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만경 / 李晚景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1776년(영조 52). 조선 후기 효자·의병. 아버지가 중풍이 걸렸을 때, 수 년간 불평 없이 시중을 들었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형을 도와 반란군을 막는 데 공을 세웠고,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는 데 앞장섰다.1

  • 이만경본풀이 / 李萬頃─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성주이씨(星州李氏)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만경령(萬頃令)벼슬을 지낸 조상이므로 이만경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지낸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본풀이의 한가지가

  • 이만도 / 李晩燾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42∼1910). 강화도조약체결에 반대하는 최익현을 지지하다 삭탈되었다. 을미사변 후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을사늑약 때 을사오적 처형을 상소하였다. 경술국치 후 단식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이만부 / 李萬敷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관징, 아버지는 옥, 어머니는 이동규의 딸이다. 1729년(영조 5) 학행으로 장릉참봉과 빙고별제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저서로는『식산문집』 20책 외에 『역통』3권,『대상편람』1권,『사서

  • 이만손 / 李晩孫 [종교·철학/유학]

    1811년(순조 11)∼1891년(고종 28).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황의 후손이다. 1881년(고종 18)의 만인소의 소두였다. 전 참판 강진규·이만운, 전 승지 이만유 등 상주·안동 지방 유생들이 연서하여 1881년 2월 고종에게 올렸다. 이것이 <영남만인소>이다

  • 이만수 / 李晩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2∼1820). 홍경래의 난 때 평안도관찰사로서 치안관리를 제대로 못한 죄를 물어 파직, 경주에 유배되었다. 후에 빈객·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지냈다. 글씨에 능해 〈양성기적비〉·〈서명선사제비〉 등을 남겼다. 저서로는《극옹집》이 있다.

  • 이만운 / 李萬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3∼1797). 이경갑의 아들이다. 이덕무 등 실학자와 교유하였다. 1782년(정조 6)《문헌비고》의 개정에 참여, 1790년에《증보문헌비고》 초고를 완성하였다. 1796년 서유구 등과 함께 《문헌비고》 재보완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

  • 이만원 / 李萬元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이현 증손, 할아버지는 이성징, 아버지는 이형, 어머니는 최대년의 딸이다. 1678년(숙종 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대사간, 이조참의,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이만유 / 李萬維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심 증손, 할아버지는 관미, 아버지는 옥, 어머니는 이동규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울산부사, 사헌부집의, 홍문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 이만인 / 李晩寅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897년(광무 1). 조선 말기 학자. 이황의 후손, 부친 이휘교와 모친 조병주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제생들에게 강학, 1881년(고종 18) 영남만인소 상소문의 원본을 작성하였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