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기언가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편찬된 인물의 전기.
  • 기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화(仲和)| 나와(懶窩)| 정간(靖簡)|국진(國鎭)
  • 기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조직적인 경제단위.
  • 기업공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인이나 소수의 주주에 의하여 설립되었던 회사가 일반 대중에게 회사의 주식을 매출하거나 모집하여 소유 지분을 개방하는 일.
  • 기업공개촉진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2년 법정 절차와 방법에 따라 기업의 재무 내용을 공개하도록 규정한 법률
    정의1972년 법정 절차와 방법에 따라 기업의 재무 내용을 공개하도록 규정한 법률 | 문광부표기Gieop Gonggae Chokjinbeop | MR표기Kiŏp Konggae Ch’okchin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업합리화위원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1년 기업의 사채 정리 및 기업 재산의 해외유출 방지를 위해 설치된 경제기획원 산하의 기구.
    정의1971년 기업의 사채 정리 및 기업 재산의 해외유출 방지를 위해 설치된 경제기획원 산하의 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eop Hamnihwa Wiwonhoe | MR표기Kiŏp Hamnihwa Wiwŏ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에키(喜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무로마치시대의 일본 승려. 희익(喜益) 1453년(단종1년) 구전(九殿) 중 하나인 오우치도노(大內殿) 오우치 노리히로(大內教弘)의 사신으로 조선에 내조하였다. 침구술과 의약처방에 정통하다 하여 조선의 내의로 있던 정차량(鄭次良)‧김길호(金吉浩)‧김지(金智)에게...
    유형분류인물
  • 기엔(義淵)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승려. 의연(義淵). 미노(美濃) 이마스(今須) 인근 거주.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南玉) 등 통신사(通信使) 일행이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유형분류인물
  • 기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서서 기다림. ‘기({.+企})’는 ‘기(企)’, ‘여(予)’는 ‘이(而)’와 같음. 삼국시대 위(魏)나라 조비(曹丕)의 시 [추호행(秋胡行)] “企予望之 步立躊躇”에서 나온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역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책을 인쇄하는 일.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역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일을 시작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년대에 민중극단(民衆劇團)이 공연한 윤백남(尹白南, 1888-1954)의 희곡.
    정의1920년대에 민중극단(民衆劇團)이 공연한 윤백남(尹白南, 1888-1954)의 희곡.[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yeon | MR표기Ki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0년(고종 17) 12월 연안의 포구를 내왕하는 선박을 조회 검사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
  •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친군기연해방영(親軍畿沿海防營), 해방아문(海防衙門), 해방영(海防營) | 관련어기연해방사목(畿沿海防事目), 민영목(閔泳穆), 해방총관(海防總管)
  • 기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평양감영(平壤監營)을 달리 이르던 말.
    정의조선시대에 평양감영(平壤監營)을 달리 이르던 말.[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yeong | MR표기Ki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기로소(耆老所).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평안도 감영.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영필서체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1년(정조 15) 기영에서 만든 목활자.
  • 기영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금의 친척과 이품 이상 정일품 이하의 벼슬아치 및 경연당상(經筵堂上) 중에서 일흔 살 이상 된 사람들이 참석하던 경로회
    정의임금의 친척과 이품 이상 정일품 이하의 벼슬아치 및 경연당상(經筵堂上) 중에서 일흔 살 이상 된 사람들이 참석하던 경로회 | 문광부표기Giyeonghoe | MR표기Kiyŏng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영회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서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기록화.
    연계항목기영회도(耆英會圖)
  • 기영회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328호. 조선시대 국가의 원로들이 참석한 기영회 모임을 기념하여 그린 풍속화.
    정의보물 제1328호. 조선시대 국가의 원로들이 참석한 기영회 모임을 기념하여 그린 풍속화.[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yeonghoedo | MR표기Kiyŏnghoe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영회도(耆英會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기로회(耆老會), 기영회(耆英會),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 향산구로회(香山九老會)
  • 기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술로 승화될 정도로 갈고 닦은 기술이나 재주
    정의예술로 승화될 정도로 갈고 닦은 기술이나 재주 | 문광부표기giye | MR표기ki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오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귀족.
