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만정 / 李萬禎 [역사/조선시대사]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직향(直鄕), 호는 근재(謹齋), 본관은 진안(鎭安)이다. 무과에 합격하여,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곡성현감(谷城縣監)에 제수(除授)된 후, 고원(高原)과 하동(河東)에서 군수(郡守)를 지냈다. 1689년(숙종 15)

  • 이만좌 / 李晩佐 [종교·철학/유학]

    1886년(고종 23)∼1975년. 일제강점기 문신·처사. 이황의 11세손, 증조부는 이구시, 조부는 이질순, 부친은 이휘형이다. 외조부는 안대중, 배현수이다. 경릉참봉을 지내다가 1907년(융희 1)에 나라의 운명이 어려워짐을 보고 사직한 후 귀향하였다. 문집으로《

  • 이매창묘 / 李梅窓墓 [문학/한문학]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 있는 이매창의 묘. 이매창은 조선 중기의 기생이자 여류시인이다. 묘는 1983년 8월 24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매년 음력 4월 5일 부안의 율객(律客)모임인 부풍율회(扶風律會)에서 매창제(梅窓祭)를 지내고 있다

  • 이맹전 / 李孟專 [종교·철학/유학]

    1392(태조 1)∼1480(성종 11). 조선 제6대왕 단종을 위하여 절의를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 군상 증손, 할아버지는 희경, 아버지는 심지, 어머니는 여극승의 딸이다. 1427년(세종 9)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김숙자·김종직부자와 평생을 가까이 지

  • 이면구 / 李勉求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18). 해서암행어사, 부수찬, 의주부윤, 대사성 등을 지냈다. 1811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시문에 뛰어났고 글씨도 잘 썼는데, 특히 당나라의 백거이와 양나라의 도홍경의 필체를 잘 썼다.

  • 이면영 / 李冕榮 [종교·철학/유학]

    1832년(순조 32)∼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원길의 아들이다. 1861년(철종 12)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교리·검교 등을 거쳐 대사성·이조참의·승지를 지냈다. 1882년(고종 19)과 그 이듬해에 사간원대사간에 임명되어 임오군란 관련자들을 처벌하였다.

  • 이명 / 李溟 [종교·철학/유학]

    1570(선조 3)∼1648(인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효령대군의 7대손, 할아버지는 양, 아버지는 정빈, 어머니는 한백륜의 딸이다. 호조판서, 형조판서,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구촌유고』가 있다.

  • 이명 / 李蓂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온 증손, 할아버지는 신, 아버지는 보간, 어머니는 윤혼의 딸이다. 152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예문관검열을 거쳐 봉교로 승진하였다. 그후 좌찬성,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이명선 / 李明善 [역사/근대사]

    1893-1932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도 장연군(龍淵郡) 용연면(龍淵面)이다. 신민회(新民會)에서 만주독립기지건설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세울 때, 황해도 책임자였던 김구(金九) 선생으로부터 합류할 것을 지시 받고 1910년(융희 4) 친형 이명서

  • 이명수폭포 / 鯉明水瀑布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 포대리(지금의 양강도 삼지연시 이명수노동자구)에 있는 폭포. 높이 15m, 너비 27m. 5개의 폭포로 되어 있는데 지하수 폭포이다. 이 폭포는 삼포산(三浦山, 1,503m)에서 발원한 이명수가 흐르는 골짜기의 산중턱에 있는데 지하수의 흐름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