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동표 / 李東標 [정치·법제/법제·행정]

    1644(인조 22)∼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아버지는 운익(雲翼)이며, 어머니는 김기후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1677년 증광회시에 장원하였으나 파방되었다가 168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이동휘 / 李東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72∼1935). 구한국 무관학교 출신. 안창호와 함께 신민회, 서북학우회 등 활동. 군대해산령 후 육군참령으로서 의병을 도모하다 유배되었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 때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소련에서 원조 받은 독립자금을 고려공

  • 이두 / 吏讀 [언어/언어/문자]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종실록』에서는 ‘이두’라 불렀으며, 그

  • 이두진 / 李斗鎭 [종교·철학/유학]

    1608년(선조 41)∼미상. 조선 중기 무신. 증조는 이우인, 조부는 이상의, 부친은 이지굉이다. 동생은 이규진‧이익진이다. 1651년(효종 2)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4년(현종 5)에는 충청병사에 임명되었다.

  • 이두충렬록 / 李杜忠烈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책. 국문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주인공 이태원과 여자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주인공

  • 이두편람 / 吏讀便覽 [언어/언어/문자]

    편자 및 간행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이두 및 이문(吏文) 어휘를 모아놓은 책. 1829년(순조 29)이거나 그 이듬해에 관각문신(館閣文臣)에 의하여 운각(芸閣)에서 활판인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두표기법에 통일성을 기하라는 왕명에 의하여 이두어휘 300여와 『이문집

  • 이득신 / 李得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2). 홍문관수찬·승정원승지·수원부사·대사헌·희천군수·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지냈다. 대사간 재직 중 영의정 서명선의 탄핵으로 유배되었고, 형조판서 재직 중에는 병에 걸려 고생하는 전국의 죄수에게 약을 주어 치유시켰다.

  • 이득일 / 李得一 [종교·철학/유학]

    1726년(영조 2)∼1774년(영조 50).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태수, 조부는 이도익이다. 부친 이시서와 모친 심구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63년(영조 39)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지평·정언, 겸필선·부응교·교리·응교·집의를 지내고《증보문헌

  • 이득종 / 李得宗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76.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관수, 조부는 이도원. 부친은 이시복이다. 생부 이시정과 생모 홍구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46년(영조 22) 알성 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정언이 되었다. 1749년(영조 25) 수찬·지평·교리·부교리

  • 이득중 / 李得中 [종교·철학/유학]

    미상~1745년(영조 21). 조선 후기 고변인. 1745년(영조 21) 2월 조징의 역모와 연루되어 형추를 받았다. 이득중은 조징이 무술로 영조의 탕평정책을 지지하고 있던 대신인 좌의정 송인명‧우의정 조현명을 저주하려 하였기에 이를 고변하였다. 결국 2월 20일 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