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왕시전 [문학/고전산문]

    작가 연대 미상의 남녀이합형(男女離合型) 한글 고전소설.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설공찬전」 「왕시봉전」 「비군전」 「주생전」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이들 작품들을 고려할 때, 「왕시전」은 고전소설 초기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총 12쪽 정도의 짧은 분량

  • 왕십붕기우기 / 王十朋奇遇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중국 원나라의 희곡 「형차기(荊釵記)」를 개작한 작가 미상의 한문소설. 『신독재수택본전기집(愼獨齋手澤本傳奇集)』으로 불리는 소설집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는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필사되어 있는, 한글본 「왕시봉뎐」이 있다. 「왕시봉뎐」이 「형

  • 왕자봉호사부차출전교 / 王子封號師傅差出傳敎 [정치·법제]

    1724년(영조 즉위년) 11월 3일. 영조가 왕자의 봉호를 내리고 사부를 차출하는 일을 이전 차대 때의 하교에 의거하여 거행하라는 전교. 《승정원일기》에 이 기사가 실려 있어 서지사항을 알 수 있다. 당시 영조는 우승지 김동필에게 명을 내린 것으로 되어 있다.

  • 왕자사부 / 王子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권설직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다. 대군사부·왕손교부·내시교관 등의 권설직은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었

  • 왕자유명단자 / 王子幼名單子 [정치·법제]

    왕자의 유명(幼名)을 기록해 둔 단자. '왕자의 유명은 갑손이다'라는 문구 외에는 아무런 기록이 없으므로 이 단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유명'이란 글자 그대로 어린 아이일 적에 부르는 이름이다.

  • 왕현전 / 王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왕현전」은 주인공 왕현의 영웅적 활약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대개 영웅소설은 혼사장애를 극복하는 결연담과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는 무용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도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결연담보다는 무용담이

  • 왕회전 / 王會傳 [문학/고전산문]

    1840년(헌종 6)에 김제성(金濟性)이 지은 한문소설. 2권(상·하) 1책(72장). 필사본. 「왕회전」은 ‘숭정 기묘년간(崇禎 己卯年間)’에 한 서생이 금화사에 투숙하였다가 한 꿈을 얻었다.’고 함으로써,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금화사몽유록」의 창작 시기가 ‘

  • 왜관 / 倭館 [경제·산업/산업]

    일본인이 조선에서 통상을 하던 무역처. 숙박처·접대처의 기능도 있었다. 태종은 1407년 동래의 부산포와 웅천의 내이포를, 1418년(태종 18)에는 울산의 염포와 고성군의 가배량을 개항, 1423년에는 부산포와 내이포, 염포에 왜인의 내왕을 허가 삼포가 개항. 그

  • 왜어유해 / 倭語類解 [언어/언어/문자]

    18세기 말기에 간행된 일본어 어휘집. 2권 2책. 목판본. 이 책에는 간기(刊記)가 붙어 있지 않으나 하권 끝장에 수정관 한정수(韓廷脩), 서사관 민정운(閔鼎運)·정낙승(丁樂升)·피문회(皮文會) 등 역관의 이름이 밝혀져 있다. 이들의 역과 합격연대를 보면 정낙승과 피

  • 왜학 / 倭學 [교육/교육]

    왜학은 한학·몽학·여진학과 함께 역학의 하나. 역학이 태조 2년(1393) 10월에 설치된 육학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왜학도 다른 어학과 마찬가지로 국초부터 설치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경국대전』예전 생도조에 의하면 왜학생도는 사역원의 15인, 제포·부산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