  • 기옥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직의 딸로, 사옹의 아들 사강백과 혼담이 오간다. 사옹의 가족들이 집88) (( )) 안의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 한문 필사본 [금산사몽유록(金山寺夢遊錄)]에는 나타나지 않음. 으로 돌아간 뒤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 직이 죽는다. 기방의가 마우락의 계실로 보내려 하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온 난카이(祇園南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 화원(畵員). 기원남해(祇園南海). 이름은 유(瑜) ‧ 세이케이(正卿) ‧ 요이치로(與一郞), 자는 하쿠교쿠(伯玉), 호는 난카이(南海) ‧ 호라이(蓬萊) ‧ 뎃칸도진(鐵冠道人) ‧ 기쿄진(箕踞人) ‧ 쇼운(湘雲) ‧ 신텐오...
    유형분류인물
  • 기옹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기옹 변종락(邊宗洛, 1792∼1863)의 영정.
    연계항목기옹영정(碁翁影幀)
  • 기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변종락(邊宗洛)의 시문집.
  • 기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공구(朴羾衢)의 시문집.
  • 기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남한기(南漢紀)의 시문집.
  • 기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시인 이선(李選)의 시집.
  • 기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붕을 덮는 데 쓰이는 건축부재.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 기와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 기와밟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정의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wa bapgi | MR표기kiwa pap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와올리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의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에 실린 그림.
    정의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의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에 실린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wa olligi | MR표기Kiwa oll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완별록(奇玩別錄)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기완별록(奇玩別錄)》은 1865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분량 29면의 필사본 별책이다. 가사의 음보에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기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제의 조카. 전 태자였던 위왕이 죽자 마재인이 황제를 설득하여 태자가될 뻔 하나, 충신 이필의 반대로 실패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외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월식(月蝕)과 관련되는 용어로 초휴(初虧)에서 식기(蝕旣)까지의 시간, 또는 생광(生光)에서 복원(復元)까지의 시간을 말함.
    정의월식(月蝕)과 관련되는 용어로 초휴(初虧)에서 식기(蝕旣)까지의 시간, 또는 생광(生光)에서 복원(復元)까지의 시간을 말함.[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gioebun | MR표기kioeb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요 류이쿠(凞陽龍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임제종 승려. 희양용육(凞陽龍育). 호는 난주(蘭洲). 육장로(育長老)라고도 함. 교토에 있는 도후쿠지(東福寺) 난쇼인(南昌院)의 제265대 주지(住持)이다. 1786년 5월부터 1788년 4월까지 이테이안(以酊菴)의 윤번승 제85번으로서 대조선...
    유형분류인물
  • 기요노 요에몬(淸野與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청야여우위문(淸野與右衛門).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여 에도 아사쿠사(淺草)에 위치한 히가시...
    유형분류인물
  • 기요미즈데라(淸水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히가시야마구(東山區)에 있는 사원. 청수사(淸水寺). 산호는 오토와야마(音羽山)이며 북법상종(北法相宗)의 절이다. 798년경 엔친(延鎭)이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坂上田村麻呂)의 도움을 받아 개창(開創)하였다. 히가시야마(東山)...
    유형분류유적
  • 기요하라 고레사다(淸原惟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1710년 윤7월에 특송제이선(特送第二船) 이선주(二船主)로서 사복압물(私卜押物) 1인, 반종(伴從) 3명, 격왜(格倭) 30명 등과 함께 노인(路引)을 지참하고 도항(渡航)하였다. 이들은 호도(胡桃)와 백자(柏子)의 허무(許貿) 요구와 통신...
    유형분류인물
  • 기요하라 사다노리(淸原貞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청원정칙(淸原貞則). 『고환사기록(告還使記錄)』에는 다케모리 시치자에몬(竹森七左衛門)으로 되어 있다. 1751년 윤5월에 도주환도고지차왜(島主還島告知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하타시마 시치자에몬(畑島七左衛門), 반종(伴...
    유형분류인물
  • 기용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1974. 의학자.
  • 기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것.
    정의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것.[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u | MR표기ki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객지에서 잠시 머물러 있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타고난 기상(氣象).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우기청제등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6년부터 1889년까지 수표,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 등과 관련된 논의와 보고를 담고 있는 6책 분량의 기록물.
