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말기의 왕족.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시조.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4(명종 19)∼1614(광해군 6).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성시(聖始)| 취락당(?樂堂), 백졸(百拙)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8(선조 1)∼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이헌(而獻)| 시서거사(市西居士), 지서자(之西子)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택지(宅之)| 효헌(孝憲)
  • 김선(金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사홍(嗣鴻). 1809년 진사시에, 1820년 정시 문과의 병과에 급제하였다. 집의를 지내고 1827년 6월에 동래부사에 제수되었다. 이후 사간원 대사간‧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하였다. 『동래부지』에는 1827년 6월 1...
    유형분류인물
  • 김선강(金善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창원(昌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악공으로서 최익...
    유형분류인물
  • 김선경(金善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譯官). 1593년 왜통사(倭通事)로서 명나라 심유경(沈惟敬)과 일본의 게이테쓰 겐소(景轍玄蘇) ∙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의 강화 교섭이 진행될 때 명과 일본 측의 형세를 살펴 보고하는데 많은 역할을 담당하였다. 1596년 6월 한학통사...
    유형분류인물
  • 김선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공신.
    이칭별칭 순충(順忠)
  • 김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92. 언어학자.
    이칭별칭 무돌
  • 김선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무숙의 옛벗으로, 의양이 종으로 부리던 무숙을 시켜 편지를 전하게 한 무숙의 친구인데, 편지를 보고나서는 무숙에게 자살할 것을 권유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고종 13)∼1949. 목사.
  • 김선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 독립운동가.
  • 김선백(金善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7년 8월 전라도 강진(康津)에 사는 김선백(金善白) 등 22명은 물고기 교역을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지쿠젠국(筑前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유형분류인물
  • 김선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봉산탈춤 기예능 보유자.
  • 김선봉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봉산탈춤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선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33(덕종 2)∼1104(숙종 9). 고려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충간(忠簡)
  • 김선신(金善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숭양(崇陽), 자는 계량(季良), 호는 청산(淸山).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 ∙ 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에 건너갔을 때, 정사서기(正使書記)로서 사...
    유형분류인물
  • 김선악(金善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경주(慶州)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동고수(銅鼓手)로서 임명암(林命巖)과 함께 사...
    유형분류인물
  • 김선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형국과 양씨부인의 딸이자 김취경의 여동생이다. 어머니 양씨부인을 잃고 아버지 형국의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데, 오빠 김취경이 죽을 고비를 당하자 계모 안씨부인을 의심한다. 형국의 명으로 취경을 병간호하며, 취경에서 앞으로 는 병이 들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이야기한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7(명종 2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후(伯後)| 백천(柏川)
  • 김선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5∼1910. 조선 말기의 의병.
  • 김선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4∼1995. 여배우.
  • 김선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수증과 장씨부인의 아들. 전생 태을선군의 제자로, 부처님의 지시를 받고 인간세계에 태어난다. 열 살 전에 사서삼경을 막힘없이 깨우쳤으며 열 살이 지나자 병법과 무예에 통달하여 천하의 영웅이 될 뜻을 품는다. 그러던 중 매파 춘임의 주선으로 경주 이성일의 딸 이농옥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옥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진주삼천포농악
    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선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혜공주 부마 영양위(寧陽尉) 정종의 외삼촌. 좌의정을찾아가 수양대군이 무사들을 비밀리에 교련시키고 영의정 자리에 앉아서 장차 왕으로 되기위한 일을 진척시켜 나간다고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평양 기생으로, 새로 부임한 감사 김진희의 눈에 들고자 점고때, 곱게 꾸미고 아양을 떤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이(金善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18년 5월 강원도 강릉(江陵)에 사는 김선이(金善伊) 등 6명은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이와미국(石見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
    유형분류인물
  • 김선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 초엽 황해도 문화 현감(文化縣監)이다. 늦도록 후사가 없어구월산 삼성사에서 기자 정성을 들여 아들 문백을 낳는다. 문백이 6세 때, 선치를 한 덕으로 전라도 고부 군수에 제수된다. 신연하인들과 고부로 가던 도중 동선령 주막에 머물다가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나무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선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전관이다. 집에 돌아와 보니, 종이 부인이 죽었다 하며 울다가 다시 부인이 깨어났다 하며 기뻐함을 보고, 아내가 해괴망측한 일을 하고 다닌다며 노한다. 부인의 몽사를 듣고 할 말이 없어 기이하게 생각하다가 우치가 자신들을 놀린 것을 알고 분해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전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탕춘대 잔치에서 유록과 정몽세가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중간에서 서로의 마음을 전달해 주어 인연을 맺게 해준다. 나중에청천강 근처인 박천군수가 되어 유록과 정몽세를 만나 회포를 푼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18(충숙왕 5)∼1398(태조 7).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선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1978. 정치가.
