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양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양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진현 탑동리(塔洞里)에 사는 사람으로, 은애가 동리 총각 최정련과 통정했다는 소문을 믿지 않고 그녀와 혼인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양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문신.
  • 김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7(세조 13)∼1535(중종 30).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기(伯起)| 허백당(虛白堂)
  • 김양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2(숙종 38)∼1777(정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서(士舒)| 건암(健庵)| 문간(文簡)
  • 김양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귀족.
    이칭별칭김낭품(金狼品)
  • 김양한(金亮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관리.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명경(明卿), 호는 소룡(小龍). 1881년 대장성(大藏省)을 시찰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어윤중(魚允中)을 수행하여, 유길준(兪吉濬) ‧ 윤치호(尹致昊) ‧ 황천욱(黃天彧) ‧ 유정수(柳定秀) 등과 함께 일본에 ...
    유형분류인물
  • 김양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5(숙종 41)∼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자정(子靜)| 지암(止菴), 여호(驪湖)| 문간(文簡)
  • 김양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4(고종 11)∼1945. 천주교 신부.
    이칭별칭스테파노
  • 김어둔(金於屯)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7년 7월 경상도 울산(蔚山)에 사는 김어둔(金於屯) 등 7명은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일본 이와미국(石見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우선 나가사...
    유형분류인물
  • 김어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 시인‧평론가.
    이칭별칭 안서, 안서생(岸曙生)|김안서
  • 김억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말기의 왕족.
  • 김억세(金億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54년 5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임상원(林象元)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제주(濟州)에 사는 김억세(金億世) 등 11명이 장사를 하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히젠국(肥前國)에 이르렀다. 당...
    유형분류인물
  • 김억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방로(邦老)
  • 김억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수사(水使)로, 관서 수군을 거느리고 대동강 하루에서 육군과 연락하여 평양을 엿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억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라우도의 수사이다.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적은 함대로 작전을 구상할 때 함께 협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억(金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군졸(軍卒). 경주(慶州) 출신.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수호(修好)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
    유형분류인물
  • 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관리.
  • 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후삼국시대 태봉(泰封)의 장군.
  • 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8(선조 21)∼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윤(汝潤)| 민숙(愍肅)
  • 김언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정보(精甫)| 운정(芸亭)
  • 김언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관리‧서예가.
  • 김언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 김언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씨부인의 사촌아우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0(중종 15)∼1588(선조 21).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중온(仲溫)| 유일재(惟一齋)
  • 김언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어영별장으로, 체찰사에게 나가서 적의 목을 베오겠다고 청한뒤 허락이 떨어지자 김류가 대패하던 날 죽은 관동의 장수의 목을 베어 가져온다. 이것이발각되어 참수당해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언복(金彦福)[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 무신. 자는 복우(福宇), 본관은 김해(金海). 선조 9년에 무과에 합격하여 임진왜란 때 선전관(宣傳官)으로서 의주에서 왕을 호위하고 두 아들과 아우 김언수(金彦壽)와 함께 군량을 모집하여 도원사(都元師) 권율(權慄)을 따라 전공을 세우고, 고경명(...
    유형분류인물
  • 김언복(金彦福)[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우(子遇), 호는 월호(月湖). 1594년 사명대사(四溟大師)와 가또 기요마사(加藤淸正)와의 회담에서 통역을 하는 등 외교 교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595년 12월 명나라 장군 심유경(沈惟敬)이...
    유형분류인물
  • 김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4(선조 7)∼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명수(命?)
  • 김언수(金彦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명수(命叟). 1593년(선조26년) 무과에 급제한 후, 파총(把摠)으로 뽑혀 부원수 막하에 들어갔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일본군을 추격하여 부산포에 주둔하였다. 정묘호란 때 동영장(東營將)으로 평안도병마절도사 ...
    유형분류인물
  • 김언수(金彦秀[실록] 金彦壽[비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언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4(중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형(士衡)
  • 김업상(金業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6년 4월 경상도 울산(蔚山)에 사는 김업상(金業相) 등 2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들에게 쌀‧술‧소금‧술안주‧채소‧미소(味噲, ...
    유형분류인물
  • 김업이(金業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85년 12월 경상도 울산(蔚山)에 사는 김업이(金業伊) 등 8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들에게 쌀‧술‧소금‧술안주‧채소‧미소(味噲, 일본...
    유형분류인물
  • 김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47(문성왕 9). 신라 하대의 대신.
  • 김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0(현종 1)∼1697(숙종 2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천개(天開)
  • 김여경(金汝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정사 윤지완이 타고 간 제일선(第一船)의 복선장(卜船將)으로 일본...
    유형분류인물
  • 김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4(인조 22). 조선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희숙(熙叔)
  • 김여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83. 판소리의 여류명창.
    이칭별칭 향곡(香谷)
  • 김여란(金如蘭)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여란(金如蘭, 1907-1983)은 전북 고창군 심원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여성 명창으로, 본명은 김분칠(金粉七)이다.(도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여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3(선조 36)∼1683(숙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명보(明甫)| 오소재(吾巢齋)
  • 김여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 김여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8(명종 3)∼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수(士秀)| 피구자(披?子), 외암(畏菴)| 장의(壯毅)
  • 김여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신립과 함께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최후까지 싸우다가 전사한다. 몽유자의 몽중 잔치에 모인 여러 귀신들에게, 속세의 선비[파담자]를 맞이하자고 제안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여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왜란 때에 종사관으로, 남은 군사를 이끌고 격렬히 싸우다가강물로 뛰어들어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여물(金汝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수(士秀), 호는 피구자(披裘子)‧외암(畏菴). 시호 장의(壯毅). 1567년 20세로 진사(進士)가 되고, 1577년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병조낭관(兵曹郞官)‧충주도사(忠州都事)를 거쳐 1591년 의주목사...
