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홍남화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홍남화(紅藍花: 잇꽃)로 붉게 염색하여 침구나 옷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품질이 좋은 비단. 홍남은 잇꽃을 뜻하는데, 잇꽃은 붉은색 물감인 연지를 만드는 원료로 쓰인다. 화주(禾紬)는 상등품의 견사(絹紗)를 사용하여 평직(平織)으로 제직하였으며, 침구나 옷을 만드는 데...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듬이질할 때 쓰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도구. 지붕기와 잇기를 할 때 수키와 밑에 까는 진흙을 홍두깨흙이라고도 하는데, 대부분의 의궤 자료에서 횡도개차박달목(橫道介次朴橽木)으로 제시하고 있어 도구 홍두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종류로는 장홍두깨(長洪都介)가 보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두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릉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색의 얇은 비단. 능(綾)은 평직과 능직이 조합되어 무늬가 나타나며 아름답고 광택이 은은할 뿐만 아니라 얼음같이 매끈하다. 주로 옥책문(玉冊文)이나 장책(粧冊)에 들어가는 물품으로 사용되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홍색의 버선. 세종 오례의(五禮儀)흉례(凶禮) 천전의(薦奠儀)에 보면 홍말(紅襪)은 홍초(紅綃)로 만든다고 되어 있다. 홍말은 홍색의 비단으로 만든 버선이다. 순조왕세자관례책저도감의궤純祖王世子冠禮冊儲都監儀軌, 효종국장도감도청의궤孝宗國葬都監都廳儀軌, 현종국장도...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면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색 면사(綿絲). 면사는 가례 때 요여(腰輿), 유소(流蘇), 홍양산(紅陽繖)의 속넣기용 목면실로 쓰였고 모절, 은교의(銀交椅) 등에도 쓰였다. 홍면사(紅綿絲)로 짠 직물을 홍염포라고 하고 염색 색상이나 처리 방법에 따라 청색무명(靑木), 남색무명(藍木), 백정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