    이칭별칭 일송(逸松)
  • 김선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공신.
  • 김선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7(순조 7)∼1883(고종 20). 조선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중필(仲弼)
  • 김선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로제가 이끄는 프랑스함대가 내침하자 대원군의 명을 받아우익장으로 서 부평부에 진을 치고 지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선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6(숙종 42)∼1768(영조 4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술부(述夫)
  • 김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5(선조 28)∼1668(현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순보(舜甫)| 정헌(靜軒)
  • 김설남(金雪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다대포(多大浦)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장창수(長槍手)로서 최흥삼(崔興三)과 함께...
    유형분류인물
  • 김설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형국과 안씨부인의 딸로, 김취경의 배다른 여동생이다. 아버지김형국으로부터 예쁘지 않다는 말을 듣고 상처를 받는다. 언니 김선애가 형국에게 불려가이유 없이 곤장을 맞자 머리를 풀어 헤치고 칼을 들고 나가 만류한다. 안씨부인이 오빠 김취경을 내쫓고 또 선애를 죽이려고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설의(金雪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웅천(熊川)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나장(羅將)으로서 이부재...
    유형분류인물
  • 김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진(士晋)
  • 김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기(義妓).
  • 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재상.
  • 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반란주동자.
  • 김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태학사(太學士)로, 권시랑의 아들 봉선을 사위로 맞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혁과 호씨부인의 아들로, 일명은 홍(汞)이라고 하고, 아명은 학랑(鶴이다 누이동생 봉낭과 더불어 글재주가 뛰어나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다 글재주로 유명 ).. 郞한 백인을 글선생으로 모셔 오려 하나, 잘못하여 인의 도제인 요연을 인으로 착각하고 글선생으로 맞이한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주의 주점 주인으로, 전쟁 통에 가세가 기울어진 승상 부부를 자신의 집에 머무르게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천을 함락한 후, 홍경래의 명으로 전대를 이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사각 휘하의 선봉장으로 호장(胡將)인 익초를 벤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건(金成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쓰나요시(德川綱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당상역관 박재흥(朴再興)의 수역소동(首譯小童)으로서 정사가 타고 ...
    유형분류인물
  • 김성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1975. 실업가‧언론인‧정치가.
    이칭별칭 성곡(省谷)
  • 김성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환의 첫째아들이다. 성품이 불량하여 사돈 집안의 딸인 충효혜를 남몰래 흠모한다. 누이동생의 도움으로 효혜의 처소에 불을 지른 후 구해 주는 척하며 효혜를 취하려 하나, 효혜가 손길을 뿌리치고 달아나 연못에 뛰어드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한다. 이후 황릉묘에 사는 허...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덕휴(德休)| 팔오헌(八吾軒), 해촌(海村)
  • 김성권(金成權)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성권(金成權, 1929-2008)은 전남 강진군 칠량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고이다. 본명은 김성래(金成來)이다. 세습예인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4(고종 1)∼? 조선 말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보형(寶衡)| 초정(草亭)
  • 김성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83. 역사학자.
    이칭별칭 취정(翠汀)
  • 김성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5(헌종 1)∼1919. 조선 말기의 문신‧서예가.
    이칭별칭 중원(仲遠)| 해사(海士)
  • 김성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고종29)∼1947. 독립운동가.
  • 김성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숙종∼영조 때의 가인(歌人)으로 거문고‧퉁소‧비파의 명인.
    이칭별칭 자호(子湖), 자호(子豪), 대재(大哉)| 낭옹(浪翁), 어옹(漁翁), 어은(漁隱), 조은(釣隱), 강호객(江湖客)
  • 김성길(金成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초의 무신. 1419년 왜구들이 충청도 비인현(庇仁縣) 도두음곶이[都豆音串]에 침입해 왔는데, 충청좌도 도만호(都萬戶) 김성길(金成吉)이 술에 취해 있어 초기 방어를 하지 못하였다. 이에 왜선(倭船) 32척이 조선 병선 7척을 탈취하여 불살랐으며, 조선 군사들...
