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상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화감독ㆍ영화미술가.
  • 김상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능(士能)
  • 김상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영조 때의 시인.
    이칭별칭 경숙(敬叔)| 창암(蒼巖)
  • 김상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2(숙종 38)∼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보(士保)| 화서(華西)| 충익(忠翼)
  • 김상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4(고종 1)∼1912.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경대(景大)| 백우(白愚)
  • 김상필(金相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말기의 관리. 낭청(郞廳)을 지냈다. 1874년 오규선(吳奎善) ∙ 이조경(李祖庚) 등 수많은 경기도 유생들과 함께 화양서원(華陽書院)을 다시 설립해 줄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876년 반당(伴倘)이 되어 제1차 수신사(修信使) 김기수(金綺秀)...
    유형분류인물
  • 김상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2(헌종 8)∼1917.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주서(周瑞)| 청은(淸隱)
  • 김상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0(선조 3)∼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숙도(叔度)| 청음(淸陰), 석실산인(石室山人), 서간노인(西磵老人)| 문정(文正)
  • 김상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1945. 독립운동가.
    이칭별칭배달옹(裵達翁)|달(達)
  • 김상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소현세자, 효종 등과 함께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축년 초에 임금의 명으로 온조왕에게 제사를 지낸다. 그 뒤 햇무리가 지고 흰기운이 하늘에 뻗치자 원종에게 제사를 지낼 것을 임금에게 청한다. 최명길의 화의를 청하는 국서를 보고 노하여 국서를 찢는다. 병조판서 이성구가 이를 비난하자사처로 나가 음식을 먹지 않고 죽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헌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김상헌의 유택. 경기도 기념물 제100호. 묘역 면적 300㎡이며, 봉분은 높이 170㎝, 직경 4m이고 그 앞에 묘비(墓碑)가 있다. 묘비는 이수(螭獸)와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갖추었다.
    연계항목김상헌선생묘(金尙憲先生墓)
  • 김상헌(金尙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상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 정치인.
  • 김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1(순조 11)∼1890(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위사(渭師)| 경대(經臺), 노헌(魯軒)| 문헌(文獻)
  • 김상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0∼1995. 학자‧행정가.
  • 김상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고종 26)∼1965. 승려‧독립운동가.
  • 김상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7(헌종 13)∼1909. 조선 말기의 학자.
    이칭별칭 문극(文極)| 경재(敬齋)
  • 김상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9∼1987. 시인‧평론가.
  • 김상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7(순조 2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용(季容)| 초천(蕉泉)
  • 김색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관아의 사령이다. 빙옥을 데려오라는 호장의 명령을 받고 빙옥에게 말을 전하기 위해 빙옥의 집을 찾아간다. 빙옥의 사정을 딱히 여겨 다시 관아로 돌아가 부사에게 빙옥이 병들어 데리고 오지 못한다고 아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11(성덕왕 10)∼? 통일신라시대의 서예가.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혼인하러 가던 도중에 불량한 주막주인과 다투다가 살인을저지르고 관가에 잡혀간다. 본관에게 사정을 말하고, 곽진사의 집에 가서 납채를 찾으러갈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아낸다. 곽진사에게 자신의 죄를 말하고 납채를 돌려달라고 하나, 신부가 주지 않자 감옥으로 돌아온다. 감옥...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광해군 때 한 재상의 사위로 40이 넘도록 벼슬길에 나서지 않자 처가 식구들에게 멸시를 받는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새 왕[인조]를 세우는 반정 공신이 되어 처가 식구들을 모두 용서하고 영화를 누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늘 신선이 되기를 원하는 양반이다. 