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김성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통신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뒤 황윤길의 말을 헛말이라 하고, 조선은 안전할 것이라고 아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통신사가 되어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명나라를 치고자하니 길을 내어 달라는 풍신수길의 편지를 받아 조정에 전한다. 황윤길이 길을 내어 주는것에 반대하자, 풍신수길은 염려할 인물이 못 된다며 동인의 입장에서 서인인 황윤길에반발하며 길을 빌려주는 데 찬성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일본의 평수길이 중국과 통할 수 있도록 조선이 길을97) 원본에서 처음에는 석담으로, 뒤에는 석탐, 혹은 성담으로 되어 있다. 내달라는 편지를 보내자 조정을 대신하여, 통신사로 일본에 간다. 일본의 태도가 매우 수상함에도 불구하고 조정으로 돌아가 전쟁의 기미를 볼 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부제학이다. 통신사가 되어 일본으로 갔을 때 풍신수길을 보고 조선으로 돌아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할 의도가 없다’고 말해 황윤길과 대립하나 이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일(金誠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 학자. 안동 출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사순(士純), 호는 학봉(鶴峯). 이황(李滉)의 문인.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고, 그 뒤 정자 ∙ 검열 등을 역임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通信副使)...
    유형분류인물
  • 김성일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2년(선조 25) 김성일을 경상우도병마절도사로 임명하고 밀부(密符) 제26부를 내린 유서.
  • 김성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3(인조 2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중혜(仲惠)| 일한재(一寒齋)
  • 김성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6(철종 7)∼1915.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이칭별칭 명옥(鳴玉)| 어야옹(於野翁)
  • 김성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6∼1996. 대금의 명인.
  • 김성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5∼1991. 의학자‧정치인.
    이칭별칭 백수(白首), 포정(圃庭)
  • 김성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종옥의 작은아버지이다. 경기도 양주 땅에 살며 종옥을 자식처럼사랑하여 글을 가르쳐 준다. 원주 부사로 부임하게 되자 종옥을 데리고 부임지로 가 선정을 베풀던 중, 형으로부터 종옥을 혼인시키려 하니 서울로 올려 보내라는 편지가 오자 종옥을 불러 이 사실을 이야기하고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진(金聖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선원(船員). 부산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부사 이인배(李仁培)‧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을 때, 삼방(三房) 복선(卜船) 소속의 무상(舞上)으로서 ...
    유형분류인물
  • 김성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화조명기사ㆍ영화제작가.
  • 김성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1(고종 18)∼1911. 조선 말기의 의병.
    이칭별칭두현(斗鉉)
  • 김성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1951. 역사학자.
    이칭별칭 제산(霽山)
  • 김성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진백(振伯)| 제산(霽山)
  • 김성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주별산대놀이」의 명연희자.
  • 김성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5년∼1991년. 심리학자.
    이칭별칭 송우(松友)
  • 김성태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양주별산대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성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7∼1950. 독립운동가.
  • 김성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성황후의 휘하의 군사이다. 임오군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껴 상궁 복장으로 변복한 민왕후[명성황후]를 보호하며 달아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성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5(선조 28)∼1676(숙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대숙(大叔)| 수우(守愚)
  • 김성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0(고종 7)∼1938. 천주교 신부.
    이칭별칭알렉시오
  • 김성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5(고종 22)∼?. 독립운동가.
  • 김성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1(고종 28)∼? 독립운동가.
    이칭별칭성호(成浩)
  • 김성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9∼1979. 금융인.
  • 김성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3(숙종 9)∼1755(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영서(永瑞)| 영촌(嶺村)
  • 김성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5(중종 30)∼1629(인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입부(立夫)
  • 김세경(金世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전악(典樂)으로서 부사 임수간이 타고간 제이선(第二船...
    유형분류인물
  • 김세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2(순조 12)∼1879(고종 16).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공익(公翼)| 만재(晩齋)| 문정(文貞)
  • 김세균판서고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북노리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연계항목김세균판서고가(金世均判書古家)
  • 김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2(철종 3)∼1908. 조선 말기의 문신.
