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홍면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색 무명[木]. 재궁결과의(梓宮結裹儀) 때 홍면포 한 필로 대(帶)를 만들어 가로로 윤대판을 묶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복이나 두건, 보자기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붉은색 무명[木]. 선조 때는 목홍(木紅)으로 조복(朝服)을 입었다. 영ㆍ정조 때에는 요여(腰輿)와 채여(彩輿)를 멜 군인이 착용할 옷과 건(巾), 띠를 홍색 무명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홍목은 다목을 끓여서 우려낸 붉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모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목면으로 만든 붉은색 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청의(靑衣)나 자의(紫衣)처럼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冠帽)로는 피립(皮笠)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모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색 물을 들인 모전(毛氈). 모전은 쇠 털로 짜서 만든 자리로 욕석, 장막(帳幕) 등에 사용되었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 보통(寶筒)과 주통(朱筒)에 필요한 물품으로 홍모전이 사방 4치짜리로 1편, 견마부용 1부라는 기록이 있다. 모전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문대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의장기(儀仗旗)의 하나. 적색 바탕에 청룡과 청ㆍ적ㆍ황ㆍ백색의 네 가지 채색(彩色)으로 구름무늬를 그렸고 화염각(火焰脚)과 기각(旗脚)을 달았으며, 대가 노부(大駕鹵簿)ㆍ법가노부(法駕鹵簿) 때 맨 앞에 섰다. 기바탕과 화염각(火焰脚) 및 영자(纓子)는 홍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방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한제국 때에 쓰던 의장의 한 가지. 붉은 우산 모양의 방산(方繖)을 말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산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연회와 제례에 사용된 찬물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튀긴 후 꿀과 홍반가루를 묻혀 붉은색을 띄는 산자. 산자는 반죽한 찹쌀가루를 사각형으로 잘라 기름에 튀긴 후 꿀을 발라 밥이나 깨를 묻혀 만든 유밀과이다. 백반가루를 묻히면 흰색의 백산자이고 팥물로 지은 밥인 홍반가루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세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 물을 들인 세주(細紬). 주(紬)가 굵은 실로 짠 비단이라면 세주(細紬)는 주(紬)보다 더 곱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소라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붉은 비단으로 만든 부채.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2방 의궤 도설에는 홍라소원선(紅羅素圓扇)으로 칭하였다. 붉은 민무늬 비단으로 만든 둥근 모양의 부채로, 부채및 자루의 길이는 1장 1자 2촌이고 지름은 3자 3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소원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우산. 제도는 일산(日傘)과 같은데,홍화화주로 3개의 처마를 만든다. 덮개의 길이는 일산에 비해서 짧은 편이며, 유소(流蘇)는 드리우지 않는다. 산의 총 길이는 4자 2치 5푼이다. 자루및 호로를 합한 길이는 1장 1자 2촌9푼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