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연분구등법 / 年分九等法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농작의 풍흉을 9등급으로 구분하여 수세의 단위로 편성한 기준. 연분등제의 실상은 15세기 말까지는 현지 수령·관찰사의 보고보다도 중앙에서 가등하여 세수 증대가 상례, 이는 외방 향리나 수령이 낮은 책정을 염려한 때문이었다. 이후 16세기 후기에 가서는 이윽고

  • 연서 / 連書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에서의 글자 운용법의 하나. 초성자를 위아래로 이어쓰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순경음(脣輕音)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쓴 것이다. 언해에서는 “니 쓰다”로 되어 있다.

  • 연시조 / 聯時調 [문학/고전시가]

    현대시조 유형의 하나.연장체(聯章體) 단가(短歌)의 전통을 현대시조(現代時調) 창작에 접목한 데서 발생. 연시조가 계승할 만한 대엽 유형의 연장체 단가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일반적인 예로는, 4시(四時)·9곡(九曲) 등의 경물(景物) 및 5륜(五倫)·5우(五友) 등

  • 연악서원 / 淵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

  • 연안향교 / 延安鄕校 [교육/교육]

    황해도 연백군(현재의 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 연성리에 있는 향교. 1394년(태조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뒤 성의 남쪽과 동쪽 등으로 이건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04년(숙종 30)에 부사

  • 연암서원 / 燕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후천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승언(李承彦)·이장곤(李長坤)·성안의(成安義)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

  • 연암시집 / 煙巖詩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좌훈(李佐薰)의 시집. 1권 1책. 목판본. 『연암시집』은 1773년(영조 49) 아버지 이동현이 그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유시(遺詩)를 모아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채제공과 홍군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목만중의 발문이 있다. 모두 시로서 237

  • 연암집 / 燕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지원(朴趾源)의 시문집. 17권 6책. 신활자본. 책머리에 총목록이 있고, 권1·2는 연상각선본(烟湘閣選本)이라 하여 서(序)·기·인(引)·논·장(狀)·전(傳)·서(書)·묘지명·묘갈명·신도비명·탑명(塔銘), 권3은 공작관문고(孔雀館文稿)로 서·

  • 연암집 부록 / 燕巖集 附錄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8장이다. 내용은 제문과 만장으로 양분된다. 제문은 4편으로 부제 이재성, 외생 이종목, 문인 이현겸, 진사 최진관, 유학 최진함, 진사 한석호, 양현교, 양학조의 합작이 1편이다. 만장은 총34제 131

  • 연잉군(영조)봉군망단 / 延礽君(英祖)封君望單 [정치·법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1699년(숙종 25) 12월에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 숙종과 숙빈최씨 사이에 태어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이다. 기두의 '이조연잉군망(吏曹延礽君望)'은 문서 제목에 해당하며, '금을 봉군하는 것으로 전교하셨다'는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