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수월정가 / 水月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가 미상의 가사. 수월정의 주인인 송인(宋寅)이 작가가 아닌가 추측되기도 하나 확인된 바 없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14, 문장부 7의 ‘가사(歌詞)’조에서 긴노래로 「감군은」·「한림별곡」·「어부가」가 가장 오래 되었고, 근세에는 「

  • 수월정청흥가 / 水月亭淸興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21수의 연시조로, 강전섭(姜銓爕) 소장본 『수월정청흥가첩 水月亭淸興歌帖』(晉山姜氏世譜草 附錄)과 강원기(姜遠起) 소장본 『청계망사공유사가사 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강복중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산림에만

  • 수월정청흥가첩 / 水月亭淸興歌帖 [문학/고전시가]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의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를 비롯한 28수의 시조를 수록한 가첩. 시조 28수를 기록한 부분은 크게 보아 강복중의 시조와 그에 화답한 시가로 구분된다. 강복중의 시조는 「수월정청흥가」 21수가 맨 앞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어서 각

  • 수위단회 / 首位團會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최고 의사결정기관. 원불교 교단통치의 핵심 조직체로서, 교단 최고 결의기관이다. 수위단회는 18인 이내의 원로단원 선거에 의하여 선발된 남녀 각 8인의 단원, 종법사가 특임하는 해외단원 및 단장 1인으로 조직하며 단장은 종법사가 맡는다. 수위단회가 처음 조직된

  • 수은묘 / 垂恩廟 [종교·철학/유학]

    1764년(영조 40)에 영건한 사도묘. 『수은묘영건청의궤』에 보면 정초는 1764년 3월 1일, 입주ㆍ상량은 4일에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수의 / 壽衣 [생활/의생활]

    사람이 죽어 염습(殮襲)할 때 시신에게 입히는 옷. 우리 나라의 염습제도는 3∼4세기에 도입된 중국의 유교사상에 의하여 ≪예기≫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지만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이후 14세기부터 주희의 ≪가례≫가 본격적인 조선시대의 예의 기준이 되었다.조선 성종 1년(1

  • 수의도위 / 守義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7품 토관계. 토관직에는 본도사람을 동반은 관찰사가, 서반은 절도사가 임명하였다. 토관계는 정5품부터 종9품까지이며, 토관계를 가진 사람이 경관직을 받을 때는 1품을 내려 받고, 토관계의 가계(加階)에 필요한 사수(근무일수)는 경관과 같았으나, 6품

  • 수이전 / 殊異傳 [문학/구비문학]

    통일신라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한문설화집. 각훈(覺訓)이 지은 『해동고승전』「아도전(阿道傳)」에는 박인량(朴寅亮)으로 밝혀져 있다. 박인량이 지었다는 「아도전」은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인 김용행(金用行)의 「아도본비(我道本碑)」와 비슷하여

  • 수인선 / 水仁線 [지리/인문지리]

    인천의 송도(松島)와 경기도 수원 사이에 부설되었던 협궤철도. 총 연장 52㎞(영업 구간 46.9㎞). 본래 경기만(京畿彎)의 소래(蘇來)·남동(南洞)·군자(君子) 등의 염전지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수송하기 위하여 1935년 9월 23일에 착공하였으며 1937년 8월

  • 수입 / 水入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양구 지역의 옛 지명. 신라시대에 경덕왕이 통구(通溝, 또는 通口)로 고쳐 기성군(岐城郡, 또는 金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수입이라는 지명은 이곳의 동파령(東坡嶺) 밑에서 솟아난 물이 남쪽으로 흐르다가 땅속으로 복류한 뒤 다시 솟아나 수입천을 이루는데, 이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