친구인 신생이 회양(淮陽)의 원으로 부임해 가자 이를 계기로 금강산 구경을 나서나, 신생과 금강대사의 꾀에 넘어가 가짜신선을 만나 신선이 되는 시험을 치르고 가짜 신선이 되어 세상으로 나간다. 그러나 자신이속은 것을 알고 화병이 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승상 김헌의 아들로, 아버지의 뜻에 따라 소숙영과 혼인하려 한다. 그러나 의양공주의 추천을 받아 장후비의 딸과 혼인하여 부마가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라 때의 명필이다. 문화현(文化縣) 구월산에 있는 삼성사에 모신단군의 성령을 믿어 오래도록 정성껏 기도를 드려, 그 정성에 감동한 단군이 명필이 되게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조대왕 때의 성균관 진사로, 풍류랑이다. 아름다운 외모에 풍채가뛰어나며 글과 우스갯소리를 잘하는 기남자다. 15세에 진사 제일과에 오르자 이름 있는 집안에서 사위를 삼으려 한다. 어느 날 성균관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중에 춘흥을 이기지 못하95) 이본 중의 하나인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세조 때 김재상의 아들이다. 이생과 한날한시에 태어난 죽마고우. 이생보다 먼저 장원급제하여 평안 감사로 가게 되자, 이생을 동반하여 부임한다. 이생의학업을 위해 특별히 별당을 꾸며 내주고 이생은 공부에 힘쓴다. 이생을 위해 주연을 베풀지만 거절당한다. 기생인 오유란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위악의 친구이다. 위악이 아버지를 따라 서기관의 신분으로 전쟁터로나왔을 때, 같은 군대에 소속된다. 글재주가 매우 뛰어나며, 위악이 시름 때문에 깊은 병이든 것을 알고 자주 찾아와 우스갯소리를 하며 위로해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현경, 장연과 함께 공부한 친구로, 그들이 지어준 글로 과거에 급제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씨부인의 동생이자 이허의 처남이다. 옛 종인 충석의 전갈을 받고 그의 집에 가 누이를 데려오고 매부 이허와도 상봉하게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상서댁의 아들이다. 16세에 이승상의 딸 소애에게 구혼한다. 이승상의 생일에 초대를 받아 어머니와 함께 간다. 호사스럽게 치장을 하고 거들먹거리며, 사환과 기생을 쳐다보고 희희낙락한다. 정씨부인이 사윗감의 실력을 겨루기 위해 내당으로 불러 들어갔다가 좌우에 있는 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金生)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가짜신선타령(假神仙打令)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생(金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의 인물. 염간(鹽干) 김생은 1424년 9월에 왜구가 서여서도(西餘鼠島)를 침략하였을 때 전라도처치사(全羅道處置使) 윤득홍(尹得洪)과 함께 왜구를 물리쳤다. 당시 이등 공을 세웠다고 하여 신역(身役)을 면제받고 공패(功牌)를 받았다.
    유형분류인물
  • 김생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1995. 바이올리니스트‧지휘자.
  • 김생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유성룡의 부하 장수이다. 성룡이 일본군이 커다란 댓개비에 종이쪽을붙인 것을 본 떼어 오라고 하자, 거침없이 달려가서 떼어 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에 있었던 절.
  • 김생열(金生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99년 8월 전라도 장흥(長興)에 사는 김생열(金生悅) 등 9명이 물고기 교역을 위해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이즈모국(出雲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
    유형분류인물
  • 김생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씨부인의 아버지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의 아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편 김생이 과거에 나서지 않아도 지극히 공경한다. 김생이반정 의 우두머리로 재상이 되자 친정 식구들의 용서를 빌어 극형을 탕감시켜 귀양 보내게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의 장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평소 데릴사위인 김생을 미워하고 구박하다가 사위가 귀히된 뒤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딸에게 빌어 남편과 아들들의 죄를 가볍게 받도록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생의 장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부귀에 눈이 멀어 벼슬길에 오르지 못한 사위 김생을 구박하나, 새 임금이 즉위하고 옛 임금이 쫓겨나자 옥에 갇히고 재산도 몰수된다. 벼슬길에 오른 사위 김생의 관용에 힘입어 목숨을 부지한 채 유배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84(충렬왕 10).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서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5(고종 12)∼? 일제강점기의 친일파.
