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시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장수로, 진주에서 일본 군사를 깨뜨리고 명나라 군사와협력해 크게 승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진주 목사이다. 2만의 군사로 가등광태와 세천충흥의 왜적으로부터 진주성을 지켜내지만 적군의 탄에 맞아 큰 부상을 입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민(金時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면오(勉吾). 1578년 무과에 급제해 군기시(軍器寺)에 입사하였다. 이후 1591년 진주판관(晉州判官)이 되었는데,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목사(牧使) 이경(李璥)과 함께 지리산으로 피했다가 목사가 병으로 죽자 초유사(招諭使) 김성일...
    유형분류인물
  • 김시민장군전공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에 있는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성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시민장군의 전공을 새긴 석비.
    연계항목김시민장군전공비(金時敏將軍戰功碑)
  • 김시민장군충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에 있는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전투(晋州戰鬪)에서 순절한 진주목사 김시민을 제향한 사당.
    연계항목김시민장군충민사(金時敏將軍忠愍祠)
  • 김시민(金時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시박(金時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춘천(春川). 자는 명중(明仲), 호는 해봉(海峯). 1705년 22세 때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합격하였고, 참봉(參奉)을 지냈다. 1707년 거제에 왜학생도(倭學生徒) 5명을 처음 두었는데, 김시박은 그 가운...
    유형분류인물
  • 김시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7(고종 24)∼1950.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시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0(광해군 2)∼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거(仲擧)| 면호(眠湖)
  • 김시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휴백(休伯)| 백남(白南)
  • 김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02(선조 35)∼1676(숙종 2). 조선 중기의 무신.
    이칭별칭 문원(聞遠)| 금포(錦浦)
  • 김시성(金時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역관.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비현(丕顯). 1642년 식년시 역과에서 3위로 합격하였다. 왜학(倭學)을 전공하였으며, 사역원 정(正) ‧ 교회(敎誨) 등을 지냈다. 1643년 정사 윤순지(尹順之)・부사 조경(趙絅)・종사관 신유(申濡) 등...
    유형분류인물
  • 김시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
    이칭별칭 열경(悅卿)| 매월당(梅月堂), 청한자(淸寒子), 동봉(東峰), 벽산청은(碧山淸隱), 췌세옹(贅世翁), 설잠(雪岑)| 청간(淸簡)
  • 김시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킨 생육신의 한 명. 연회에서 김종서에이어 절구 한 수를 읊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동으로 이름이 높다. 3세에 보리를 맷돌에 가는 것을 보고 “비는 아니 오는데 천둥소리 어디서 나는가, 누른 구름 조각조각 사방으로 흩어지네.”라는 시를 읊었다 하며, 5세에 이 소식을 들은 세종에게 불려가 총애를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세 살 때 글을 짓고 다섯 살에 『중용』과 􎛰/대학􎛱/을 읽는다. 집현전 학자 최치운이 소문을 듣고 시습이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세종이 소문을 듣고 승정원으로 불러 지신사 박이창에게 재능을 시험하라고 하여 박이창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는 매월거사이다. 여러 사람에게 전생에 대해 말해 준다. 탐환록(探環錄)을 통해 동학사에 있는 사람들이 단종 때 이름을 나타내지 못한 충신열사임을알리고 그들의 전생을 일일이 알려 준다. 최빈의 친척인 두 소녀는 이만영의 아내인 김함담과 부용임을, 부용을 죽이려 한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문천군수(文川郡守)이다. 천자가 지나치게 당률을 탐닉함에 반기를 드나, 몽유자 심의에게 압도당하여 항복한 후, 파직되어 좌선(坐禪)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습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無量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정.
    연계항목김시습영정(金時習影幀)
  • 김시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2년 이이(李珥)가 지은 전(傳).
  • 김시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무신.
  • 김시약(金時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1596년 괴산(槐山) 선봉장으로 의병을 일으켰으며, 모병한 군사를 거느리고 일본군을 무찔렀다. 그 공을 인정받아 관찰사(觀察使)의 천거로 별장(別將)에 발탁되었다. 이듬해 정유재란 때에는 통영군관(統營軍官)으로 관군과 ...
    유형분류인물
  • 김시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1(선조 14)∼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중(子仲)| 하담(荷潭)| 충익(忠翼)
  • 김시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서우신이 전후 함경도로 회군하다 철령에서 몽고군을 격파하고방심하여 안변에서 패전하여 전멸에 이른 것을 두고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다. 또한 김경징이 귀양을 가자 사사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시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0(순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초(元初)
  • 김시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8(선조 31)∼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이승(以承)| 도연(陶淵), 표은(瓢隱)
  • 김시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문(季文)
  • 김시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유(子柔)
  • 김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5(선조 8)∼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립(以立)| 개호(開湖)
  • 김시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1909.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8(광해군 1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옥(伯玉)| 반고(盤皐)
  • 김시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0(숙종 26)∼1767(영조 4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치명(穉明)| 초천(苕川)| 충정(忠正)
  • 김시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2(성종 3)∼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효자.
