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덕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 김덕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9(영조 5)∼1797(정조 21).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여삼(汝三)| 현은(玄隱)
  • 김덕손(金德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 동래(東萊)에 거주.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방문하...
    유형분류인물
  • 김덕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8(고종 15)∼1909. 조선 말기의 의병.
  • 김덕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5(선조 28)∼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가구(可久)| 소전(少), 소첩(巢睫)
  • 김덕승(金德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덕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0(숙종 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성겸(性兼)| 치헌(癡軒)
  • 김덕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숙공주에게서 난 넷째아들로 벼슬은 한림학사에 이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4(인조 12)∼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장(子長)| 휴곡(休谷)
  • 김덕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우의정(右議政)으로, 숙종이 박태보의 원정을 받지 않고엄형하려 하자, 원정을 받지 않고 형을 먼저 내린다면 나중에 폐가 될 것을 염려한다. 그러나 왕의 명을 받아 친국하는 것을 돕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원(金德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6년 4월 경상도 경주(慶州)에 사는 김덕원(金德遠) 등 11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
    유형분류인물
  • 김덕원묘출토의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2년 서울에 소재한 조선 후기의 문신 김덕원(金德遠)과 그의 부인 전주이씨의 합장묘에서 출토된 17세기 후반의 복식류 53점.
  • 김덕원(金德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 사맹(司猛)을 지냈다. 1595년 12월 명나라 장군 심유경(沈惟敬)이 일본에 대한 명의 책봉사(冊封使)에 조선의 배신(陪臣) 2명이 동행할 것을 요청하자, 심유경의 접반관(接伴官)으로 있던 황신(黃愼)이 배신으로 정해졌다. 그 무렵 일본으...
    유형분류인물
  • 김덕재(金德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영해(寧海)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순시수(巡視手)로서 노선...
    유형분류인물
  • 김덕정(金德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좌병영(慶尙左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나장...
    유형분류인물
  • 김덕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덕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축구인.
    이칭별칭 원정(園丁)
  • 김덕중(金德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초량(草梁)에 거주. 남옥의 『일관기』에는 김덕중(金德中)으로 되어 있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
    유형분류인물
  • 김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왕족. 울산(蔚山)김씨의 시조.
  • 김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4(고종 1)∼1947. 조선 말기의 의병.
    이칭별칭 경명(景明)| 낙계(樂溪)
  • 김덕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숙공주에게서 난 여섯째아들로 공명을 싫어하여 산림에 처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창염직공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년 김덕창(金德昌, ?-?)이 서울에 설립한 염직공장.
    정의1902년 김덕창(金德昌, ?-?)이 서울에 설립한 염직공장.[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Kim Deok-chang Yeomjik Gongso | MR표기Kim Tŏk-ch’ang Yŏmjik Kong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덕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2(경종 2)∼1772(영조 48). 조선 후기의 화가.
  • 김덕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 김덕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2(명종 17)∼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화(景和)| 성옹(醒翁)| 충정(忠貞)
  • 김덕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홍익과 함께 광해군에게 순임금의 효에 관한 이야기를 예로 들며 인목대비를 잘 섬겨야 할 것을 주장하다 남해로 유배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참의로, 호란 때 평양에 진주하기를 청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함(金德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옹(醒翁). 1588년 진사시에, 1589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연안(延安)에서 초토사 이정암(李廷馣)을 도와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조달하는 일을 맡았다. 이...
    유형분류인물
  • 김덕함묘및신도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묘와 비.
    연계항목김덕함묘및신도비(金德함墓및神道碑)
  • 김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0(고종 17)∼1920. 독립운동가.
  • 김덕홍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덕령의 형으로, 선조 25년에 왜군이 쳐들어오자, 군사를 일으킨다. 고경명(高敬命)의 휘하에 들어가 금산에서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덕회(金德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왜학역관(倭學譯官)이다. 1592년 쓰시마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의 진중에 투항해서 온갖 흉한 계책을 조장하였고,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를 따라 평양에서 그들의 심복이 되어 조선의 일을 정탐하여 알려주는 등 죄악을 저질렀다. ...
    유형분류인물
  • 김덕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17(충숙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 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장원(長源)
  • 김도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5(고종 22)∼1967.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인언(仁彦)
  • 김도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된 관리.
  • 김도남(金圖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왜학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중우(仲羽). 1678년 증광시(增廣試) 역과에 합격하였다. 1682년 통신사행 때 역관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1693년에는 쓰시마도주 소 요시자네(宗義眞)가 물러나 쉬고 아들 요시쓰구(義倫)가 그 자리를...
    유형분류인물
  • 김도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노처녀의 남편이다. 노처녀의 건넛집에 사는 동갑 총각으로, 노처녀의 청혼에 응낙하여 혼인한 후 1년 만에 쌍둥이를 낳고 의좋게 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3(순조 3)∼1873(고종 10). 한말의 학자.
    이칭별칭 순백(純伯)| 외암(畏庵)
  • 김도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극인ㆍ영화인.
    이칭별칭영근(永根)
  • 김도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호남농악의 상쇠.
  • 김도삼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이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도생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진주삼천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도선(金道先)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도선(金道先)은 19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전북 지역에서 태어났다고 하나, 정확한 출신지와 생몰연대는 알 수 없다. 사승관계에 대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1∼1956. 시인ㆍ영문학자.
  • 김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춘주(春洲)
  • 김도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2(고종 9)∼1943. 조선 말기의 의병.
