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개녕동 처녀의 이웃 동무로, 역시 산 사람이 아닌 혼령이다. 용모가 단정한 여인으로, 양생과 아가씨[개녕동 처녀]의 술자리에 동석하여 시를 읊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만득과 혼인한 춘덕의 딸이다. 만득과 혼인한 후, 만득이 옛날 자신이 섬기던 주인집 자손임을 안 자신의 아버지가 만득을 죽이려 하자 모든사실을 알려 주고 ‘장창환댁 둘째며느리에게 가 목숨을 구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만득과자신의 옷을 바꾸어 입고 대신 죽는다. 만...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방낙성의 아내이다. 김추밀의 딸로 용모가 아리따우며, 효성이 지극하여 방관주 부부가 세상을 떠나자 3년 상을 극진히 치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대홍의 부인으로, 늦도록 자식이 없음을 슬퍼하다가 꿈에상제에게 득죄한 태을선인(太乙仙人)이 세존의 인도로 의탁한다는 꿈을 꾸고 아들 유백로를 낳는다. 조은하게 가달왕을 물리치자 숙렬부인 직첩을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정의 두 번째 부인이자, 김참판의 첫째 딸이다. 유정에게 시집와 처음에는 전실 소생의 아들을 매우 사랑한다. 그러나 아들과 딸을 낳자 점점 전실소생을 미워하여 구박한다. 급기야 집 하인인 이춘삼과 그의 아내를 매수하여 전실 아들을혼인 첫날밤에 몰래 죽여 머리를 베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춘풍의 부인이다. 부부생활을 꺼리는 춘풍 때문에 10년을 외롭게 지내다가, 동생 김시랑의 도움으로 춘풍과의 사이에서 자식을 얻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서경덕의 아내이다. 혼인 첫날밤에 화담과 마주 앉았는데밖에서 까닭 모를 울음소리가 들리므로 겁을 먹는다. 귀신의 울음소리를 추적하기 위해 밖으로 나간 신랑이 돌아오지 않자 틀림없이 죽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다가 다시 돌아온 것을보고 다행으로 여긴다. 화담에게 시집온 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소연의 첫째아들 소광의 아내이다. 아버지 김시랑에게 도련님소현의 인품과 재주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소씨부인의 외숙모이다.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소소저[소씨부인]을 심하게 구박한다. 소소저가 장혜랑과 혼인하였다가 후주의 모함을 입어 집으로 돌아오자 더욱 심하게 박대하며 재혼할 것을 강요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혈룡의 아내이다. 혈룡이 김진희를 찾아가려고 하자 그 생각을 옳게 여겨, 우례 때 입은 의복을 팔아 노자를 마련해 준다. 평양에서 재물이 오자평양 감사가 보내 준 것이라 여긴다. 과거를 보러 가는 혈룡에게 그간의 사연을 듣고 옥단춘의 은혜에 감사한다. 정렬부인에 봉...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옥동 이서의 외할머니로, 딸이 죽은 후 외손자 이서가 슬픔을 이기지 못해 외가로 보내지자 위로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현의 딸이다. 서명의 후처로 들어간 뒤 서명이 바로 죽자, 전처의 남매를 학대하며 죽이려고 독약을 먹이지만 실패한다. 서공자와 서소저가 각각위소저와 경학사를 맞아 혼인하자 모든 음모가 허사가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영걸의 첫째 아내이다. 유현명[이경문]이 원찬을 가 유현애에게 수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자 현명의 꿈에 나타난다. 현명이 어릴 적에 돈을 주고사온 아이이며 영걸과는 아무 상관이 없음을 알려준다. 현명에게 친어머니의 얼굴을 보여주며 조만간 형이 찾아올 것이라고 알려주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춘풍의 아내이다. 춘풍이 돈만 있으면 기생집으로 가지고가지만, 생계를 위해 품팔이를 하며 집안을 건사한다. 하루는 쌀이 떨어져 굶고 누워있는데춘풍이 반성이라도 하듯 방탕한 생활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써 주어 받는다. 이제껏 고생한 보람이 있다 여기고, 품팔이를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기축의 아내로, 어려서 동네 처사에게 술수를 익혀사람의 사주를 보는 능력이 있다. 미모와 총명함을 지녔는데, 부모에게 자신의 집 머슴으로 있는 이기축에게 시집가기를 청한다. 부모가 꾸짖다 못해 돈을 주어 내보내니, 서울로올라와 새문 밖 외진 곳에 술청을 연다. 술청...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지평 땅 출생으로, 이허의 아내이다. 허황된 소문을 쉽게 믿는 남편이 세상이 어지러워질 것이라는 소문을 들은 후, 말에 태워져 정처 없는 피난길에나선다. 깊은 산골짜기에 이르러 토끼에 놀란 말이 내닫는 바람에 정신을 잃은 채 백여 리이상을 간 곳의 박씨 성의 어느 양...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석의 아내로, 4자 1녀를 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도영의 아내로, 자기 딸보다 모든 면에서 낳은 소소저를 몹시 구박한다. 장혜랑이 소소저와 혼인하고 싶다고 말하자, 혜랑이 지체 높은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또 인물도 잘났다는 말을 듣고 혼사를 결정한다. 시댁에서 쫓겨난 소씨부인이 갈곳이 없어 외삼촌 집을 찾아오나 달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찬의 아내로, 혼인을 청하러 온 전청의 용모와 재주를 보고 기뻐한다. 