    정의1636년부터 1889년까지 수표,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 등과 관련된 논의와 보고를 담고 있는 6책 분량의 기록물.[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문광부표기Giu gicheongje deungnok | MR표기Kiu kich’ŏngje tŭngn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우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뭄이 심할 때 비가 내리도록 기원하는 불교의식법회.
  • 기우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6(헌종 12)∼1916.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회일(會一)| 송사(松沙)|기참봉
  • 기우목동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에 승려 지은(智訔)이 지은 경기체가.
  • 기우법석(祈雨法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소재법석(消災法席) | 동의어기우재(祈雨齋), 용왕도량[龍王道場], 운우도량[雲雨道場] | 관련어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 금강경도량[金剛經道場], 나한재(羅漢齋), 반야도량[般若道場], 공덕천도량[功德天道場]
  • 기우보공재(祈雨報供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기우법석(祈雨法席), 소재법석(消災法席), 보사제(報祀祭), 연종환원(年終還願)
  • 기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제사.
  • 기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제사
    정의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제사 | 문광부표기giuje | MR표기kiu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우제(祈雨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기고제(祈告祭) | 하위어석척기우(蜥蜴祈雨), 침호두(沈虎頭), 토룡제(土龍祭), 화룡제(畵龍祭) | 관련어기설제(祈雪祭), 보사제(報祀祭), 영제(禜祭)
  • 기우제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6년(인조 14)부터 1889년(고종 26)까지 가뭄이 심할 때 기우제를 지낸 것에 관한 기록을 예조에서 모아 편찬한 책.
  • 기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기의 유학자 이행(李行)의 시문집.
  • 기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생동감이나 고상한 멋. 혹은 그것을 지닌 인물이나 사물. 상대방의 안부를 높여 이르는 말.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2(공민왕 1). 고려 공민왕 때의 권신.
  • 기원독립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 기원역(碁原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거산도(居山道) | 동의어기원역(基原驛), 기원참(碁園站), 파독지참(波獨只站) | 관련어단천군(端川郡), 역도(驛道), 역로(驛路)
  • 기원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어유봉(魚有鳳)의 시문집.
  • 기유각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년 한일신협약의 부대 각서(附帶覺書)로, 일제의 강압에 의해 조인된 사법권의 위임에 관한 협약.
  • 기유각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9년 한국의 사법권(司法權) 및 감옥사무(監獄事務)의 처리권을 일본 정부에 위탁하는 각서.
    정의1909년 한국의 사법권(司法權) 및 감옥사무(監獄事務)의 처리권을 일본 정부에 위탁하는 각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yu Gakseo | MR표기Kiyu Kak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유북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북한산 기행문.
  • 기유약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9년(광해군 1) 일본에 통교를 허용하기 위해 대마도주(對馬島主)와 맺은 강화조약.
  • 기유약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9년 일본과 맺은 전문 13조의 송사 조약(送使條約).
    정의1609년 일본과 맺은 전문 13조의 송사 조약(送使條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yu Yakjo | MR표기Kiyu Yak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유약조(己酉約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조일 관계(朝日關係), 국교 재개(國交再開), 기미교린 외교(羈縻交隣外交), 막번 체제(幕藩體制) | 하위어대마도주(對馬島主), 세견선(歲遣船), 세사미두(歲賜米豆),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 | 동의어기유개정약조(己酉改正約條), 기유년신정약조(己酉年新定約條), 송사약조(送使約條) | 관련어계해약조(癸亥約條), 임신약조(壬申約條), 임진약조(壬辰約條), 계사약조(癸巳約條)
  • 기유양전(己酉量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양전(量田) | 관련어충청도(忠淸道), 황해도(黃海道), 양안(量案), 은루결(隱漏結)
  • 기유예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9년(철종 즉위년) 헌종(憲宗)이 죽고 그의 7촌(혈연으로는 5촌) 숙부뻘인 철종(哲宗)이 후계자로 영입되면서 순조(純祖)‧익종(翼宗)‧헌종 및 그 왕비들에 대한 친속 호칭 문제로 일어난 예론.
  • 기유의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9년(현종 10) 윤선거(尹宣擧)가 송시열(宋時烈)에게 보내려고 쓴 편지.