    이칭별칭 정양(廷揚)| 남정(嵐亭)
  • 김시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고종 31). 조선 말기 무인.
  • 김시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0(명종 15)∼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징(子徵)| 애헌(艾軒)
  • 김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76(숙종 2)∼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회이(晦而)| 매곡(梅谷)| 효헌(孝憲)
  • 김시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3(고종 20)∼1966.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구화(九和)| 하구(何求), 학우(鶴右)
  • 김시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1(숙종 7)∼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장(季章)| 효헌(孝獻)
  • 김시환(金始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회숙(晦叔), 호는 낙파(駱坡). 시호는 효헌(孝憲). 1700년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지평‧정언‧수찬‧필선‧보덕을 거쳐 동래부사에 제수되었다. 이후 승지‧평안도 관찰사‧도승지‧공조판서‧황해도 관찰사‧대사...
    유형분류인물
  • 김시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 김시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2(중종 37)∼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양오(養吾)| 양진재(養眞齋)
  • 김시휘(金始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49(문성왕 11). 신라 하대의 반란자. 관등은 이찬(伊飡).
    이칭별칭김이(金貳)
  • 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2(성종 13)∼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칭별칭 노천(老泉)| 사서(沙西), 동천(東泉), 정우당(淨友堂)| 문의(文毅)
  • 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9(선조 12)∼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이칭별칭 중후(仲厚), 치온(致溫)| 퇴촌(退村), 청포(淸浦), 죽창(竹窓), 죽서(竹西)
  • 김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창의대장. 참모와 군관에게 군사를 나누어 주고 사대부들과 조령과 죽령사이를 돌아다니다가 경상 감사 심연을 만나 적이 온 것으로 착각하여 달아나려 한다. 전쟁 후에 발탁되어 이조참판에 임명된다. 뒤에 고향에 있을 때 남이웅을 대신하여 대사헌에 임명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식(金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에 내투한 발해의 유민.
  • 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4(원종 15).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36(인종 14). 고려 중기의 역신(逆臣).
  • 김신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3(숙종 19)∼1738(영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존보(尊甫)| 증소(?巢)| 문경(文敬)
  • 김신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2(선조 5)∼1657(효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진(景進)| 후추(後?)|청릉군(淸陵君)
  • 김신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조판서로, 능봉군을 왕자로 가장하여 인질로 보내려던 계획이실패한 후에 사신으로 적진에 가나 소득없이 돌아온다. 임금에게 동궁을 적진에 보내고 신하와 황제의 관계를 일컫기를 청한다. 소와 술, 은합을 들고 적진에 찾아가나 적이 받지 않아 그대로 들고 되돌아온다. 위산...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국(金藎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신남(金信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1624년 정사 정립(鄭岦) ∙ 부사 강홍중(姜弘重) ∙ 종사관 신계영(辛啓榮)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유형분류인물
  • 김신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신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자형(子衡)
  • 김신민(金新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신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된 관리.
  • 김신부부사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전(傳).
    이칭별칭김신부부전
  • 김신빈(金興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신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인(異人)으로, 속명(俗名)은 홍기이다. 16세에 장가들어 단 한번 아내를 가까이 해서 아들을 낳고는 다시는 접근하지 않는다. 벽곡을 해서 몸이 가벼워지자 전국 명산을 두루 찾아다니는데, 단숨에 수백 리를 달리며, 5년 만에야 비로소 신을 갈아 신고, 밥을 먹지 않...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선의 친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신선의 친구로, 김신선이 세상을 뜬 후 찾아와 영전에서 곡을 한다. 손자 김성윤에게 신선과는 친한 사이인데, 빌려준 책 한 권을 받으러 왔다고 말한다. 성윤이 상자를 열고 책을 찾자, 그 책이라며 소매에 넣고 사라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 김신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귀족.
  • 김신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신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의 남양 북촌 설학동에 사는 처사로 별호는 한수선생이다. 청렴과 학식으로 존경을 받으나, 탐관오리인 고을태수 원상의 미움을 받는다. 원상의 모함으로 황제에게 국문을 당해 죽을 뻔 하나 좌각로 범공의 만류로 북해도로 정배된다. 반년이 안 되어병으로 죽자, 이운증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장수로, 수중로를 왜적에게 들킨 후 혼자 대동문으로 나가 배를 타고 강서로 달아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신원, 김이원(金信元, 金履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신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신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화배우.