시동을 통해 배 위에서 유숙하던 전청에게 주찬을 보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태후 김희의 딸이자 조명천의 아내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홍연의 아내이다. 김정승의 딸로 매우 총명하고 아리따워 사람들의 칭송을 받는다. 어느 날 밤 친구인 팥죽장사 노파의 딸을 따라 들어온 연을 보고 무례함을 질책한다. 그러나 15세가 되면 갑작스럽게 죽을 운명을 피하기 위해 처소에 침범하였다는 연의 말을 듣고 사정을 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충청도 해미현의, 모재의 7세손 김덕겸의 딸이다.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외숙 집에 의탁해서 살다가 면천에 사는 황탁(黃琢)의 둘째 아들 황동로와 혼인을 한다. 가난한 시집 살림이지만 잘 꾸려나가 집안을 화목하게 한다. 어느 날 종제 김언규와 영광(靈光)에 살고 있는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1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대중대부 김오현의 넷째딸로, 이몽필의 아내이다. 인물이단정하고 성품이 현숙하여 이몽필과 혼인하여 금실 좋게 지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1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정경의 아내이다. 조정경이 조혜성의 총명함을 보고 가문을 부흥시키고 혜경의 혼처를 구할 생각으로 경성으로 집을 옮기자고 말하자선대의 묘소를 모시고 산 지 여러 해가 지나 차마 고향을 떠나기 힘들지만 남편의 뜻에 따르겠다고 대답한다. 후일 조혜성이 병을 얻자 걱정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1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진성의 어머니이다. 아들 진성을 낳고 3일 만에죽는다. 친하게 지내던 망천공의 집에서 진성이 지내기를 부탁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1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공의 아내이다. 황공과 같은 꿈을 꾸고 태몽이 분명하다여기고 기뻐한다. 그 다음 달부터 태기가 있어 열 달 뒤에 예쁜 여아를 낳는다. 태기가 있기 전에는 그저 자식을 낳기를 바라다가 그 후로는 아들이기를 바란다. 딸이 태어남을 보고낙심하여 황공에게 한탄한다. 황공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2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영걸의 부인으로, 늦도록 자식을 낳지 못해 남편 영걸의박대를 당해 남창 적막한 방에서 세월을 보낸다. 영걸이 어느 날 내려와 며칠 묵고 가자, 꾀를 내어 방안에 드러누워 아이를 가진 척한다. 열 달이 가까워지자 여종 추향에게 천금을주며 아이를 구해 오라고 시킨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2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어사의 아내이다. 유어사가 김소저를 구해데려와 사연을 얘기하며 수양딸 삼기를 원하자 기뻐하며 허락한다. 김소저를 친딸처럼 대한다. 이미 임신한 상태였던 김소저가 아들을 낳자 기뻐하며 이름을 조윤경이라 짓는다. 본디열여덟 살 난 아들이 하나 있으니 십 년 전에 길에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2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언순의 조카인 망천공의 아내로, 첨추공 이구용의 아내인 김씨부인과는 친구간이다. 삼십이 되도록 아이를 갖지 못해 슬퍼하다가 김씨부인(1)의 아들 이진성을 데려다 양육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부인 2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윤씨부인의 이종사촌 동생으로, 장숙의 아내이다. 윤씨부인이 수양딸 삼은 황월선을 보고 감탄한다. 그 용모와 행동이 빼어나고 마침 아들과 연기가 맞으니 혼인시키는 것이 어떠하냐고 장진사에게 묻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씨세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5년(고종 2) 김석봉(金碩奉)이 편찬한 김윤광(金潤光) 일가의 효행기.
  • 김씨열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김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박자의 아들로 22세이다. 사냥을 즐겨 동물들을 잔혹하게 죽이고, 부모가 살생하는 것을 말리면 동물을 가지고 장난한다. 아버지 김박자가 자신의 누이희제와 사심보를 혼인시키려고 하자 가난한 심보가 맘에 들지 않아 크게 화를 낸다. 가난한심보와 혼인하는 것은 조상님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아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어부가 요괴에게 들려준 이야기 속의 인물이다. 아무도 고치지 못한 모국왕의 병을 치료해 주고 총애를 받는다. 모국왕이 간신의 말을 듣고 죽이려 하자 억울함을호소한다. 그러나 마침내 죽을 위기에 처하자 집으로 가서 귀한 책을 가져다 모국왕에게 받친 뒤 죽겠노라 한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아파나시아르센지예비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0∼1935. 사회주의운동가.
  • 김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당나라에 간 유학생.
  • 김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말 고려 초의 유학자.
    이칭별칭악(岳)|악(渥)
  • 김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재상.
