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덕형 / 李德馨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수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진경, 아버지는 민성, 어머니는 유예선의 딸이다. 영의정 이산해의 사위이다. 1580년(선조 13)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의 관원이 되었으며, 부수찬, 부교리, 이조좌

  • 이덕홍 / 李德弘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596(선조 29).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현우, 아버지는 충량, 어머니는 박승장의 딸이다. 10여 세에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모든 학문에 뛰어났으나 특히 역학에 밝았다. 종묘서직장, 세자익위사부수, 영춘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 이도구 / 二道溝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현에 위치한 항일투쟁지. 이도구(二道溝)는 1910∼2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하는 이도구사건(二道溝事件)이 발생한 지역이다. 또한 한국 독립운동사의 금자탑과 같은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이 전개된 역사

  • 이도백하 / 二道白河 [지리/자연지리]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흐르는 하천. 이도백하가 흐르는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은 백두산 관광의 출발지이자 경유지로서 관광기지 역할을 한다. 안도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백두산 북파 방면 해발 500m 지점에 자리 잡은 작은 도시이다. 2010년 이

  • 이도순 / 李道純 [종교·철학/유학]

    1585년(선조 18)∼1625년(인조 3). 증조부는 이유온, 조부는 이엄이다. 부는 이숭경이다. 한강 정구의 문인으로, 문장과 필법이 뛰어났으며, 인품이 고상하여 곽재우의 추중을 받았다. 문집으로『모재집』이 전한다.

  • 이도익 / 李道翼 [종교·철학/유학]

    1692년(숙종 18)∼1762년(영조 38). 부는 이식이다. 음보로 삼가현감을 거쳐, 관직이 주부에 이르렀다. 문명이 높았으며,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문집으로《희구재유고》가 전한다.

  • 이도자 / 李道孜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경, 어머니는 하함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에 임진왜란시 노모를 안전하게 보호한 뒤 이듬해 김면의 진중에 나가서 위장으로 활약하였다. 1600년 고령향시에 스승의 권유로 나가 장원

  • 이도재 / 李道宰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외부대신(1848∼1909). 전라도관찰사 때 동학농민지도자 전봉준을 생포하였다. 학부대신 때 단발령 강행에 반대하였다. 최초 서양의학교육기관인 한성의학교 설치를 인가하였다. 공으로 태극장을 받았으나 이완용의 모함으로 나문정죄 되었다.

  • 이돈우 / 李敦宇 [종교·철학/유학]

    1801년(순조 1)∼1884년(고종 21). 조선 말기의 문신. 상두 아들, 어머니는 김사선의 딸이다. 1827년(순조 27)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제학, 이조참의,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형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저서

  • 이돈화 / 李敦化 [종교·철학/천도교]

    항일기의 천도교인·사상가(1884-?). 호는 야뢰(夜雷)·백두산인(白頭山人)·저암(猪岩)·두암(豆菴). 동학 입도 후 천도교월보사에 근무, 천도교청년회를 조직했다. <개벽>창간 후 주간으로서 폐간 때까지 천도교교리를 통한 민족자주사상 고취에 힘썼다. 6·25 때 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