  • 김서남(金瑞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왜학역관(倭學譯官) 김덕회(金德澮)의 아들. 1541년 7월 영등포만호(永登浦萬戶) 송거(宋琚)가 제포(薺浦)에 갔다가 돌아올 때에 왜선(倭船) 1척과 만나 배를 습격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때 왜인 중에서도 특히 연시라(延時羅, 迎時羅) ...
    유형분류인물
  • 김서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진사의 이웃집 홀아비이다. 박진사의 아들에게 논을 주겠다고하며, 권씨부인을 자신에게 넘겨 달라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서방 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상도 밀양 땅 화범암에서 공부하는 김서방의아내이다. 화범암 승려가 김서방의 부탁을 받고 갈아 입을 옷을 가지러 왔다가 비가 심하게오자 집에 머물게 한다. 늦은 밤에 승려가 겁탈하려 하자 측간 간다 핑계대고 나와 소나무에 목을 매어 죽는다. 원귀가 되어 늙은 중이 평...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7(연산군 3)∼1548(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응경(應卿)
  • 김서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4(숙종 20)∼1780(정조 4).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용만(用萬), 호는 전긍재(戰兢齋). 아버지는 증호조참판(贈戶曹參判) 정(梃)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입(鉝)의 딸이다.
    이칭별칭 용만(用萬)| 전긍재(戰兢齋)
  • 김서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1943. 민족항일기의 대종교인.
    이칭별칭 설도(雪島)
  • 김서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귀족.
  • 김서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유신의 아버지이다. [가락국태왕전]에 의하면 양왕(讓王)의 10세손이다. 진평왕 때 만노군 태수로 부임한다. 경진(595)년 밤에 두 별이 북두칠성과 서로 상응해 자신에게 내려오는 꿈을 꾼 후 아들을 얻는다. 아들이 태어날 때 상서로운기운이 넘치고 아들의 등에 북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초기의 왕족. 의성(義城)김씨의 시조.
  • 김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1∼1982. 독립운동가.
  • 김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동지의 아들이자, 김효증의 의붓형이다. 반병신으로 한 눈은 보이지 않고, 한 다리는 절뚝바리이며, 한 팔은 곰배팔이다. 김효증과 함께 공부하며 친형제처럼 지낸다. 혼인하는 일이 힘들 것이라 생각되어 부모가 대신 효증에게 간선 자리에 나가고, 또 이중군의 딸과 첫날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석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46(충목왕 2). 고려 후기의 공신.
    이칭별칭승석(承石)
  • 김석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자고(子固)| 문옹(汶翁)
  • 김석겸(金碩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전악(典樂)으로서 정사 조태억이 타고 간 제일선(第一...
    유형분류인물
  • 김석곡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인향의 아버지이다. 평안도 안주성의 좌수로, 부인 왕씨와 아들 인형과 딸 인향ㆍ인함 1남 2녀를 두고 행복하게 산다. 어느 날 부인 왕씨가 병들어 죽자 슬퍼하다가, 성천 땅에 사는 가까운 친척 화서의 권유에 못 이겨 후처 정씨를 맞는다. 이후 주로관청에서 지내며 모...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석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4(고종 1)∼? 조선 말기의 문신.
  • 김석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26(순조 26)∼1907. 조선 말기의 문신.
  • 김석년(金碩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우호를 다지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잡혀간 피로인(被虜人)을 데려오기 위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길운(吉...
    유형분류인물
  • 김석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8(효종 9)∼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병여(炳如)
  • 김석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귀신을 쫓는 무당이다. 처음 설공침에게 설충란 딸의 영혼이 빙의되자설공침의 아버지 설충수에 의해 불려와, 복숭아 나무 채와 부적을 써서 설충란의 딸의 영혼을 쫓아낸다. 그러나 설공침에게 설공찬의 영혼이 빙의되었을 때는 어떠한 방법도 듣지 않아 실패하고 만다. 96)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석삼(金石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70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재간(李在簡)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제주(濟州)에 사는 김석삼(金石三) 등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고토(五島)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유형분류인물
  • 김석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화가.
    이칭별칭 군익(君翼)| 초원(蕉園)
  • 김석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8(인조 26)∼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백(汝伯)| 정희(貞僖)
  • 김석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7(성종 8)∼1541(중종 36). 조선 중기의 학자.
