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여용 / 勵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9품 토관직. 1438년(세종 20) 사용이라는 직명으로 처음 설치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여용으로 개칭된 것이다. 정원은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4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4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4인, 회령·경원의

  • 여용국전 / 女容國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한문소설. 화장도구를 의인화한 가전(假傳)으로, ‘효장황제장대기공록(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라고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순암집(順菴集)』의 「부부(覆瓿)」에 실려 있다. 원작자는 알 수 없다. 이 원본은 안정복이 지은 것인데, 원본의

  • 여용국평란기 / 女容國平亂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산문. 국문필사본. 필사연대는 본문 끝에 부기한 간지로 보아 1779년(정조 3)의 기해 음 6월 4일로 추정된다. 한문본으로는 안정복(安鼎福)의 「여용국전(女容國傳)」(일명 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 전한다. 이 한문본은 국문본 「여용국평란

  • 여우길 / 呂祐吉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세침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순원,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병조정랑, 평안도안무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여유당집 / 與猶堂集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매씨상서평> 9권 가운데 권1부터 권3까지의 부분이다. 권1은 서와, 총서, <복생소전금문상서>, <공안국소헌고문상서>, <장패소헌위조상서>, <두림소전고문상서>, <매색소주공전상서>, <복생소전금문상서편

  • 여자초학 / 女子初學 [문학/고전산문]

    1797년(정조21)에 김종수(金宗壽)가 지은 계녀서(誡女書). 1책. 국문 필사본. 저자는 김성일(金誠一)의 9대 주사손(主祀孫)이다. 첫머리에 저술 동기가 쓰여 있고 끝 부분에 발문(跋文)이 있으며, 국문을 흘림체로 썼는데 드물게 보는 명필이다. 내용은 분장(分章)

  • 여자탄식가 / 女子嘆息歌 [문학/고전시가]

    김순자가 지은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여자로 태어남을 원망하거나 여자로서의 불행한 자기신세를 한숨지으며 탄식하는 것이 규방가사의 대표적인 요소의 하나로, 이 작품은 안동권씨 문중에 시집간 작자가 여자로 태어났음을 한탄하여 지은 작품이다.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328

  • 여잠 / 女箴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잠계(箴戒) 수필집. 1책. 국문필사본. 내용으로 보아 작자는 광산김씨(光山金氏) 문중인(門中人)으로, 창작연대는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의 복위직후인 1694년에서 민비 생존시인 1700년 사이로 추측할 수 있다. 책은 두 부분으로 구

  • 여절교위 / 勵節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6품 상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무산계의 상계는 승의교위, 하계는 수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승의교위는 뒤에 여절교위로, 수의교위는 병절교위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여정 / 勵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7품 토관직. 원래 사정(司正)이라 하였으나, 1462년(세조 8)에 여정으로 개칭된 것이다. 이는 평양부의 진서위에 3인, 영흥부의 진북위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2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2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1인, 회령·경원의 회원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