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여결 / 餘結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전정의 폐해. 토지대장에서 빠진 것으로 은결과 여결이 있다. 그 중 여결은 양전 때 전답의 결수를 실제보다 줄여서 토지대장에 기록해놓고 그 나머지 부분에서 관리가 개별적으로 전세를 수납하였다. 예를 들면 3결의 전답을 2결로 사정하여
여과 / 勵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6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2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2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2인을 두었다. 그리고 의주목의 진강위에 1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에 각 1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
여광주 / 呂光周 [종교·철학/유학]
1666년(현종 7)∼1714년(숙종 40) 6월 15일.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여이징, 조부는 여성제이다. 부친은 여필승, 모친은 이민급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사축서별제에 임용을 시작으로 1705년(숙종 31)에 이르기까지 진안현감·전주판관 등을 역
여규형 / 呂圭亨 [문학/한문학]
개항기 외아문주사, 교리, 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아버지는 여풍섭(呂豊燮)이며, 어머니는 윤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에게서 글을 배웠다. 1882년(고종 19)에 문과에 급제해 외아문주사(外衙門主事)에 임명됐다가, 교리(校
여동선전 / 呂洞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첫째, 주인공이 계모에 의해 살해될 위기를 겪는다는 점이다. 이는 아내의 계모에 의해 고난을 당하는 「소대성전」 유형과는 다른 설정으로, 「장화홍련전」 등 가정소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무공보다는 미
여래임실기 / 如來任實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말기에 이수학(李洙學)이 지은 전기소설. 1책. 국문필사본. 불행했던 여인 박청련이 득도하여 중생을 구제하고 여래가 된 과정을 기록한 일대기이다. 기록자와 박청련의 행적은 현재 알 수 없다. 팔자가 기구한 여인이 거듭되는 시련을 겪고 신통력을 얻는 과정이 입무(入
여력도위 / 勵力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정9품의 위호. 관직은 부여맹으로,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의주목의 진강위, 회령·경원 도호부의 회원위 등에 각각 4인씩,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의 유원위, 강계도호부의
여맹 / 勵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8품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4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3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3인을 두었다. 또한 의주목의 진강위에 1인, 회령도호부·경성도호부의 회원위에 각 1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여사서언해 / 女四書諺解 [언어/언어·문자]
1736년(영조 12)에 이덕수가 언해한 여자들의 수신교화서. 4권 3책. 개주갑인자활자본. ≪어제여사서언해≫의 서와 범례에 의하면 중국의 ≪여사서≫와 소혜왕후의 내훈을 각각 언해하여 널리 펴게 명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중국의 ≪여사서≫의 순서(여계·내훈·여논어·여
여산향교 / 礪山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향교. 1403년(태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뒤 지방유림에 의하여 중건되었다. 여러 번의 중수를 거쳐 1917년에 전면 보수하였으며,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