성집(騎省集) | 간행徐鉉, 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기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근이 든 해. 기세(飢歲).
    정의기근이 든 해. 기세(飢歲).[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se | MR표기kis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세상을 떠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흉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세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형제의 서열을 맺은 마을 사이에 아우되는 마을이 형되는 마을에 농기(農旗)로 신년의 세배를 올리는 민속놀이.
  • 기세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2년(인조 20)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 기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사가 법원에 대하여 특정한 형사사건의 심판을 청구하는 소송행위.
  • 기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로소(耆老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소 기요아리(喜早淸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국학자 ‧ 신쇼쿠(神職). 희조청재(喜早淸在). 본성(本姓)은 와타라이(度會), 호는 돗사이(訥齋) ‧ 릿켄(立軒), 통칭은 이나바(因幡) ‧ 헤이마(平馬). 이세신사(伊勢神社)의 사관(祠官). 희조입헌(喜早立軒) ∙ 도회청재(度會淸在) ∙ ...
    유형분류인물
  • 기소유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소편의주의(起訴便宜主義)에 따라 검사가 공소(公訴)를 제기하지 않는 처분.
  • 기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말과 하인.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솔리석불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이칭별칭안성기솔리석불입상 | 연계항목기솔리석불입상(基率里石佛立像)
  • 기송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사람을 보냄. 노비나 아랫사람을 보낼 때 쓰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공명한 기운’을 의인화한 것이다. 본명은 정기(正氣)로, ‘기수(氣帥)’라 불린다. 성성옹의 천거에 의해 주일옹의 좌선봉이 된다. 주일옹의 밀명을 받고 환백 진영의 아관의 좌측을 쳐 깨뜨린다. 월백ㆍ환백의 난을 평정한 뒤 열후(烈侯)에 봉해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의 별자리 28수의 하나.
    정의동아시아의 별자리 28수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su | MR표기Ki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운수, 운명.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감옥에 갇힘. 기수(.囚).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수(旗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대기수(大旗手), 오방기(五方旗), 고초기(高招旗), 인기(認旗)
  • 기수(旗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대열 앞에서 기(旗)를 들고 가는 사람. 대기수(大旗手)라고도 한다. 일본에서 통신사절단을 구분하는 등급 가운데 중관(中官)에 속한다. 기수에는 순시기수(巡視旗手) ∙ 영기수(令旗手) ∙ 청도기수(淸道旗手) 등이 있다. 순시기수는 순시기(巡視旗)를 받들고 ...
    유형분류제도
  • 기수(氣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운명(運命), 운수(運數), 역수(曆數), 천운(天運) | 관련어기수학(氣數學)
  • 기수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5(선조 8)∼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산(子山)
  • 기숙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구려의 장수로, 김유신이 창황 등 여러 명을 죽이자 놀라, 군사를 거두어 달아난다. 김유신과 대전 중에 유신의 호령 소리에 말이 놀란 때문에 땅에 떨어졌다가 유신의 칼에 맞아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교나 직장‧공장 등에 딸려 있어 학생이나 직원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
  • 기순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4(인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 기술고등고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연과학 분야의 우수한 전문 고급인력을 선발하는 국가고등고시.
  • 기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 기술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시대의 전문 기능직 관원
    정의조선 시대의 전문 기능직 관원 | 문광부표기gisulgwan | MR표기kisul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술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간이 자연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개변, 가공하는 일체의 활동을 교육하는 행위.
  • 기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당 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계획‧연구‧설계‧분석‧시험‧시공‧평가 및 이에 관한 지도‧감독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법적인 자격이 있는 사람.
  • 기술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규학교에 다닐 수 없는 사람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직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중학교 수준의 교육기관.
  • 기술혁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새로운 생산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비롯하여 새로운 상품의 도입, 새로운 자원의 개척 및 새로운 경영조직의 도입 등으로 일어나는 경제사회구조의 변혁.
  • 기승(寄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연례송사의 정관(正官)이 다른 송사선(送使船)을 함께 타고 오는 것. 겸대제(兼帶制) 사행과 함께 쓰시마에서 조선으로 사자를 보내는 양식이 크게 바뀌었다. 정관(正官) 및 기타 사자가 외교문서를 지참하고 승선하는 사선(使船)은 월별로 도항하는 순서가 정해져서 정기적...