    이칭별칭제헌(濟憲)
  • 김도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고종 31)∼1967. 정치가.
    이칭별칭 상산(常山)
  • 김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5(고종 32)∼1923.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인준(仁俊)
  • 김도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1956. 독립운동가.
  • 김도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8(영조 4)∼1812(순조 12).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중립(中立)| 우고(雨皐)
  • 김도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4(정조 18)∼1839(헌종 5).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덕언(德彦)| 암당(巖塘)
  • 김도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2(철종 3)∼1914.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명옥(鳴玉)| 벽산(碧山)
  • 김도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5(순조 25)∼1912. 조선 말기의 학자‧의병장.
    이칭별칭 달민(達民)| 척암(拓庵)
  • 김도환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송파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도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3(정조 7)∼1860(철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경(士經)| 주하(柱下)| 효헌(孝憲)
  • 김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5(우왕 11)∼1440(세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과학자.
  • 김돈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0(의종 24). 고려 중기의 문신.
  • 김돈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0(의종 24).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입지(立之)
  • 김돈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1(고종 8)∼1937. 서예가.
    이칭별칭 공숙(公叔)| 성당(惺堂)
  • 김돈(金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돌공(金乭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진주(晉州)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악공으로서 이덕견(李德見...
    유형분류인물
  • 김돌금(金突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좌수영(左水營)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세악수(細樂手)로서 정용운(鄭用雲)과 함께...
    유형분류인물
  • 김돌금(金乭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인물. 1711년 신묘사행에 소통사(小通事)로 참여하였다. 통신사가 쓰시마에 머물고 있을 때, 이마(理馬) 안영민(安英敏)과 함께 먼저 말을 영솔하고 이키노시마(壹岐島)로 향했다.
    유형분류인물
  • 김돌립(金乭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천성진(天城鎭)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영기수(令旗...
    유형분류인물
  • 김돌만(金乭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52년 9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신위(申暐)가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통영(統營)에 사는 김돌만(金乭萬) 등 13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에 이르렀다. 당시 도...
    유형분류인물
  • 김돌선(金乭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23년 10월 제주(濟州)에 사는 김돌선(金乭善) 등 23명이 진상품을 배에 싣고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고토(五島)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우선...
    유형분류인물
  • 김돌쇠(金乭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정득추(鄭得秋) ∙ 박모로쇠(朴毛老金) ∙ 최진창(崔...
    유형분류인물
  • 김돌이(金乭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3년 2월 경상도 경주(慶州)에 사는 사공(沙工) 김돌이(金乭伊) 등 8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들에게 쌀‧술‧소금‧술안주‧채소‧미소(...
    유형분류인물
  • 김돌학(金乭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5년 9월 강원도 울진(蔚珍)에 사는 김돌학(金乭學) 등 7명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이즈모국(出雲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
    유형분류인물
  • 김동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순(子順), 군원(君元)| 문간(文簡)|청녕군(淸寧君)
  • 김동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6(순조 16)∼1877(고종 14). 조선 후기의 효자.
    이칭별칭 치문(致文)| 둔와(遯窩)
  • 김동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사회주의운동가‧정치가.
  • 김동륜(金東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이백(彛伯). 동지(同知) 김인철(金寅哲)의 아들. 1807년 24세 때 정묘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5위로 합격하였다. 1822년 쓰시마도주 소 요시카타(宗義質)가 쓰시마로 돌아오고 아들을 낳았으므로 당하역관...
    유형분류인물
  • 김동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1995. 소설가‧평론가.
    이칭별칭 시종(始鐘)| 동리(東里)
  • 김동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1968. 시인.
    이칭별칭 초허(超虛)
  • 김동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5∼?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김지종(金知宗)|김황(金晃)|김광(金光)
  • 김동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8(고종 15)∼1937.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일송(一松)|긍식(肯植)
  • 김동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 시인‧비평가. 경기도 부천 출생. 인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인천상업학교에 입학하였다가 뒤에 중앙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였다.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와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를 거쳐서 광복될 때까지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 김동선(金東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41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김석일(金錫一)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청하(淸河, 포항(浦項)의 옛이름)에 사는 김동선(金東善) 등 10명이 진상품인 대구어(大口魚)를 잡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
    유형분류인물
  • 김동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0(고종 27)∼1969. 언론인‧정치인.
    이칭별칭 천리구(千里駒)
  • 김동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6∼1982. 독립운동가.
    이칭별칭김강(金剛)
  • 김동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동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1945. 독립운동가.
  • 김동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1(고종 8)∼1933.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원표(元表)| 청암(淸菴)
  • 김동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관리. 사탁부(沙喙部) 출신. 관등은 급찬(級飡).
  • 김동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우(伯雨)
  • 김동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8∼1997. 야구선수 및 해설가.
  • 김동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6∼1991. 정치가.
    이칭별칭 민초(民草)
  • 김동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2년∼1990년. 국문학자‧고문서학자‧복식학자.
    이칭별칭 나손(羅孫)
  • 김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2(고종 19)∼? 독립운동가, 정치가.
  • 김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개성 출신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1916.11.14~2006.5.13).
    이칭별칭김동혁(金東爀)
  • 김동원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동래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동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78. 독립운동가.
  • 김동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1987. 의학자.
    이칭별칭 청람(靑嵐)
  • 김동익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인형극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1951. 소설가.
    이칭별칭 금동(琴童), 춘사(春士)
  • 김동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98. 응용화학자.
    이칭별칭 석천(石泉)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