    유형분류인물
  • 김성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옥문관을 지키는 관수이다. 황제께 장계를 올려 서관과 서달이 비사장군 악대와 비룡장군 철통골을 선봉으을 삼아 군사를 이끌고 황성으로 쳐들어오고 있으니 명장을 보내 이를 막으라고 한다. 황궁에서 군사가 오자 크게 반기며 도적의 형세가 철통 같다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주별산대놀이」연희 및 가면 제작기능보유자.
  • 김성대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양주별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대(金聖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쓰시마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95년 윤(閏) 2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윤필병(尹弼秉)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경주(慶州)에 사는 김성대(金聖大) 등 6명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쓰시마에서는 표민들에게 쌀‧...
    유형분류인물
  • 김성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2(문종 2)∼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명보(明甫)
  • 김성득(金聖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초량(草梁)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에도로 향할 때, 이방(二房) 소속의 소통사(小通事)로...
    유형분류인물
  • 김성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환의 둘째아들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2(명종 1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견(汝見), 여현(汝賢)| 서당(西堂)
  • 김성립(金成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643년 통신사행 일원. 격군(格軍). 제포(薺浦) 거주. 1643년에 정사(正使) 윤순지(尹順之) ‧ 부사(副使) 조경(趙絅) ‧ 종사관(從事官) 신유(申濡)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갔...
    유형분류인물
  • 김성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1967. 독립운동가, 교육자.
  • 김성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9(선조 2)∼1649(인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시(景時)
  • 김성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7∼1985. 국문학자.
    이칭별칭 성봉(聖峰)
  • 김성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1930. 독립운동가.
    이칭별칭김성범(金聖範)
  • 김성삼(金聖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진주(晉州)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소속의 점자수(點子手)로서 이이...
    유형분류인물
  • 김성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1955. 교육가‧언론인‧정치가.
    이칭별칭 인촌(仁村)
  • 김성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1969.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주열(朱烈)
  • 김성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금동의 아버지이다. 이상록[이진사]와 친한 친구 사이로, 임신 중인 부인들이 아들과 딸을 낳을 경우 서로 혼인시키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금동이가 태어난 후 집안이점점 가난해지다가 병을 얻어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79. 정치가.
    이칭별칭 회을(悔乙)
  • 김성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8∼1969. 독립운동가‧정치가.
    이칭별칭 운암(雲巖)
  • 김성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86. 역사학자.
    이칭별칭 약전(藥田)
  • 김성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개성부에 사는 유생으로 꿈속에서 천상계를 주유 편력한다. 잠언과 선약을 얻고 설원당(雪怨堂)을 거쳐 선적(善籍)과 악적(惡籍)을 열람하고 며칠 만에 돌아오는데, 선관이 하늘에서 밀어내어 놀라 깬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6(고종 23)∼1965. 독립운동가.
  • 김성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66.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성엽(成燁)
  • 김성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순조 때의 판소리 명창.
  • 김성옥(金成玉)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성옥(金成玉, 1801-1834)은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충남 강경(현재 충남 논산시 강경읍) 부근에서 태어났다고 하나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1. 김성운(金聖運) ☞ 송파산대놀이 2. 김성운(金盛運) ☞ 양주별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김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1998. 농학자‧광복회원.
  • 김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경구(景久)| 송산(松山)
  • 김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5(중종 20)∼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강숙(岡叔)| 서하(棲霞)
  • 김성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신선의 손자이자 김재현의 아들이다. 할아버지 김신선이 죽은 뒤 한 사람이 찾아와 빌린 책을 달라고 하여 상자를 열고 책을 찾아 건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율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수영야류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5(영조 41)∼1830(순조 30).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성연(聖淵)| 인일정(引逸亭)
  • 김성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9(숙종 25)∼1764(영조 40). 조선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군서(君瑞)| 효정(孝靖)
  • 김성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3(현종 4)∼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도경(道卿)| 수월헌(水月軒)
  • 김성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5∼1995. 법조인.
  • 김성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8(중종 3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칭별칭 사순(士純)| 학봉(鶴峰)| 문충(文忠)
  • 김성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3(선조 26)∼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응건(應乾)|현룡(見龍)
  • 김성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초유사(招諭使). 곽재우가 순찰사 김수의 죄를 논하는 격서에 놀라 박사제에게 재우가 어떠한 사람인지 묻는다. 사제의 ‘딴 뜻이 없고 대중의 마음을 화합하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말에, 재우를 시험하기로 하고, 수와재우에게 각각 편지를 써 싸움을 말린다. 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