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문 / 里門 [사회/촌락]

    조선시대 도둑을 단속할 목적으로 전국의 마을 입구에 세운 문. 1464년(세조 10) 한성의 각 마을에 설치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주로 야간 통행자를 검문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222번지, 중구 남대문로 2가에서 조선호텔로 들어가는 입구, 중구 태평로 2

  • 이문대사 / 吏文大師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의 지방관청에서 주고받은 이두문서에 나타나는 한자어구와 이두를 모으고, 이두에는 한글로 독법을 표기해 놓은 책. 책의 내용은 제목에 따라 분류된 것은 아니나,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① 문서의 허두와 결말부분을 보인 것, ② 문서의 본문부분에 나타나는

  • 이문원 / 摛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역대임금의 어진·선적·어필·어제·교명·전장문적 등을 보관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창덕궁 내에 설치되어 이 외에도 금보·옥인·옥책·죽책 등도 관리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창덕궁의 금호문 안 북원에 새로이 건물을 짓고 설치한 규장각에서 이를 관할하게 하였는데

  • 이문원 / 李文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0∼1794). 1771년 정시문과 병과급제 후 삼사와 승정원의 청요직을 역임하고 부사직·형조판서 등에 이르렀다. 1792년 이조판서 재직 중 채제공을 심히 논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향리로 쫓겨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

  • 이문잡례 / 吏文雜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각종 서식(書式)의 이두문(吏讀文)을 모아 간행한 이두학습서. 보장식(報狀式)·소지식(所志式)·상언식(上言式)·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결송입안식(決訟立案式)·매득사출식(買得斜出式)·이관하체식(移關下帖式) 등 7종의 서식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이상국거관훈범(

  • 이문집람 / 吏文輯覽 [언어/언어/문자]

    『이문(吏文)』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 『이문집람』 권2∼4와 『이문속집집람』 1권으로 된 4권 1책. 『이문』은 명나라와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모아놓은 책으로 최세진(崔世珍)이 이문의 학습참고서로서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1539년(중종 34)에 편찬하였다

  • 이문형시장 / 李文聲諡狀 [정치·법제]

    조선 전기의 문신 이문형(李文馨)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00년대 말 고종 대에 허전(許傳)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에는 작성인과 작성 시기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성재 허전의 문집인《성재집》에 실려 있어 작성연대와 작성인을 파악할 수 있다.

  • 이문회 / 李文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1828).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 장원 급제 후 대사간·승지·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승지로서 순조를 시종하면서 중요 문헌 등을 소상이 연구하고 왕도를 위해 직간 했다. 또 벽파를 축출하고 시파의 세력 확장에 동참하였다.

  • 이문흥 / 李文興 [종교·철학/유학]

    1423(세종 5)∼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극명, 할아버지는 인봉, 아버지는 국이다. 1462년(세조 8) 진사에 합격, 1469년(예종 1) 교수로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493년 성균관유생 박광영 등이 유생의 스승으로 가장 존경할 만한

  • 이물교구설화 / 異物交媾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이 사람 아닌 동물이나 식물과 교구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술어는 최상수(崔常壽)가 한국 전설을 분류하면서 전설분류항으로 설정한 것인데, 이물의 성격에 따라 동물교구설화와 식물교구설화로 나눌 수 있고, 이물이 남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와 여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