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여선외사 / 女仙外史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45책. 한글필사본. 낙선재구장본으로 전한다. 청나라 여웅(呂熊)이 지은 동명의 소설을 완역한 것이다. 중국간본으로는 조황헌저판(釣璜軒貯板)의 청간본(淸刊本)인 「신각일전수여선외사대기서(新刻逸田叟女仙外史大奇書)」가 규장각에 있다. 이 소설은
여성제 / 呂聖齊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순원 증손, 할아버지는 우길, 아버지는 이량, 어머니는 한효순의 딸이다. 이징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가 한백겸의 문인으로 영향을 받았고, 인조비인 인열왕후의 아버지 한준겸의 외손자로서 국척 관계에 있었다
여소학 / 女小學 [언어/언어/문자]
1882년(고종 19) 박문호(朴文鎬)가 부녀자들에게 필요한 글을 모아 언해한 부녀자용 교육서. 제1책의 앞에 제사(題辭), 목록(目錄)이 있고, 권1의 본문이 이어진다. 제6책의 뒷부분에 여소학발(女小學跋)과 후발(後跋), 그리고 자훈방언동이고(字訓方言同異考)가 들어
여수 / 旅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5위 부대조직의 하나인 여의 책임 관직. 5위 진법 체제의 바탕인 군사조직의 기간은 졸-오-대-여의 조직이었다. 즉, 가장 말단의 단위조직인 오는 군사 5명을 단위로 하였고, 다시 1대는 5오로, 5대는 1여로 하였으니 이 같은 5진법의 편성원칙에 따르면 1
여신대위 / 勵信隊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종6품의 위호. 해당관직은 부여과로, 여흥부의 진북위, 평양부의 진서위,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등에 각각 2인씩, 의주목의 진강위, 회령·경원 도호부의 회원위,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의 유원위, 강계도호부의 진포위 등에
여씨향약언해 / 呂氏鄕約諺解 [언론·출판/출판]
1518년(중종 13) 남송의 주희가 첨삭, 주석한 ≪여씨향약≫을 김안국이 언해간행한 책. ≪여씨향약≫은 송나라 학자 여대충(呂大忠)의 저작이라 한다. 그러나 언해본에서는 여대충의 막내동생인 대림의 저작이라고 주석하고 있다. 언해본 주석은 ≪여씨향약≫은 어느 한 사람
여양서원 / 廬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에 있었던 서원. 1720년(숙종 46)에 이경번(李景藩, 1606∼1673)과 이경무(李景茂, 1609∼1679)를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처음에는 여양사(廬陽祠)라는 사우로 건립되었다가 1789년(정조 13)에 서원으로 승격되면
여연 / 閭延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자성 지역의 옛 지명. 조선 초기 사군육진(四郡六鎭)을 개척할 때 4군 중의 하나로 설치되었던 군이다. 이 지역은 본래 함길도(咸吉道) 갑산군(甲山郡)의 여연촌(閭延村)이었다. 1416년(태종 16) 갑산군의 소훈두(小薰豆) 서쪽을 떼어 여연촌을 중심으로 여연
여와전 / 女媧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소설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채택한 작품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전반부는 지상에서의 일을 문제삼고, 후반부는 천상의 일을 문제삼고 있다. 지상에서 현부열녀의 반란이 일자, 천상에서 이를 평정하
여와집 / 餘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목만중의 시문집. 18권 9책. 필사본. 권1∼3에 서 76편, 권4에 기 32편, 권5에 발 7편, 제 12편, 권6에 소 11편, 권7에 서 12편, 권8에 비갈 8편, 권9에 묘갈명 16편, 권10에 가정기실 6편, 권11에 묘지명 16편, 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