    이칭별칭 대유(大有)
  • 김세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공신.
  • 김세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3(선조 26)∼1646(인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도원(道源)| 동명(東溟)| 문강(文康)
  • 김세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란 때의 대사간이다. 김상헌의 일이 국가 존망에 관계된 일이 아님에도 논란이 커지니 논란을 진정시킬 수 없어 그 책임을 지고 자신을 파면시켜 줄것을 청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세렴(金世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도원(道源), 호는 동명(東溟). 1572년 22세에 생원과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16년 증광 문과에서 장원 급제하였다. 예조좌랑 ∙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다. 폐모론을 주장하는 자들을 탄핵하다가 유...
    유형분류인물
  • 김세렴(金世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세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화가.
    이칭별칭 위빈(渭濱), 위천(渭川)
  • 김세만(金世萬)[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별파진(別破陣)으로서 윤희철(尹希哲)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김세만(金世萬)[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악공(樂工).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제술관 신유한(申維翰)의 악공으로 수행하였다. 같은 해 9...
    유형분류인물
  • 김세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1(태종 1)∼1486(성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백공(伯恭)| 양평(良平)
  • 김세발(金世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장인(匠人) 겸 무관. 삼천포(三千浦)의 장교(將校). 사행에 앞서 배 만드는 일을 감독하였다. 1748년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가 연로하여 그의 아들 이에시게(家重)에게 전위(傳位)하고 통신사를 요청하므로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
    유형분류인물
  • 김세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7∼1975. 건축가.
  • 김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66. 독립운동가.
  • 김세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공근(公瑾)
  • 김세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6(성종 17)∼1522(중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불민(不敏)
  • 김세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34(인조 12)∼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성우(聖佑)
  • 김세일(金世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백붕(百朋), 호는 죽창(竹窻). 1693년 20세 때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합격하였고, 왜학(倭學)을 전공하여 교회(敎誨)와 첨정(僉正)을 지냈다. 1719년 정사 홍치중(洪致中) ∙ 부...
    유형분류인물
  • 김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무신.
  • 김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0(광해군 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중(子重)
  • 김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활약한 판소리 명창 중의 한 사람.
  • 김세종(金世宗)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세종(金世宗)은 전북 순창(현재 전북 순창군)에서 태어나 19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이른바 전기 8명창에 속하는 인물이며, 정확한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세준(金世俊)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34년 10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최명상(崔命相)이 재직하고 있을 때에 전라도 강진(康津)에 사는 김세준(金世俊) 등 14명이 장사를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에 이르렀다. 당시...
    유형분류인물
  • 김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8∼1986. 조각가.
  • 김세중(金世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일본으로 표류하였다가 송환된 인물. 1753년 5월 경상도 진해(鎭海)에 사는 김세중(金世中) 등 6명이 무역을 위해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일본 이와미국(石見國)에 이르렀다. 당시 도쿠가와 막부에서는 조선인 표민이 일본 영토에 들어오면 우선...
    유형분류인물
  • 김세진(金世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무관. 종9품 초관(哨官)을 지냈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노부(德川家宣)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정사군관(正使軍官)으로서 ...
    유형분류인물
  • 김세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32(고종 19). 고려 후기의 관인.
  • 김세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4(고종 11)∼1920. 독립운동가.
    이칭별칭봉수(鳳洙)
  • 김세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3(성종 4)∼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이칭별칭 공석(公碩)| 십청헌(十淸軒), 지비옹(知非翁)| 문간(文簡)
  • 김세필(金世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세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건보(健甫)
  • 김세행(金世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세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곡가.
  • 김세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06(순조 6)∼1884(고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치현(稚賢)| 수재(修齋)
  • 김세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9(고종 26)∼1945. 독립운동가.
