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주해천자문 / 註解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752년(영조 28)에 개원사(開元寺)에서 홍성원(洪聖源)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된 천자문. 홍성원(洪聖源)은 기존의『천자문』으로는 한문의 뜻풀이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잘못된 것들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매 한자가 갖는 다수의 뜻풀이를 기존

  • 죽간자 / 竹竿子 [예술·체육/무용]

    당악정재(唐樂呈才)가 진행되는 동안 춤이 출퇴장할 때 선두에 서서 인도하는 구실을 하는 의물(儀物)의 하나. 죽간자는 향악정재(鄕樂呈才)에는 없고 당악정재에만 있다.이것이 외견상으로 나타나는 당악정재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죽간자를 든 사람이 당악정재의 「헌선도 獻仙

  • 죽력고 / 竹瀝膏 [생활/식생활]

    푸른 대나무를 구워 대의 진액을 뽑아 만드는 술. 증류주법에 의한 술이다. 담죽·고죽을 한자 남짓하게 잘라 시루 위에 올려놓고 중간을 지지면 대 속에서 수분이 나와 그 물이 양쪽으로 흐르게 된다.이 물이 바로 죽력인데, 이것은 대나무의 진액이므로 약간 끈끈하다.『동국세

  • 죽로문집 / 竹老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신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1년(순조 1) 4대손 방달(邦達) 등이 수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죽로문집』의 권두에는 조술도(趙述道)와 한치응(韓致應)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주원(李周遠)과 이

  • 죽루부 / 竹樓賦 [문학/한문학]

    1607년(선조 40)허균(許筠)이 지은 부(賦). 작자의 문집인 『성소부부고』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삼척부사로 나갔을 때 지은 것으로, 늦은 봄 삼척에 있는 죽서루에 올라 그곳의 경관과 이를 보고 느낀 감흥을 읊었다. 서두에 두타산(頭陀山)의 수많은 봉우리가

  • 죽사장 / 竹笥匠 [경제·산업]

    대오리체를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죽사장은 대오리상자를 만드는 장인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대오리체를 만드는 죽사장을 지칭한다. 국장을 비롯한 가례, 책례, 예장, 상례 등에서 소로장을 비롯한 각종 장인들이 다소 입자가 굵은 재료나, 그 가루를 물에 갠 것

  • 죽산마 / 竹散馬 [정치·법제/법제·행정]

    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에 쓰던 장의기구. 두꺼운 널빤지로 정자 모양으로 길게 틀을 만든 다음, 굵은 대로 말의 몸체를 만들어 종이로 발라 잿빛 칠을 하고, 말총으로 갈기와 꼬리를 만들고 두 눈알을 만들어 박아 말의 모양을 완성한다. 완성된 말 모양을 두 바퀴가 달린 수

  • 죽산박씨오충전 / 竹山朴氏五忠傳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편자미상, 목활자본, 1899년(광무 3), 불분권 1책(32장). 표제와 판심제는 오충전(五忠傳)으로 되어 있다. 죽산박씨의 선조들인 고려시대 박문수(朴門壽)부터 신룡(信龍), 계성(繼成), 성룡(成龍), 명룡(命龍)까지의 5인의 전(

  • 죽산향교 / 竹山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향교. 1533년(중종 2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밖에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1972년에 원장(垣墻)을 신축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

  • 죽서박씨 / 竹西朴氏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죽서시집』을 저술한 시인. 박종언(朴宗彦)의 서녀이며, 서기보(徐箕輔)의 소실이다. 대략 1817년(순조 17)∼1851년(철종 2)에 생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로부터 글을 배워 어려서부터 경사(經史)와 고시문(古詩文)을 탐독하였고, 소식(蘇軾)·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