  • 기유처분(己酉處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신임옥사(辛壬獄事), 을사처분(乙巳處分), 정미환국(丁未換局), 탕평파(蕩平派)
  • 기윤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57년(고종 44). 고려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강정(康靖)
  • 기윤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기윤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5(선조 8)∼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헌보(獻甫)|충헌(忠獻)|내헌(乃獻)
  • 기은(祈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위어왕실의례(王室儀禮) | 관련어기은도량[祈恩道場], 기은별감(祈恩別監), 기은사(祈恩使), 기은색(祈恩色), 별례기은도감(別例祈恩都監), 양재(禳災), 성수청(星宿廳)
  • 기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기의헌(奇義獻)의 시문집.
  • 기은제(祈恩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어별기은(別祈恩)
  • 기음노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시대의 가사(歌辭).
    정의작자‧연대 미상의 조선시대의 가사(歌辭).[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ieum norae | MR표기Kiŭm nor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응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역대 특히 원 정부에서 황실 인사들과 관료들의 가옥을 건조, 수리하던 관청
    정의중국 역대 특히 원 정부에서 황실 인사들과 관료들의 가옥을 건조, 수리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Gieungsa | MR표기Kiŭ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중요한 업무.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의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7(선조 20)∼1653(효종 4). 조선 후기의 학자ㆍ의병.
    이칭별칭 사직(士直)| 기은(棄隱)
  • 기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국유사(三國遺事)》의 편명으로 고조선부터 후삼국까지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음.
    정의《삼국유사(三國遺事)》의 편명으로 고조선부터 후삼국까지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i | MR표기Ki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의논이 일치하지 않고 여러 갈래로 나뉨.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백세. 『예기(禮記)』「곡례(曲禮) 상(上)」에 “백세를 ‘기(期)’라고 하니, 모든 일을 보살펴 주어야 하는 나이다(百年曰期頤)”라는 구절이 있다. 이(頤)는 양(養)의 뜻임.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기이(紀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의어기주(紀州), 기국(紀國) | 관련어목국(木國), 삼중현(三重縣), 5기7도(五畿七道), 화가산현(和歌山縣)
  • 기이(紀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와카야마현(和歌山縣) 전역과 미에현(三重縣)의 남부 지역. 기이(紀伊). 율령제(律令制) 하에서는 난카이도(南海道)에 속하였다. 1871년 폐번치현(廢藩置縣)에 따라 와카야마현과 와타라이현(度會縣)이 되었으며, 1876년에 와타라이현은 와카야마현에 병합되었다...
    유형분류제도
  • 기이오시마(紀伊大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 와카야마현(和歌山縣) 해역 남부에 있는 섬. 기이대도(紀伊大島). 1876년 8월 5일 제2차 수신사가 다카사고마루(高砂丸)를 타고 도쿄에서 고베(神戶)로 향할 때, 와카야마현(和歌山縣) 남부에서 등불이 수십리에 이어진 이곳을 지나갔다. 이때 수행원 박상식...
    유형분류지명
  • 기익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반장(叛將).
  • 기익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괄의 비장이다. 이괄이 패하자 이수백과 상의해 이괄을 죽여 목숨을 도모하고자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지방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토호세력의 자제를 인질로 서울에 머물러 있게 한 제도.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변 읍내에 사는 사람으로 송경필이 사는 곳에 볼일이 있어 오는 길에 어느 사람의 부탁을 받아 송경필에게서신을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낙신왕의 사신. 낙신왕의 명을 받아 만랑자를 찾아온다. 손에 든 홀로 바다를 갈라 만랑자를 용궁으로 안내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염라국에서 당태종의 창고를 지키는 사람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요란이 이현의 행적을 좇아 금주로 가는 길을 묻자, 낙양 하남으로 가야 한다면 잘못된 길로 왔다고 알려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추이의 집의 종이다. 추양대를 만나기 위해 찾아온 양산백이 들어가기를 청하니, 함께 공부하던 때와는 사정이 다르다며 만날 수 없으니 돌아가라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님인 후룡이 앉은뱅이인 허영을 업고 험한 산길을 지나면서 자신들이 지나는 고개 이름과 마을의 위치를 묻자 알려준다. 두 사람이 고개 위에 있는 범을 만나목숨이 위태롭다는 사실을 깨닫고 구한다. 마을에서 모아온 사람들과 함께 범을 가지고 관가에 가 큰 상을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양씨부인이 벽파도로 가는 길을 물어보자 자세히 모른다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