    유형분류제도
  • 기시 유야(崖熊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후기의 유학자 ∙ 문인화가. 애웅야(崖熊野). 이름은 히로타케(弘毅), 호는 유야(熊野) ∙ 고센(剛先), 별명은 곤베에(權兵衛) ∙ 준스케(順輔) ∙ 고칸(剛煥). 기이(紀伊) 출신. 기시 지스케고사이(崖次助弘載)의3남. 1763년 정사 조엄(趙...
    유형분류인물
  • 기시(棄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시다 긴코(岸田吟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언론인이며 사업가. 안전음향(岸田吟香). 본명은 긴지(銀次). 오카야마현(岡山縣) 출신. 화가 기시다 류세이(岸田劉生)의 아버지다. 후지모리 고안(藤森弘庵)에게 한학을, 조셉 히코(Joseph Heco)에게 영어를 배웠다. 1864년 하마다 히코조(濱...
    유형분류인물
  • 기시랑 기호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한고조를 모시고 금산사 창업연에 참석한다. ((역대 창업주들에게 고금의 인물들을 품평하여 반열(班列)을 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제갈량에 의해 황기 아래 1등으로 정해진다. ))88)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한나라의 신하로, 유방과 얼굴이 비슷하여 항우와의싸움에서 의복을 바꾸어 입고, 거짓 항복을 하여 위기를 모면하려 한다. 이를 알아 챈 항우가 항복을 요구하나 끝내 거부하다가 죽는다. 신하의 의리를 돌보지 않는 항우에게 죽은 것이 억울하여 송사를 하자, 제마무에게 반장...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신 도량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시대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 가운데 하나로, 희종이 부왕의 기일에 명복을 빌 목적으로 베풀었던 법회
    정의고려 시대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 가운데 하나로, 희종이 부왕의 기일에 명복을 빌 목적으로 베풀었던 법회 | 문광부표기gisin doryang | MR표기kisin tory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신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에서 국왕이나 선왕후의 기일에 제사 지내는 불교의식법회.
    이칭별칭휘신도량(諱辰道場)
  • 기신라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에서 들어온 비단으로 만들어서 일본의 6위 이하의 관위자가 칼에 매는 끈.
  • 기신론(起信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 2세기경 인도의 마명(馬鳴)이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대승불교의 개론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대승불교의 근본 뜻을 이론과 실천의 양면에서 이른 책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600년경에 인도의 아슈바고샤가 지었다고 하는데, 진제(眞諦)가 553년에 한역(...
    유형분류문헌
  • 기신론내의약탐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태현(太賢)이 ≪대승기신론≫의 요의를 논술한 책.
  • 기신론별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의 승려 원효(元曉)의 저술로 ≪대승기신론≫에 대한 주석서.
    이칭별칭해동별기
  • 기신론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승려 의점(義佔)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해설한 책. 1권 1책. 1797년에 간행되었으며, 팔공산 동화사(桐華寺)에 유판본(留板本)이 있다. 이 책은 『대승기신론』의 내용을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 기신론사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승려 유일(有一)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해설서.
  • 기신재(忌晨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불사(佛事) | 관련어기신도량[忌辰道場], 기신도량[忌晨道場], 기신제(忌辰祭), 기신제(忌晨祭), 대상재(大祥齋), 신위(神位), 보우(普雨)
  • 기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개성부ㆍ세자부의 정7품 관직.
  • 기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아전이 근무하는 방. 상대방을 직접 가리키지 않고 밑에서 일하는 아전을 가리켜 상대방을 높이는 표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싸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대 두레의 농기를 빼앗는 것으로 민속놀이의 하나
    정의상대 두레의 농기를 빼앗는 것으로 민속놀이의 하나 | 문광부표기gissaum | MR표기kissau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쓰레가와 구니토모(喜連川國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센고쿠시대(戰國時代) - 아즈치모모야마시대(安土桃山時代)의 무장. 희련천국조(喜連川國朝). 혹은 아시카가 구니토모(足利國朝). 아시카가 요리즈미(足利賴純)의 장남으로 태어나 본래 이름은 아시카가 구니토모(足利國朝)였으나 시모쓰케(下野) 기쓰레가와번(喜連川藩)의 초...