    유형분류인물
  • 김여방(金汝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7년 3월 경상도 동래(東萊)에 사는 김여방(金汝芳)이 동료들과 함께 물고기 매매를 위해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마쓰마에(松前)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
    유형분류인물
  • 김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기복(基福)
  • 김여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의병장.
  • 김여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45(세종 27)∼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은경(殷卿)| 충목(忠穆)
  • 김여성(金汝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쓰시마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4년 3월 경상도 통영(統營)에 사는 김여성(金汝成) 등 6명이 대구어(大口魚)를 진상하러 거제(巨濟)에 다녀오는 길에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표류 중에 배가 부서졌는데 일본인들이 구해주었고, 쌀...
    유형분류인물
  • 김여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6(선조 29)∼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군수(君粹)| 미산(薇山)
  • 김여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 시인ㆍ교육자.
    이칭별칭유암(流暗)
  • 김여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 김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70(공민왕 19)∼1425(세종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칭별칭 사행(士行)| 문익(文翼)
  • 김여택(金汝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1655년 정사 조형(趙珩) ∙ 부사 유창(兪瑒) ∙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상통사(上通事)로서 정시심(鄭時諶)과 함께 부사 유창이 타고 간 ...
    유형분류인물
  • 김여휘(金汝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류큐(琉球)로 표류했다가 쓰시마를 거쳐 송환된 인물.  1662년 10월 전라도 해남(海南)에 사는 김여휘(金汝輝) 등 32명이 무역을 하거나 걸식(乞食)을 위해 제주도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류큐에 이르렀다. 일행 중 4명은 아사...
    유형분류인물
  • 김여흥(金汝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부산(釜山)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나장(羅將)으로서 김설의...
    유형분류인물
  • 김역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당나라에 파견된 사신.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7(성종 18)∼1544(중종 3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적(子迪), 자유(子裕)| 운암(雲巖)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7(명종 2)∼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의병.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2(명종 7)∼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언홍(彦洪)| 노암(魯庵)
  • 김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내관으로, 수양대군이 왕으로 되기 위한 일을 진척시켜 나가자격분을 참지 못해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연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무신.
  • 김연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4(중종 1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언정(彦精)| 송암(松巖)
  • 김연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회양부사로 있다가 왜병을 만나 끝까지 싸우다가 죽음을 당한다. 몽유자의 몽중 잔치 모임에 참석하여, 선비로서 싸울 줄을 모르고 책상에 의지해 자멸하였음을 한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연광(金鍊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언정(彦精), 호는 송암(松巖). 임진왜란이 일어나 모리 가쓰노부(毛利勝信)의 군대가 강원도를 침범하자 군사와 관리들이 모두 도망쳤는데, 홀로 회양성(淮陽城) 문 앞에 정좌한 채 일본군에게 참살 당하였다. 처음에...
    유형분류인물
  • 김연광(金鍊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연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7(철종 8)∼1944. 종교인.
    이칭별칭 구암(龜菴)
  • 김연발(金連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동래(東萊)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나각수(螺角手)로서 장동관(張東寬)과 함께 사...
    유형분류인물
  • 김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79. 실업가.
    이칭별칭 수당(秀堂)
  • 김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항일기를 거쳐 최근까지 활약한 판소리 명창.
    이칭별칭 동초(東超)
  • 김연수(金演洙)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연수(金演洙, 1907-1974)는 전남 고흥군 금산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호는 동초(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연실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 김연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5(선조 18)∼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효석(孝錫)| 광록(廣麓)
  • 김연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4~2008. 교육자이며 작곡가.
  • 김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6(태조 5)∼1471(성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간보(幹甫)| 대경(戴敬)
  • 김열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32(인종 10)∼1181(명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보전(保全)
  • 김염태(金冉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1745년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가 물러나고, 아들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가 승습하면서, 1746년 3월 관백퇴휴고지차왜(關白退休告知差倭) 히라타 쇼겐(平田將監, 平誠泰)이 조선에 왔을 때 임명된 차비역관(差備譯官)이다.
    유형분류인물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35(성덕왕 34). 신라 중대 당나라에 파견된 사신.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학자. 관등은 급찬(級飡).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5(성종 6)∼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영지(英之)| 삼당(三塘)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2(선조 35)∼1674(현종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심(子尋)| 죽교(竹橋)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정조 때의 역관(曆官).
  • 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7(헌종 3)∼? 조선 말기의 화가. 본관은 분성(盆城). 초명은 종대(鍾大), 자는 성원(聲遠), 호는 춘방(春舫). 산수화와 묵죽(墨竹)을 잘 그렸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생애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현존하는 유작들을 보면 문기(文氣) 어린 격조보다는 정형...
    이칭별칭 성원(聲遠)| 춘방(春舫)
  • 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서(尙書)로, 권용선의 첫째부인인 김부인의 아버지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연화[정숙부인]의 큰아들이다. 10세에 백가제서(百家諸書)를 막힘없이 알고힘과 지혜가 뛰어난 인물로, 나중에 황제로부터 금옥당 한림학사를 제수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함양 태수이다. 목종의 신하이나 천자가 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다. 이후 목종의 신하인 양필에게 패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영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 김영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영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 「북청사자놀음」 예능보유자.
    이칭별칭삼현(三鉉)
  • 김영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진골귀족‧대신.
  • 김영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영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덕부(德夫)| 승산(勝山)
  • 김영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5(고종 2)∼1934. 한학자‧시인.
    이칭별칭 경회(景晦)
  • 김영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89(진성여왕 3). 신라 하대의 무장.
  • 김영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52(문종 6). 고려 중기의 문신.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