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제충전교 / 除蟲傳敎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4월 25일. 정조가 승정원에 묘목을 손상시키는 벌레를 제거하라고 명령한 전교. 원침의 뽕나무와 가래나무에 충해가 있는데, 이들을 돈으로 사들이라는 것과 잡아서 바다에 던져버리라는 내용의 전교이다. 이문서는《정조실록》과《홍재전서》,《승정원일기》에

  • 제포 / 薺浦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왜인의 무역 및 거주를 허용하였던 삼포 중 하나. 부산포와 함께 1424(세종 6)에 개항장이 되었다. 선초에는 왜인에게 회유정책을 써서 관대하게 대우하였으나 1424년에는 부산포·내이포를 8년에는 염포를 개항장으로 삼고 왜선의 왕래와 무역을 삼포로 제한하였

  • 제학 / 提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문관·집현전·홍문관·규장각 등의 종2품 관직. 다만 규장각에서는 종1품관이나 정1품관도 임명될 수 있었는데 정1품관이 임명될 경우에는 대제학이라 하였다. 정원은 집현전·규장각에는 각 2인, 예문관·홍문관에는 각 1인이었다.

  • 제호시화 / 霽湖詩話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양경우가 자기 주변 인물들의 일화을 중심으로 엮은 시화집. 1647년(선조 25)에 간행된 그의 문집인 『제호집 霽湖集』 11권 3책 중 권9 시화부문을 뒤에 홍만종(洪萬宗)이 『시화총림 詩話叢林』에 간추려 수록하였다. 서울대학교 도서관도서에 있는 『어우

  • 제호연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낙질본. 「제호연록」은 도학군자인 화진(또는 화형옥)과 동생인 승상 화태형, 그리고 임부인·윤부인·남부인으로 이루어진 화씨가문을 중심으로 하여 줄거리가 전개된다. 여러 가문이 얽혀 벌이는 결연과 가정 내에서의 쟁총과 애증이 주

  • 졍광쥬피란록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한글 첩장본. <정광주피란록>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되, 실기의 형식을 빌려 쓴 소설이다. 그러면서 이 소설은 다른 고전소설과 두 가지 측면에서 다른 면모를 보인다. 하나는 임진왜란이라는 특정한 하나의 사건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 조경 / 趙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7∼1789). 1763년(영조 39)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예문관검열을 거쳐 부제학·대사성을 지낸 뒤 정조가 즉위하면서 공조참판이 되었다. 그 뒤 좌승지·승문원제조·실록청당상관·대사헌을 지내고,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민폐를 없애고 군무

  • 조경 / 趙絅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69(현종10). 조선 후기의 문신. 수곤 증손, 할아버지는 현, 아버지는 익남이다. 어머니는 유개의 딸이다. 윤근수의 문인이다. 1626년(인조 4) 정시문과에 장원, 정언·교리·헌납, 대제학, 형조판서, 회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

  • 조경남 / 趙慶男 [문학/고전산문]

    조선시대 『난중잡록』, 『속잡록』 등을 저술한 의병장. 전라북도 남원 출생. 아버지는 사직 조벽(趙璧)이며, 어머니는 남원 양씨이다. 삼학사(三學士)의 심양(瀋陽) 순절소식에 충의를 읊기도 하였다. 사후 주포서원(周浦書院)에 향사됐다. 13세 때인 1582년(선조 15

  • 조계원 / 趙啓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준수 증손, 할아버지는 남, 아버지는 존성, 어머니는 이신충의 딸이다. 신흠의 사위로 숙부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뒤에 이항복의 문인이 되었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경기감사, 동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