    유형분류인물
  • 기씨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옛 은나라 왕의 후손인 기씨의 딸이다. 부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긴 후 시조인 신인[기자]이 나타나 선도로 인도해 불사약을 주고 살게 한다. 사방으로 유람하던 차 월궁의 광한전에 올랐다가 항아를 만나 시녀로 된다. 문득 고국생각이 간절하여 하계로 내려왔다가 마침 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왕경룡의 정실부인이다. 외모는 평범하지만 성격이 유순하며 행동이예의 바르다. 경룡이 사랑하는 옥단을 시기하지 않으며 사이좋게 잘 지내고, 시부모에게 도공손하고 효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아버지 기승상의 주선으로 연희숙과 혼인하여 아들 명윤을낳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8년(숙종 14) 남용익(南龍翼)이 편찬하고 간행한 시선집.
  • 기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경기도사(京畿都事). 경기감사의 막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아와 살육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5년 6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최서해(崔曙海, 1901-1932)의 단편소설.
    정의1925년 6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최서해(崔曙海, 1901-1932)의 단편소설.[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문광부표기Gia wa saryuk | MR표기Kia wa saryu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아와살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학송(崔鶴松)이 지은 단편소설.
  • 기아자동차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4년에 설립된, 자동차 생산‧판매업체의 하나.
  • 기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대의 종교적 예능으로 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
  • 기악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기악기원설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기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대의 종교적 예능으로 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
    정의고대의 종교적 예능으로 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ak | MR표기ki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악기원설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가면극의 기악(伎樂)기원설은 1950년대에 이혜구에 의해 처음 제기된 후 여러 학자들이 동조했는데, 최근에는 오국(吳國)의 위치에 대한 논쟁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기암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시대 옥보고(玉寶高)가 지은 거문고 곡.
  • 기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안국필(安國弼)의 시문집.
  • 기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김헌주(金獻周)의 시문집.
  • 기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김우창(金禹昌)의 시문집.
  • 기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북도 청원군 낭성면 갈산리에 있는 서원.
  • 기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유학자ㆍ독립운동가 이중업(李中業)의 시문집.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선조 때의 승려 법견(法堅)의 시문집.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정홍명(鄭弘溟)의 시문집.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권유(權揉)의 시문집.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권구환(權龜煥)의 시문집.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김응건(金應楗)의 시문집.
  • 기앙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간절히 바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양공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한씨부인과 마재인의 역모가 담긴 비밀문서를 입수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양법석(祈禳法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위어십이인연법석(十二因緣法席), 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 | 동의어기양도량[祈禳道場] | 관련어소재법석(消災法席), 양재법석(禳災法席), 기양제(祈禳祭), 소재다라니[消災陀羅尼], 소재주(消災呪), 도량설단[道場設壇]
  • 기양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남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서당.
    연계항목기양서당(岐陽書堂)
  • 기양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7(순조 27)∼1895(고종 32).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민(子敏)| 백석(柏石)
  • 기양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앙을 쫓고 복을 빌기 위해 지내는 제사.
  • 기양제(祈禳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기고제(祈告祭) | 관련어기설(祈雪), 기양법석(祈禳法席), 기양여역(祈禳癘疫), 기양충재(祈禳蟲災), 기우(祈雨), 기청(祈晴), 수륙재(水陸齋), 여제(厲祭), 영제(禜祭), 포제(酺祭), 해괴제(解怪祭)
  • 기억 속의 들꽃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9년 《세계의 문학》에 발표된 윤흥길(尹興吉, 1942- )의 단편소설.
    정의1979년 《세계의 문학》에 발표된 윤흥길(尹興吉, 1942- )의 단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eok sok ui deulkkot | MR표기Kiŏk sok ŭi tŭlkkot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허목(許穆)의 시문집.
  • 기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
    정의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eon | MR표기Ki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