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659,61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周南 樛木(규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4:1 《集註》“木下曲曰樛”, 又云“后妃逮下”, 謂木枝下曲, 故葛能緣之. 衆妾之爲后妃包容者見矣. 此奚但后妃爲然? 君大夫降屈尊貴, 使草野賢智之士得以鵲起豹別, 盡其才能, 上補袞職, 下有以庶物得所. 此皆“樛木”、“葛虆”之義也. 福履之綏, 豈不宜哉?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汝墳(여분)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10:1 蓋婦人未必以薪樵爲事, 日望夫還, 託此而往, 如《召南》之“陟彼南山”也. HCBO_1:1:10:2 “惄如調 調: 《시경질서》에는 ‘賙’로 되어 있다. 《詩經》에 따라 바로잡는다. 飢”, 如飢之待哺也. 《韓詩外傳》作“朝飢”, 焦氏《易林》作“㑂如...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漢廣(한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9:1 漢入于江, 漢旣廣矣, 況入于江耶? 漢或可“方”, “泳”則不可至, 江又不可“方”矣. 喩其益不可求也. HCBO_1:1:9:2 如“婦女”及“女子子 女子子: 국중본(가)에는 ‘出嫁女’로 되어 있다. ”類, 豈皆未嫁之稱? 但以《易》文“女妻”者觀之, ...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芣苢(부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8:1 余讀《采蘩》、《泂酌》之詩, 而得《芣苢》之義矣. 夫以澗溪沼池之毛、潢汚行潦之水, 可以薦鬼神而羞王公, 進賢之道其有旣乎? 芣苢, 菜之早生, 生於行道之旁, 至賤之地, 時過, 則不可食者也. 采之 之: 국중본(가)에는 ‘采’로 되어 있다. 之方, 各有其宜,...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葛覃(갈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2:1 子曰: “苟有車, 必見其軾; 苟有衣, 必見其敝. 人苟或言之, 必聞其聲; 苟或行之, 必見其成. 《葛覃》曰: ‘服之無斁 斁: 《시경질서》에는 ‘射’로 되어 있다.《詩經》에 따라 바로잡는다. .’” 此言造車而不至於軾, 則爲棄物; 爲衣而不至於敝, 則...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螽斯(종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5:1 “羽”, 飛也. 《易》曰: “鴻漸于逵 逵: 《周易》에는 ‘陸’으로 되어 있다. , 其羽可用爲儀.” 鴻羽豈可儀者也? 鴻飛成行, 故其飛可象也, 可以爲證. 余嘗驗之, 斯螽之類, 以尾尖穴土, 種子, 蟲成而出. 余又掘而視之, 非卵伊蟲. “九十九子”, 俗...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關雎(관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1:1 “雎鳩”, 摯而有別之鳥. 在五鳩爲司馬, 其爲物勇, 能相死而不亂群, 此用師之所貴, 故云爾. 且是鳧鴨之類, 鳧鴨者, 其相和之鳴, 其音關關也. HCBO_1:1:1:2 六義之說, 出於《周禮》. 經緯之論, 自朱子始. 若然, 《周禮》何故先風, 次賦、...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 麟之趾(린지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11:1 《禮》云: “縞冠玄武, 子姓之冠也.” “姓”, 指孫也. 仁人之化, 先從子孫始, 及於族黨, 天下豈有不效者耶? 天地之德不過好生, 好生莫如麟. 然言“趾”、言“定”、言“角”而不言生者, 作文之妙也. 其主意則都在一生字, 此爲文王受命之符. 《孟子》曰“不嗜...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周南【鄭《譜》云:“周ㆍ召者,岐山之陽地名。文王作豐,乃分周ㆍ召之地,以爲旦ㆍ奭之采地,施先公之敎於己所職之國。” ○“其得聖人之化者,謂之周南,其得賢人之化者,謂之召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補曰 周ㆍ召之受采邑,雖未知必在何時,其分主東西,則非文王時事也。據〈樂記〉曰:“武始而北出,再成而滅商,三成而南,四成而南國是疆,五成而分周公左召公右。”
    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周周公賀卜澗水東瀍水西,惟洛食,又卜瀍水東,亦惟洛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命于玆新燕謨,體貽翼之念。 食哉惟是龜卜,得有指之壃。 惟吉之從, 曰定于一。 欽 無疆大曆, 有道曾孫。 覽荆江之鍚龜,全歸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