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삼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반란자.
  • 김삼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귀족‧대신.
  • 김삼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1989. 언론인.
  • 김삼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막씨의 남편으로, 호협 방탕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부인 박씨가못생겨서 첩을 얻어 집을 나가지만 곧 죽는다. 그러나 영혼이 된 김삼랑이, 막씨가 시어머니를 지성으로 봉양하는 모습을 보고 감복하여 찾아가 막씨와 동침하고 돌아간 후 열 달 만에 금방울을 낳게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삼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50. 공산주의 운동가.
  • 김삼룡이주하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남로당 김삼룡과 이주하가 벌인 정부 전복 기도 사건
  • 김삼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반란자.
  • 김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6호 통영오광대 기예능 보유자.
  • 김삼성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통영오광대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삼월(金三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던 인물.  1686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항(李沆)이 재직할 때에 강원도 고성(固城) 사공(沙工) 김삼월(金三月)‧경상도 영해(寧海) 사공(沙工) 김원남(金元男)‧강원도 평해(平海) 사공 김계비(金計非) 등이 각각 격군(格軍)을 ...
    유형분류인물
  • 김삼월금(金三月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36년 8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오명서(吳命瑞)가 재직할 때에 전라도 순천(順天)에 사는 김삼월금(金三月金) 등 14명이 진상품인 전복(全鰒)을 캐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사쓰마국(薩摩國)에...
    유형분류인물
  • 김삼이(金三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통영(統營)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기선(騎船) 소속의 정수(碇手)...
    유형분류인물
  • 김삼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대신.
  • 김삼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관리.
  • 김삼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 김삼현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북청사자놀음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삿갓북한방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상만(李相萬) 연출의 KBS라디오 연속극.
  • 김삿갓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시인 김병연(金炳淵)에 관한 설화.
  • 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36(성덕왕 35). 신라 중대의 왕족.
  • 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28(태조 11). 고려 전기의 충신.
  • 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9(공양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6(선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우고(友古)| 사은(士隱)
  • 김상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진주성을 결사적으로 지키는 의병장 김천일의 아들이다. 성이 함락되자 부자가 함께 싸우다가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68(문무왕 8). 신라 중대의 무장.
  • 김상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담(士聃)
  • 김상구(金尙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사담(士聃). 1734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에 들어간 후, 사간원‧홍문관의 청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1752년 존숭도감(尊崇都監)에 참여한 공으로 특별히 통정대부에 가자되었고 이어 승지로 발탁되었다. 양천현...
    유형분류인물
  • 김상구(金尙龜)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별파진 겸 군관(別破陣兼軍官)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상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인목대비전의 상궁이다. 광해군의 명으로 영창대군을 궁에서내보낼 때, 영창대군을 등에 업고 서문 앞까지 가는 역할을 맡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권람 집안과 남이 집안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며 소식을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순빈 봉씨의 나인. 사칙 양씨의 임신 소식을 들은 순빈봉씨가 양씨의 아이를 없애려 하는 일을 돕는다. 엿기름이 든 약을 사칙 양씨의 감기약과몰래 바꾸라고 나정용에게 시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휘빈 김씨의 나인. 휘빈 김씨를 찾지 않는 문종을 보며걱정한다. 하루는 박춘례에게 원앙새 가루를 문종의 음식에 넣으라고 시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광해군의 총첩으로, 김자점에게 이씨를 소개받은 후 이씨와 모녀의 정을 맺는다. 이씨가 뇌물로 받들자 광해군의 일거수일투족을 말해준다. 이귀와김자점이 반정에 개입했다는 상소가 올라오나 터무니없는 모함이라며 두둔한다. 이씨의 꾀와 뇌물에 혹해 어부지리로 능양군의 반정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금선공주를 모시는 상궁으로, 조무에게 금선공주를 제대로 모시지 못하고 집안을 어수선하게 한 죄로 혼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2(숙종 8)∼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창(士昌)
  • 김상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31(현종 22)∼? 고려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문정(文貞)
  • 김상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77. 역사학자.
    이칭별칭 동빈(東濱)
  • 김상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 독립운동가‧정치인.
    이칭별칭영주|상철|재두
  • 김상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2(철종 3)∼1924. 조선 말기의 문신‧의병.
    이칭별칭 정사(正斯)
  • 김상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86. 정치가.
  • 김상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일(景一)| 하계(霞溪), 만하(晩霞)| 익헌(翼獻)
  • 김상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2(영조 8)∼1806(순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이흡(而洽)| 송와(松窩)
  • 김상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온 귀족.
  • 김상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0∼1994. 언론인.
  • 김상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6(영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우(伯愚)
  • 김상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인조 때의 관상감관(觀象監官).
  • 김상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2(효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정(仲靜)
  • 김상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4(숙종 40)∼1782(정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수(仲受)| 직하(稷下), 자연(自然)| 문헌(文憲)
  • 김상복(金尙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좌병영(左兵營)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나각수(螺角手)로서 노성득(盧性得)과 함께...