  • 김세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9(인조 27)∼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천약(天若)| 칠탄(七灘)
  • 김세흥(金世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토관(土官). 밀양(密陽) 출신.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 ∙ 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쓰시마에 건너갔을 때, 부사의 지인(知印)으로서 최인주(崔仁周) ∙ 손계득(孫啓得) ...
    유형분류인물
  • 김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42(세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별칭 원지(原之)
  • 김소(金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초의 문신. 1424년 11월 7일 제주도에 왜선(倭船)이 침입해오자 제주 도안무사(都按撫使) 김소(金素)가 왜구들을 쫓아내고 그들의 배를 포획하였다. 그 공을 인정받아 세종에게서 술과 옷 한 벌을 하사받았다. 이듬해 3월 23일 한성부윤(漢城府尹)에 임명되었...
    유형분류인물
  • 김소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신극 초창기 신파배우.
  • 김소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01(효소왕 10).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된 관리.
  • 김소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라의 태자이자 소성왕의 아들이다. 선인 왕자진의 환생으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퉁소를 능숙하게 다룬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누워있을 때, 한 도인이보타산 자죽순이 치료약이라고 말하고 사라지자 보타산으로 간다. 그 도인에게 자죽순을구해 돌아가려 하나 뒤쫓아 온 왕세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 ? 시인‧소설가.
  • 김소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7∼1981. 시인‧수필가‧번역문학가.
    이칭별칭 소운(巢雲), 삼오당(三誤堂)
  • 김소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2∼1934. 시인.
    이칭별칭 소월(素月)|김정식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곽랑(郭郞)의 부인이다. 경상도 고령(高靈) 개야실[佳谷]이라는 마을에 사는데, 자신의 배필인 곽랑이 초행을 오다가 실수로 사람을 죽이고 옥에 갇혔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 부모에게 는 ‘팔도강산을 구경하며 세월을 보내겠다.’며 집을 나와서는 곽랑이 갇혀 있는 성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승상의 딸이다. 초당에 들어온 반필석을 보고 몹시 놀라나, 필석의 방서를 보고 천정연분임을 알고 운우의 정[운우지정]을 맺는다. 자신은 이미 이승상의아들과 정혼하였으며, 시관인 부친이 그를 부정으로 장원시키기 위해 미리 시제를 출제하였다고 말하고 필석에게 도 시제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영환의 손녀이자 김전의 딸이며, 정소저의 내종사촌이다. 정소저가 함께 구경하기를 청하자 부모 생각이 간절하다며 거절한다. 정소저가 재차 초대하자 완루에 올라 함께 봄날 풍경을 구경한다. 정소저의 칭찬을 듣고 냉담하게 그경박함을 꾸짖는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어린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공필의 딸. 정수경과 혼인하나 초야에 살해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저의 하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소저의 명으로 탈옥한 곽랑(郭郞)을 절로 피신시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신극사상 최초의 여배우.
  • 김소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판소리명창.
    이칭별칭 만정(晩汀)|김순옥(金順玉)
  • 김소희(金素姬)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김소희(金素姬, 1917-1995)는 전북 고창군 흥덕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여성 명창이다. 본명은 김순옥(金順玉)이며, 호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김속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6(우왕 12). 고려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충간(忠簡)
  • 김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9∼1988. 희곡작가‧소설가.
    이칭별칭 범산(凡山)|김현송
  • 김송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환관으로, 인종의 명을 받아 부마인 윤인경을 데려오기 위해최연애의 은신처로 간다. 그러나 인경이 일부러 연애를 열렬히 사랑하는 모습을 보이며 궁궐로 가기를 거부하자, 인종에게 돌아와 이 사실을 보고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1(원종 12). 고려 후기의 문신.
  • 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몰년 미상.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칭별칭 송정(松亭)
  • 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38(충숙왕 복위 7)∼1409(태종 9).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이칭별칭 정호(靖胡)|월성군(月城君)
  • 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7(중종 32)∼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앙(子昻)| 몽촌(夢村)| 소의(昭懿)
페이지 / 24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