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옥보 / 玉寶 [정치·법제]

    임금이나 왕후 등의 추상 존호, 시호, 등의 글자를 새긴 도장. 대개 전자로 새겼다. 종묘에 부묘할 때 이러한 옥보를 옥책과 함께 책보요여와 책보채여 등을 이용하여 옮겼다.

  • 옥봉시집 / 玉峰詩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시인 백광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0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별집 1권 포함) 2책. 목활자본. 초간본은 백광훈이 죽은 지 27년이 지난 뒤인 1609년(광해군 1)에 그의 아들 진남(振南)이 편찬하고 윤안성(尹安性)이 간행하였다. 그 뒤에 그의 5세손

  • 옥봉이씨 / 玉峰李氏 [문학/한문학]

    조선시대「규정」,「증운강」 등을 저술한 시인.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이봉지(李逢之)이다. 미천한 신분으로 인해 조원(趙瑗)의 소실이 됐다. 옥봉 이씨가 남긴 시는 모두 32편인데 1704년(숙종 30)에 조원의 후손인 정만(正萬)의 손에 의하여 『가림세고(嘉林世稿)』의

  • 옥봉집 / 玉峯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권위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47년(헌종 13) 자손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유치명의 발문이 있다. 권1∼3에 시 147수, 소 1편, 서 6편, 잡저 5편, 축문 1편, 제문 14편, 행장 1편, 비갈 2편, 묘지명 2편,

  • 옥색명주장옷 / 玉色明紬― [생활/의생활]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옥색을 띈 명주 재질의 쓰개용 장옷. 중요민속자료 제50호인 옥색 명주 장옷은 착용자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름이 달린 위치는 조선 말기 쓰개 전용의 장옷임을 말해 준다. 개화기 이후 유일한 여성의 포제(袍制)인 두루마기와 비교할 때 매우

  • 옥선몽 / 玉仙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필사본. 총11회. 2권 2책. 건(乾)·곤(坤)으로 분책되어 있다. 이 작품은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과 유사한 작품이다. 『구운몽』이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면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데에 특색이 있다. 『

  • 옥설화담 / 玉屑華談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이 가사는 인생에 있어서의 복덕(福德)을 염원하는 작자의 이상을 노래한 것으로, 형식은 3·4조를 주조로 하여 4·4조, 2·4조가 섞여 있다. 전체 구수(句數)는 342구로 된 것, 382구로 된 것 등 이본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대체

  • 옥성서원 / 玉城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신상리에 있었던 서원. 1631년(인조 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득배(金得培)·신잠(申潛)·김범(金範)·이전(李㙉)·이준(李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 옥소전 / 玉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옥소전」은 중국소설 「소지현나삼재합(蘇知縣羅衫再合)」을 개작한 것이다. 「소지현나삼재합」이 부모를 해친 원수의 손에 길러진 주인공이 나삼을 인연하여 부모를 찾고 원수를 갚는 인간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작품이라면, 「옥소전」은 주인공

  • 옥수기 / 玉樹記 [문학/고전산문]

    1835년(순조 1)에서 1840년(헌종 5) 사이에 심능숙(沈能淑)이 지은 한문 장편소설. 국·한문 필사본. 국문 번역은 작자의 외손자이자 고종 때 민씨 세도 정권의 일원이었던 민응식(閔應植)의 부탁으로, 남윤원에 의해 1888년(고종 25)에 완료되었다. 작자인 심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