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연잉군준호구 / 延礽君准戶口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한성부에서 연잉군(延礽君)에게 1714년에 작성한 호구장적에 의거하여 발급한 준호구. 한성부인 3과와 주협무개인이 날인되어 있다. 당시 북부 의통방 연추문계 제7통 제5호에 거주하고 있던 연잉군의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 그리고 솔거노비
연잉군호구단자 / 延礽君戶口單子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연잉군이 한성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당시 연잉군은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21세임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와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를 기록하였고, 하단에 따로 솔거노비를 기록한 부분에는 종이를 부착해서 수정한 부분이 있다.
연재 / 鍊才 [정치·법제/국방]
군사들에게 무예의 능숙을 권장하기 위하여 평소에 단련한 것을 시험. 연재는 내금위·별시위·친군위·갑사 등의 특수병종과 정병·수군의 기간병종에도 시행하는 것으로 그 성적에 따라 승진과 파출이 결정되었다. 당초 수시로 행하여지던 연재는 세종대에 이르러 정기적으로 하번시에
연정가사 / 戀情歌辭 [문학/고전시가]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한국 시가의 한 양식. 조선조 가사 중에서 이성을 간절히 그리워하거나 사모하는 내용으로 2율각(律刻, dimeter)이 1구를 이루는 일련의 작품군을 가리킨다. 연정가사는 조선 전기부터 형성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이르러 왕성
연정사 / 蓮亭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필사본. 모두 78구. 내용은 작자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국가의 휴척(休戚))을 세상에 맡겨두고, 강산풍월(江山風月)과 지당(池塘)의 연꽃을 벗삼아 강호에 한거하는 생활을 읊은 것이다. 특히, 창 앞에 연못을 만들고 거기에 연꽃을 심어 이를 완
연제 / 練祭 [사회/가족]
아버지 생전에 죽은 어머니 소상(小祥) 형식을 11개월 만에 치르는 일. 오복제(五服制)에 따르면 아버지상에는 참최(斬衰) 3년으로 되어 있지만 아버지는 살아 있고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때는 자최장기(齊衰杖朞)라 하여 1년상을 지내게 된다. 그러나 1년 안에 대상(大祥
연창지 / 煙窓紙 [생활/주생활]
주로 창호에 바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 덧문이나 덧창 등의 창호에 바르는 용도, 즉 창호지로 사용하는 종이이다. 그러나 연창지를 만드는 재료나 제작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연천집 / 淵泉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홍석주(洪奭周)의 시문집. 44권 20책. 필사본. 권두에 산서목록(散書目錄)이 있어 본집에서 빠졌거나 산일(散佚)된 저술들을 기록하고 있다. 권1에서 부(賦) 7편, 가조(歌操) 2편, 시 170여 수, 권2∼4는 시 600여 수, 권5는 시 80여
연천향교 / 漣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지혜로(차탄리)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10년 이후 학술강습소로 사용되다가 1916년 보통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41년 일제의 강압으로 연천군 마전
연풍향교 / 延豊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에 있는 향교. 1515년(중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 6·25사변 때 명륜당이 소실되었으며, 1978년에 대성전을 중수하고 1979년에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현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