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죽서시집 / 竹西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시인 죽서 박씨의 시 「십세작」·「기정」·「우음」등을 수록하여 1851년에 간행한 시집.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51년(철종 2) 남편 서기보(徐箕輔)의 재종 돈보(惇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돈보의 서문과, 권말에 동시대의 여류시인이며 작자의

  • 죽소장 / 竹筲匠 [경제·산업]

    죽소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소는 국장에서 기장, 콩, 보리 등의 곡식을 담던 명기로 해죽을 엮어서 만들며 주척을 이용하였다. 입구의 원지름을 4촌 5푼, 허리의 원지름은 7촌 5푼, 높이는 8푼, 바닥의 원지름은 5촌 5푼이었으며 곡식을 3되 담을 수 있

  • 죽수서원 / 竹樹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서원. 1570년(선조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 해에 ‘죽수(竹樹)’라고 사액되었으며, 1630년(인조 8)에 양팽손(梁彭孫)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

  • 죽정서원 / 竹亭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서원. 1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성건(朴成乾)과 박권(朴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3년에 박권(朴權)과 박규정(朴奎精), 1726년에 이만성(李晩成)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

  • 죽지사 / 竹枝詞 [문학/한문학]

    악부시의 일종. 죽지란 원래 파유(巴歈)지역 일대에 유포된 민가(民歌)의 일종이었다. 이 죽지사는 작자의 순수 서정이 아니라 건평이란 특정 지역의 민가와 민풍을 근거로 지어졌다. 읊조리는 시가 아니라 가창(歌唱)을 전제한 노랫말로 지어졌다. 개별작품의 양식은 7언절구

  • 죽창한화 / 竹窓閑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풍속·제도·풍수·점복·인재 등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수록한 만록집. 이 책의 이름은 이본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 목록 및 『대동야승』(권70), 『설해(說海)』(제91책) 등에는 ‘죽창한화[竹窓閒(閑)話]’로 되어 있는

  • 죽책 / 竹冊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하고 존호를 올릴 때 그에 관한 글을 대쪽에 새겨 엮은 문서.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할 때에는 국왕의 교명과 함께 책인(冊印)을 내려준다. 죽책에 쓴 글을 죽책문이라 하는데, 왕세손을 책봉할 때에도 왕세자의 경우와 같이 죽책이 만들어

  • 죽책봉과식 / 竹冊封裹式 [정치·법제]

    죽책을 보자기에 싸서 궤에 넣은 후 봉하는 법식. 죽책은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할 때에 내리는 교명문을 대나무에 새겨 책 모양으로 만든것이다. 죽책은 제작 후 갑, 내궤, 외궤에 넣어 봉하는 의식이다.

  • 죽천조천록 / 竹泉朝天錄 [문학/고전시가]

    1624년 6월부터 1625년 10월까지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한문 사행록.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仁祖)의 고명(誥命)과 면복(冕服)을 명나라로부터 받아내기 위한 죽천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세 종류의 글들 가운데 『죽천조천록』은 특이한 자

  • 죽헌문집 / 竹軒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학자 하성의 시·제문·만사·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9대손 진원(振源)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도헌(柳道獻)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9수, 서(書) 2편, 서(序)·발(跋)·상량문·잡저 각 1편, 제문 9편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