  • 김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35(인종 13).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김찬
  • 김안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8(성종 9)∼1543(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칭별칭 국경(國卿)| 모재(慕齋)| 문경(文敬)
  • 김안국(金安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모재(慕齋). 1501년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에 합격, 1503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이어 박사・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50...
    유형분류인물
  • 김안균가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에 있는 근대의 주택.
    연계항목김안균가옥(金晏均家屋)
  • 김안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1(성종 12)∼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숙(?叔)| 희락당(希樂堂), 용천(龍泉), 퇴재(退齋)
  • 김안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6(성종 7)∼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진경(震卿)
  • 김안정(金安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알렉산드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5(고종 22)∼1918. 사회주의운동가.
    이칭별칭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김(스탄케비치)
  • 김알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5(탈해이사금 9)∼? 신라 상대의 씨족장. 경주김씨의 시조.
  • 김알지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주김씨의 시조 김알지에 관한 신화.
  • 김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무관‧방술가(方術家).
  • 김암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환술
    대분류환술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암덕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바우덕이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압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파견된 사신.
  • 김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68(원종 9).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애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3∼1996. 교육학자.
  • 김애선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봉산탈춤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애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진옥과 유난영의 아들이다. 아버지인 진옥이 전쟁에 나갔다가돌아오지 않자, 무양공주와 간신들의 모해를 입고 한강수 깊은 강물에 버려진다. 다행히 황국도사(黃菊道士)의 구원을 얻어 이통판의 집에서 자란다. 그러다 우연히 아버지 진옥을 만나 부모와 함께 살게 되고, 등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8(선조 1)∼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평숙(平叔)| 오자옹(五者翁)
  • 김약국의딸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장편소설.
  • 김약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0(영조 6)∼1802(순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유성(幼城)| 두암(斗庵), 인수(忍?)
  • 김약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4(숙종 20)∼175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이민(而敏), 이민(而民)| 만휴당(晩休堂)| 충정(忠正)
  • 김약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00(연산군 6)∼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태용(太容)| 성재(誠齋)
  • 김약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고종 29)∼1964 노동운동가‧정치가.
  • 김약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백성으로, 윤사균에게 송현수와 권완이 역적을 모의한다고 고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약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1971. 서지학자‧장서가.
    이칭별칭 신암(薪菴)
  • 김약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충정(忠定)
  • 김약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8(고종 5)∼1942. 독립운동가‧교육자.
    이칭별칭 규암(圭巖)
  • 김약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59(문종 13)∼1140(인종 18).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유승(柔勝)| 사정(思靖)|김의문
  • 김약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82(문종 36).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약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 김약채(金若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약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파견된 사신.
  • 김약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7(태조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칭별칭 구경(久卿)| 척약재(?若齋)
  • 김약항(金若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08(애장왕 9)∼857(문성왕 19). 신라 하대의 귀족‧대신.
    이칭별칭 위흔(魏昕)|김위흔
  • 김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문신.
  • 김양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문안(文安)
  • 김양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양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4(성종 15).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보(子寶)| 공숙(恭肅)
  • 김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4(영조 10)∼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선오(善吾)| 동야(東?)
  • 김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11(희종 7).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이칭별칭 천리(千里)| 긍원(肯園), 낭곡(浪谷)
  • 김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70(문무왕 10). 신라 중대의 장군‧문장가.
  • 김양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에 있는 신라 하대의 공신 김양의 묘.
    연계항목김양묘(金陽墓)
  • 김양보(金良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502년 알성시에서 급제하였으며, 1503년에는 선전관(宣傳官)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왕(연산군)을 모시고 서산(西山)의 사냥에 나갔다. 그러나 신호를 지휘하면서 빨리 달아나 물러앉지 않아 왕의 사냥에 차질이 생겼고, ...
    유형분류인물
  • 김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70. 목사‧고고학자.
    이칭별칭 매산(梅山)
  • 김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71. 독립운동가.
  • 김양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대장군. 조광 등이 2차 서경 반란을 일으키자 김부식의 명을 받아 후군을 거느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양숙(金陽淑)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양숙(金陽淑, 1964- )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출신의 판소리 여성 명창이다. 박동진(朴東鎭, 1916-2003) 문하에서 20세(19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양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47(문성왕 9). 신라 하대의 대신ㆍ반란자.
  • 김양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6(영조 52)∼1840(헌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회(元會)| 건옹(健翁)
  • 김양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자익(子翼)| 일재(逸齋)
  • 김양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3(선조 16)∼1627(인조 5). 조선 후기의 무신.
    이칭별칭 선익(善益)|진흥군(晉興君)
  • 김양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8(순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 김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56년(고종 43).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파견된 사신.
  • 김양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하대의 재상.
  • 김양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허판서의 문객이다. 김진사가 거액의 돈을 가지고 서울로 왔다는 사실을 알고 평양까지 사람을 보내어 김진사 집의 사정을 파악한다. 그리고 김진사에게 돈 천냥만 주면 벼슬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겠다고 유혹한다. 그리고 허판서와 만날 수 있도록 주선한 다음, 만 냥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