    유형분류인물
  • 김상봉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줄타기
    대분류곡예‧묘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상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본명은 김시광(金時光)으로, 김진옥의 아버지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영효의 수양아버지이다. 아내와 함께 장봉동(藏鳳洞)에서 살던 중 어느 날 유모와 세 명의 여종들을 데리고 나타나 잠시 의지하기를 청하는 영효를 보고 아리따움과 현숙한 태도에 깜짝 놀란다. 이후 현초당(玄草堂)에서 생활하는 영효의 예의범절에 못내 감탄하여 양녀로 삼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 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영효의 수양어머니이다. 김상서와 함께 장봉동(藏鳳洞)에서 살던 중 어느 날 유모와 세 명의 여종들을 데리고 나타나 잠시 의지하기를 청하는 영효를 보고 아리따움과 현숙한 태도에 깜짝 놀란다. 이후 현초당(玄草堂)에서 생활하는영효의 예의범절에 못내 감탄하여 양녀로 삼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서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승상의 딸 소애에게 구혼하였다가 이승상의 생일에 초대받는다. 아들과 함께 호사스럽게 치장을 하고 가서 소애를 만나보고 인물됨을 칭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0(숙종 16)∼1765(영조 4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군필(君弼)| 시은(市隱)| 정간(貞簡)
  • 김상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3(숙종 29)∼1755(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정(士精)| 도계(陶溪), 손곡(損谷)| 문헌(文憲)
  • 김상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7(숙종 43)∼1792(정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윤(季潤)| 배와(?窩), 초루(草樓)
  • 김상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7(고종24)∼1948. 조선 말기의 의병장.
  • 김상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4(경종 4)∼1815(순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순자(舜咨)| 위암(韋庵)| 문간(文簡)
  • 김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9(숙종 15)∼1774(영조 50).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여화(汝和)| 기기재(棄棄齋), 묵계(默溪)
  • 김상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개풍군 출신의 극작가‧연출가‧극단대표‧방송작가(1941.8.8~1998.10.26).
  • 김상영(金常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토관(土官). 진주(晉州) 출신.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 ∙ 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에 건너갔을 때, 정사의 지인(知印)으로서 이인복(李仁馥) ∙ 황익중(黃翼中) ...
    유형분류인물
  • 김상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3(숙종 9)∼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언장(彦章)| 소와(疏窩)
  • 김상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0(고종 27)∼1923. 독립운동가.
    이칭별칭 한지(韓志)
  • 김상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1∼1969.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상옥(尙玉)|상옥(相沃)
  • 김상옥(金相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자는 온숙(溫叔), 호는 석재(石齋). 본관은 해풍(海豊). 경오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내금장(內禁將)을 지냈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
    유형분류인물
  • 김상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1(명종 16)∼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경택(景擇)| 선원(仙源), 풍계(楓溪), 계옹(溪翁)| 문충(文忠)
  • 김상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1951. 시인‧영문학자.
    이칭별칭 월파(月坡)
  • 김상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임 대신으로, 종사를 받들고 강화로 들어간다. 강화로 적이 공격해 들어와 사방을 포위하자 하인에게 옷을 주어 허장을 하게하고 남문으로 가서 다른 사람을 다 물리고 화약궤에 불을 붙여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용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양주별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상용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김상용의 유택.
    연계항목김상용선생묘(金尙容先生墓)
  • 김상용(金尙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상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상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5(현종 6)∼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조경(調卿)
  • 김상원(金尙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좌수영(左水營)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소속 태평수(太平手)로서 손봉원(孫奉元)과 함께...
    유형분류인물
  • 김상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별호는 당상위로 유현애와 설최의 사주를 받은 자객이다. 누명을 쓰고 유배를 떠나는 유현명[이경문]을 따라가 죽이려 한다. 군산역에서 머무는 현명을 찌르려다가창두에게 잡힌다. 유태수에게 현애의 사주를 받았음을 실토한다. 현명의 배려로 목숨을 구하고 태수의 명을 받아 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상윤(金尙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인물. 1711년 12월에 왜선(倭船) 2척이 출래(出來)하였을 때, 별차(別差)로서 훈도(訓導) 정만익(鄭晩益)과 함께 문정(問情)하였다. 이들은 통신사 일행의 일본 내 근황과 일정을 알리고, 장계(狀啓)와 쓰시마도주의 서계(書契) 등을 전달...
    유형분류인물
  • 김상이(金尙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712년 7월 전라도 순천(順天)에 사는 김상이(金尙伊) 등 8명이 고기를 잡으러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해안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우...
    유형분류인물
  • 김상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9(숙종 25)∼1771(영조 47).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필(士弼)
  • 김상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우(仲祐)
  • 김상익(金相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우(仲祐), 호는 현암(弦庵). 필담창화집 『양동투어(兩東鬪語)』에는 자가 중우(仲佑)로 되어 있다. 문음(門蔭)으로 관계에 진출하여 도사(都事)를 지냈다. 1759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왕실과 ...
    유형분류인물
  • 김상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6(영조 32)∼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자산(子山)| 일엄(一?), 농수(聾?)
  • 김상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8(숙종 34)∼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사순(士順)
  • 김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3(현종 4)∼1714(숙종 40).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시중(時仲)| 영은(瀛隱)|송정거사(松亭居士)
  • 김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5(고종 12)∼1954. 조선 말기의 학자.
    이칭별칭 덕삼(德三)| 곡천(谷川)
  • 김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된 관리.
  • 김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2(경종 2)∼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치오(穉五)| 석당(石堂)
  • 김상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 김상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1(명종 16)∼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수(汝秀)| 휴암(休菴)
  • 김상준(金尙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상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 김상중(金尙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73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창녕(昌寧)현감‧평산(平山)부사‧지평이 되었다. 이듬해 정언이 되고 수찬‧교리를 거쳤다. 1745년 사간과 집의를 역임하였다. 1749년 승지가 되었으며 이어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유형분류인물
  • 김상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1(현종 2)∼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시(汝時)
  • 김상직(金尙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상직(金相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상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6(영조 12)∼1811(순조 11). 조선 후기의 학자.
    이칭별칭 사달(士達)| 탁계(濯溪)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