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목연 / 李穆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5∼1854). 현유 증손, 할아버지는 창중, 아버지는 의상, 어머니는 유건의 딸이다. 1821년(순조 21) 정시 문과 병과급제 후 지평·이조참판·한성판윤 등을 지내고 1843년 동지 겸 사은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대사헌·호조판서

  • 이목온천 / 梨木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 신천군 이목리에 있는 온천. 온천은 1750년 경에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본래 ‘옻온수’라고 불렀는데, 벽성군 이목리가 1959년에 신천군에 편입되면서 소재지 지명을 따라 이목온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목리는 조선시대부터 알려진 마을로 ‘배나무 마을

  • 이몽규 / 李夢奎 [종교·철학/유학]

    1510년(중종 5)∼1563년(명종 18). 조선 전기의 사인. 조부는 이성무, 부친은 이인신, 모친은 반반희의 딸이다. 이단을 배척하여 평소 풍수지리사상과 불교 및 무당을 강하게 비판하였다고 한다. 1563년(명종 18) 병을 얻어 그 해 6월 54세의 나이로 사망

  • 이몽욱 / 李夢旭 [종교·철학/유학]

    1681년(숙종 7)∼1705년(숙종 31).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경, 조부는 이제한, 부친 이정과 모친 유명삼의 딸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이몽엽과 동생 이몽려가 있다. 부인은 학사 홍돈일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식년시 진사 1

  • 이몽학 / 李夢鶴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 조선 중기의 반란자. 왕족의 서얼 출신이다. 아버지에게 쫓겨나서 충청도·전라도 사이를 전전하였다. 반란을 일으켜 목사 홍가신, 무장 박명현·임득의 등의 훌룡한 방어와 반란군 가운데 이탈하여 관군과 내응하는 자가 속출, 반란군의 전세가 불리하게

  • 이무 / 李堥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기 현손, 아버지는 형윤, 어머니는 최행의 딸이다. 이식의 문인이다. 1653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공조참의, 우부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이무 / 李袤 [종교·철학/유학]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지번 증손, 할아버지는 이산해, 아버지는 경전이다. 어머니는 김첨의 딸이다. 1629년(인조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발을 디딘 뒤, 사헌부지평, 해미현감, 서천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 이무실천자문 / 李茂實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735년에 이무실(李茂實)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한 천자문. 표제는 ‘천자문언석(千字文諺釋)’이다. 지질은 두터운 고정지로, 간혹 굵게 섞인 지푸라기가 보인다.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아 찢기거나 닳은 곳이 전혀 없다. 나뭇결이 튼 부분이 많이 보이며, 마멸

  • 이문 / 吏文 [언어/언어/문자]

    중국과 주고받는 외교문서 및 우리 나라의 관청 공문서 등에 사용되던 독특한 한문(漢文)의 문체(文體). 우리 나라에서 이문이 문제된 것은 중국과의 외교문서에 이것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외교문서는 원래 순수한 한문으로 썼으나 이러한 이문으로도 썼는데, 한문만 통달하여서

  • 이문 / 移文 [정치·법제/법제·행정]

    동등한 아문에 보내는 문서. 또는 문서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다만『경국대전』에 의하면 2품 이상 아문 만이 상고할 일에 관하여 직접 이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2품 아문에 준하는 아문(승정원·사간원·예문관·성균관 등)도 직접 이문할 수 있었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