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총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학령 / 學令 [교육/교육]
조선시대의 성균관·사학·종학·향교 등의 학교에서 학생들의 활동과 수업내용, 처벌 규정을 정한 학칙. 현재 성균관의 학령으로는 영조 때 편찬된 ≪동국문헌비고≫, 1785년(정조 9) 왕명으로 편찬된 ≪태학지≫에 실려 있다. 조선시대의 학령은 대체로 성리학적인 예절교육과
학무아문 / 學務衙門 [역사/근대사]
구한말 교육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학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예조의 업무 일부와 관상감, 육영공원, 사역원의 업무를 포함하여 국내의 교육과 학무행정을 관리하는 부서로 설치되었는데, 1895년 4월 1일 별도의 학부관제를 칙령 제46호로 공포하고 학부(學部)로 개칭하
학사 / 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중추원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중추원이 처음 설치된 것은 991년(성종 10)이었지만, 그 관제가 정비된 것은 문종 때였는데, 이 때에 정3품 직학사(直學士) 1인을 둔 것이 학사의 효시이다. 1392년 조선 건국 직후 그 직급이 종2품으
학유 / 學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과 조선시대 성균관의 종9품 관직. 고려 문종 때 국자감직제를 재정비할 때 설치, 정원은 2인이었다. 1275년(충렬왕 1) 국학으로 개칭할 때 폐지, 1298년 국학이 성균관으로 개칭된 뒤 1308년에 부활되었다. 조선시대의 성균관에도 그대로 관직을
학전 / 學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 유학을 가르쳤던 각 교육 기관의 경비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조선시대 성균관과 4학, 그리고 지방 향교 및 사액서원에 토지를 지급하였다. ≪속대전≫에 의하면 최고 학부인 성균관에 400결(結), 주(州)·부(府)의 향교에 각각 7결, 군·현의 향
학회령 / 學會令 [교육/교육]
1908년 일제의 통감부가 한국인들이 세운 학회에 대하여 반포한 통제령. 구한말 국권 회복을 위해 근대적인 지식의 보급과 민중교화를 위한 교육계몽운동이 애국지사들을 통해서 펼쳐졌다. 이에 따라서 1904년 국민교육회를 비롯한 각종 학회가 설립되었는데, 일제의 통감부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 韓國語敎育能力檢定試驗 [언어/언어/문자]
재외동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 공인 자격시험.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한국어의 국외 보급을 활성화하고 한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는 국가 공인 자격시험이다. 응시 자격에는 제한이 없으나, 한국어 교원
한국어능력시험 / 韓國語能力試驗 [언어/언어/문자]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 영어 명칭의 첫 자를 따서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1997년부터 시행되어 현재 교육부국립국제교육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韓國海洋水産開發院 [경제·산업/산업]
해양의 개발·이용·보전과 수산업의 진흥을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 해양·수산 분야에 관한 국내외 동향과 정보를 신속히 수집·관리함으로써 국가의 해양·수산정책수립을 지원하고 나아가 해양·수산관련산업의 진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여 1997년 4
한글간소화방안 / 한글簡素化方案 [언어/언어/문자]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지시에 따라 만들어진, ‘소리나는 대로 적기’를 기본으로 한 한글 맞춤법 개정안. 1949년 10월 9일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이 담화를 통해 맞춤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함에 따라 만들어진 한글 표기법안. 간소화 3개조와 용례, 부록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