    이칭별칭 옥이(沃而)
  • 김석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3(고종 30)∼1978. 군인.
  • 김석이(金石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전라도 해남(海南) 사람으로 1464년 봄에 승려 성염(性淡)과 함께 배를 타고 제주(濟州)로 가서 부친을 만나고 돌아오다가 태풍을 만나 표류하여 5일 만에 일본 마쓰우라(松浦)에 이르렀다. 일본인들이 그 의복(衣服)을...
    유형분류인물
  • 김석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량(汝兩)
  • 김석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4(숙종 20)∼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수언(壽彦)| 허주와(虛舟窩)
  • 김석일(金錫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본관 청풍(淸風). 자는 수언(壽彦), 호는 허주와(虛舟窩). 1731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739년 지평・정언을 지냈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는 1741년 3월 26일부터 1742년 9월 4일까지 동래부사로 재직하였다고...
    유형분류인물
  • 김석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 김석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4(인조 12)∼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백(斯百)| 식암(息庵)| 문충(文忠)
  • 김석주(金石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역관(譯官). 왜어(倭語)에 정통한 것으로 유명하며, 사역원(司譯院)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1509년 쓰시마도주 소 기모리(宗材盛)가 병석에 있어 그 아들이 대신 서계(書契)를 받을 경우를 대비하여 도주 아들에게 내용을 이해시키기 위해 언어 소...
    유형분류인물
  • 김석주(金錫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豊). 자는 사백(斯百), 호는 식암(息庵). 1657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662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에 장원하였다. 수찬(修撰)을 지내던 1667년 2월에 차왜(差倭)의 접위관(接慰官)이 되었다. 165...
    유형분류인물
  • 김석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1(순조 31)∼1915. 조선 후기의 시인‧서도가.
    이칭별칭 희보(姬保)| 소당(小棠), 효리재(孝里齋), 묵지도인(墨指道人), 연백당(硏白堂)
  • 김석중(金錫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관리. 한양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의 반전직(盤纏直)으로서 사행...
    유형분류인물
  • 김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2(인조 10)∼1688(숙종 14). 조선 중기 문신.
    이칭별칭 시우(時遇)
  • 김석지(金石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53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이장(李彛章)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경상도 평해(平海, 현재의 경북 울진)에 사는 김석지(金石只) 등 14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나가토국(長門國...
    유형분류인물
  • 김석지(金錫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석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43(헌종 9)∼1910. 조선 말기의 문신‧항일 우국지사.
    이칭별칭 경소(景召)| 오천(梧泉)
  • 김석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6∼1974. 목사.
  • 김석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 판소리의 명창.
  • 김석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고종 13)∼1950. 독립운동가‧목사.
  • 김석창(金碩昌)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석창(金碩昌)은 충남 공주(현재 충남 공주시)에서 태어나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며, 정확한 생몰연대는 알 수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석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무신.
  • 김석철(金錫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 무신. 1490년 부장(部將)이 되고 이어서 남포현감(藍浦縣監) ‧ 제포첨절제사(薺浦僉節制使)를 거쳐 1509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이때 제포 ‧ 부산포의 항거왜인(恒居倭人)들이 쓰시마도주의 내원을 받아 살인과 방화 및 약탈을 자행하는 등 삼포...
    유형분류인물
  • 김석충(金錫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한양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반전직(盤纏直)으로서 정사 조엄이 타고 간 제일선(...
    유형분류인물
  • 김석하(金錫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711년 10월에 부산진(釜山鎭) 겸임(兼任) 좌수영우후(左水營虞侯) 지냈는데, 2척의 왜선(倭船)이 경상(慶尙) 우도(右道) 쪽으로 표향(漂向)하는 것을 보고 보고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석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의 역사학자[생몰년: 1915∼1996].
  • 김석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고종 31)∼1950.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윤황(潤璜)|석황(錫潢)
  • 김석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4(순조 4)∼1862(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경가(敬可)| 제애(霽厓)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