  • 김신종(金信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1624년 정사 정립(鄭岦) ∙ 부사 강홍중(姜弘重) ∙ 종사관 신계영(辛啓榮) 등 삼사신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유형분류인물
  • 김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8(우왕 14). 고려 후기의 환관.
  • 김실자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강령탈춤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충숙(忠肅)|화평부원군
  • 김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군량(君諒)| 문정(文貞)
  • 김심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폐신(嬖臣).
  • 김심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18년(현종 9). 고려 초기의 문신.
    이칭별칭 문안(文安)
  • 김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인목대비의 침실 상궁이다. 임진왜란 때 14살의 나이로 피란 중 선조 를 정성으로 모신 바 있으나 궁인 ‘ ’인 까닭으로 그 공을 인정받지 못한다. 박동량이 유릉저주사건이 인목대비 측에서 벌인 것이라 거짓말을 한 까닭에, 잡혀가 심한 문초를 받는다. 이때 병졸들이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충청도 홍주 땅의 부자로, 재기가 있는 딸이 머슴 이기축에게 시집간다고 하니 화가 나 딸을 질책한다. 딸이 끝내 기축과 혼인하려 하니 남부끄러워 돈을주어 딸과 기축을 내보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효사의 장인이다. 서사로 있던 효사의 뛰어난 재주와 인품을 알아보고 넷째딸 김취란과 혼인시킨다. 그러나 여러 딸들 중 가장 아름답고 뛰어난 취란을 보잘것없는 효사와 혼인시켰다고 집안사람들로부터 많은 원망을 듣는다. 다른 사람과 달리 효사의 재능을 알아보고 아끼고 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 가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씨 집안의 친족 관계나 내력을 계통적으로 적은 책
    정의김씨 집안의 친족 관계나 내력을 계통적으로 적은 책 | 문광부표기Kimssi gabo | MR표기Kimssi kab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씨 종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어떤 종인의 모함으로 관청에 들어가 신문을 해야 하는데, 순부를 보내 응대하기로 한다. 순부가 포졸을 혼내서 돌려보내자 찾아와 분란을 해결해달라고 부탁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괴정본중금보급방향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철종 무렵에 궁중 악사들이 편집한 중금(中笒) 및 방향(方響) 악보.
  • 김씨박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간행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수록된 이야기.
    정의조선시대에 간행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수록된 이야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Kim Ssi bakho | MR표기Kim Ssi pak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씨부의 어머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딸[김씨부인]이 장갑준과 혼례하던 날 남편을 잃자 집에서 나가지 못하게 한다. 딸이 남편 갑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나가겠다고 간곡히 말을 하자, 할수 없이 남편 모르게 내보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권인상의 아내이자 호선ㆍ인선ㆍ용선 3형제의 어머니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성규의 아내로 이옥선을 구하려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권용선의 외사촌누이이다. 남편 이참정이 일찍 죽은 후 시가(媤家)가 있는 형주 태촉현으로 내려가 과거(寡居)한다. 오소저의 여종 쌍섬이 소저를 대신해 남강(南江)에 투신(投身)해 죽으며 부탁한 말을 좇아 오소저 일행이 찾아와 의탁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상서 김영의 딸로, 권용선의 첫째부인이다. 부부 금실이좋지 못하다가 병을 얻어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경란의 어머니이다. 이영학이 호랑이에게 잡혀 간 것으로 생각하여 다른 정혼처를 모색한다. 경란이 절대로 다른 곳으로 는 시집갈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고 있으나 짐짓 모른 척하고, 부모의 말을 거역하려는 경란을 꾸짖는다. 경란이집을 떠난 후 생사를 알지 못하여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갑준의 부인이. 혼인을 한 첫날밤에 남편이 죽자, 원수를 갚으려고 마음을 먹고 남복을 한 채 집을 나와 떠돌아다닌다. 남편 갑준의 집 근처, 한노파의 집에서 지내다가 늦은 밤 노파의 양자가 찾아와 시어머니인 유씨부인의 사주를 받고갑준을 살해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리촌 유진사의 미망인이다. 양식을 구하러 온 옥경선의 사연100) 신구서림 발행 [권용선전](1918)의 첫머리에는 ‘심씨’로 나타났다가 뒤에는 ‘김씨’로 되어 있다. 을 듣고, 그를 불쌍히 여겨 양딸로 삼아 함께 지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수일의 딸로,. 마원철의 부인이다. 중국에서 돌아온 마원철과 혼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