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오명항 / 吳命恒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윤겸 현손, 달천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여성제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09년 교리를 거쳐 설서·사서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부수찬, 1

  • 오몽을 / 吳蒙乙 [종교·철학/유학]

    ?∼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현필 11대손, 아버지는 예, 신을 형이다. 1380년(우왕 6)에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고려말에 관직이 대장군에 이르렀다. 죄명은 정도전·남은 등과 함께 불궤를 꾀하여 서얼왕자인 방석을 왕세자로 세우고

  • 오복연혁도 / 五服沿革圖 [언론·출판/출판]

    예류(禮類). 정구(鄭逑) 저, 목판본, 불분권 1책(22장). 한강 정구(鄭逑)가 오복(五服)에 관한 여러 가지 의식(儀式)을 도표로 만든 책이다.

  • 오봉정공유집 / 五峯鄭公遺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의병장 정사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활자본. 1899년 후손 종구(鍾球)가 편집하고 중간한 것이다. 『옥봉정공유집』의 권두에 안수록(安壽祿)의 서문과 김문옥(金文鈺)·이충호(李忠鎬)의 중간서문이 있다. 권말에 송병선(宋

  • 오부 / 五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에 설치한 다섯 관서. 한성부의 중·동·남·서·북의 부의 종5품 아문으로 오부 관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위법사항과 교량·도로·반화(매년 병조에서 써오던 불씨를 버리고 새로운 불씨를 만들던 의식)·금화·타량(측량), 그리고 사람이 죽으면 검시하는 일 등을

  • 오사모 / 烏紗帽 [정치·법제]

    개장 때와 진전 작헌례를 행할 때 백관과 제관이 쓰는 모자. 오사모는 진전의 작현례와 다례, 왕릉의 개장 시 문무관이 흉배가 없는 무양흑단령, 흑각대와 함께 사용하는 모자이다. 또한 원ㆍ묘를 배알할 때 배행하는 백관들이 천담복에 오사모를 쓴다. 오사모는 고려 시대 왕

  • 오산설림초고 / 五山說林草藁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차천로가 여러 시편의 시화, 명인의 일화 및 사적 등을 수록한 시화집.야담집. 2권 1책. 필사본. 『대동야승 大東野乘』과 『시화총림 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전한다. 『대동야승』에는 145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고, 『시화총림』에는 시에 관련된 30편만 뽑

  • 오산집 / 梧山集 [종교·철학/유학]

    서창재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노, 발:서간발(1831), 6권3책. 권1은 시 55제이다. 권2는 17편의 서인데,이 중에는 별지가 10편이나 포함되어 있다. 권3 서 32편이다 권4는 잡저로 중용질의,교원통칠곡문,,유모암서, 발로 서십대조생원부군유시후,서로재시후등

  • 오상 / 吳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14-1672). 할아버지는 윤경, 아버지는 영진, 어머니는 최전용의 딸이다. 현종의 재위기에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장령 등을 여러 번 역임하였다. 기수혁파를 논의하다가 대신들로부터 탄핵받기도 하였다.

  • 오선기 / 吳善基 [종교·철학/유학]

    1630년(인조 8)∼1703년(숙종 29).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오익전이다. 단계 장용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부모상을 당한 후에는 과거에 대한 뜻을 접고 조용히 자신의 분수를 지키며 살았다. 마음을 수양하는 위기지학과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말년에는 후학 양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