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연하여 / 連하여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대체로 편지의 앞부분에 나타난다. 이어서, 즈음하여 정도로 파악할 수 있는 용어이다.

  • 연항유고 / 蓮港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대우(李大愚)의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여부 및 필사연도를 알 수 없다. 저자가 죽은 뒤에 유문을 모아 정리한 듯하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시 80수, 서(序) 7편, 기(記) 1편, 악장문(樂章文) 1편,

  • 연행별곡 / 燕行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사행가사. 국문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198구이며, 3·4조가 주조를, 4·4조가 부주조를 이루고 있다. 가집인 『가사선(歌辭選)』에 실려 전한다. 창작연대는 1694년(숙종 20)설과 1695년설이 있다. 작자는 1693년

  • 연행사 / 燕行使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 청나라에 보낸 조선 사신의 총칭. 조선 전기에는 명나라에 보내는 사신을 조천사라 했으나, 조선 후기에는 청나라의 도읍인 연경에 간 사신이란 의미로 연행사라 했다. 조선에서 청에 파견한 사신은 청의 도읍이 심양일 때(1637년부터 1644년)는 동지사·정조사

  • 연행음청 / 燕行陰晴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4장이다. 내표지에 <열하일기>라는 표제가 씌어 있고, 그 우측에 "황도기략/천애결린집"이라 씌어 있다. 이어서 "황도기략"과 "알성퇴술" 및 "앙엽기"의 목록이 차례로 소개되어 있다. 내용은 <열하일기>

  • 연향 / 宴享 [역사/조선시대사]

    연은 악을, 향은 헌을 뜻함. 연향은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군신이나 빈객을 대접하는 행사. 연향의 종류에는 군신을 위로하는 회례연, 80세 이상의 대소원인을 위한 양로연 및 단오·추석과 같은 명절, 행행, 강무와 같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의 연향과 충훈

  • 연형제곡 / 宴兄弟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권57 세종14년조에 예조(禮曹)에서 이 노래를 악부(樂部)에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예조의 관원들이 주관하여 세종 때 지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세종이 형제간의

  • 연호궁상시죽책문 / 延祜宮上諡竹冊文 [역사/조선시대사]

    1778년(정조 2) 6월 2일에 정빈이씨에게 '온희(溫僖)'라는 시호를 올리기 위해 만든 죽책의 탑본. 정빈은 상시봉원(上諡封園)'되어 묘는 원으로 격상되어 수길원(綏吉園)이 되고 사당은 연호궁(延祜宮)이 되었다. ≪승정원일기≫ 정조 2년 6월 2일의 기사에 죽책

  • 연호궁춘추분제축식 / 延祜宮春秋分祭祝式 [역사/조선시대사]

    연호궁(延祜宮)에서 춘분(春分)과 추분(秋分)에 제향을 지낼 때 쓰이는 축문(祝文)의 형식을 규정한 책. 축식은 제사하는 날을 맞이하여 술과 제수를 올리니 흠향하시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사를 올리는 해의 자리에 일본 연호 "소화(昭和)"를 쓴 것으로 , 이

  • 연호궁춘추향제축식 / 延祜宮春秋享祭祝式 [역사/조선시대사]

    연호궁(延祜宮)에서 봄과 가을의 제향을 지낼 때 쓰이는 축문(祝文)의 형식을 규정한 책. 축식은 제사하는 날을 맞이하여 술과 제수를 올리니 흠향하시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사를 올리는 해가 청(淸)의 연호 "함풍(咸豊)"으로 된 것으로 보아, 이 축식은 185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