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정영방 / 鄭榮邦 [종교·철학/유학]

    1577년(선조 10)∼1650년(효종 1). 조부는 정원충, 생부는 정식, 양부는 정조이다. 정경세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 38) 을사 증광시 진사 3등 64위로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광해군이 즉위하여 실정을 거듭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 정영제구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 1책. 「정영제구전」은 정영과 공손저구가 보여준 인간으로서 해내기 어려운 충의대절과, 억울하게 죽은 조삭 일문의 원수를 어렵게 살아난 아들 조무가 갚는다는 이야기다. 즉, 중국의 역사적 사실이면서 소설의 소재로 되기에 충분한

  • 정영진 / 鄭榮振 [종교·철학/유학]

    1673∼1728 (현종 14∼영조 4년) 아버지는 태세, 어머니는 성산 도씨이다. 7세부터 아버지 졸수공을 스승으로 모시고 공부했으며, 학문과 글에 큰 성과가 있어서 스승의 유사를 찬집하게 되었다. 그러나 과거에 합격하지는 못했다. 1708년(숙종 34) 부친상 이후

  • 정영후 / 鄭榮後 [종교·철학/유학]

    1569년(선조 2)∼1641년(인조 19). 관직은 참봉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시 화가 어머니에게 미칠까 두려워하여 몸을 드러내어 적 앞에 어정거리니 적이 쫓아 와서 어머니가 위험을 벗어날 수 있었다. 적에게 잡혀 위협을 당했지만 조금도 안색의 변함이 없이 땅바닥에 “

  • 정오품 / 正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위

  • 정옥 / 鄭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60). 탁 5대손, 시영 증손, 할아버지는 집, 아버지는 석제, 어머니는 김정희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지평·좌승지·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정옥량 / 鄭玉良 [종교·철학/유학]

    1395(태조 4)∼1447(세종 29).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정사중, 어머니는 임급의 딸이다. 길재와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 박팽년·유성원·정창·이석형·정준 등과 교우가 두터웠다. 세종 때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봉직랑행하양현감에 임용되었으나 곧 향리에 은거하였

  • 정온 / 鄭蘊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유명이다. 어머니는 강근우의 딸이다. 1601년 (선조 39)에 진사,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시강원겸설서·사간원정언을 역임하였다. 광주의 현절사 제주의

  • 정와문집 / 貞窩文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황용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헌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11권 6책. 목판본. 이 책은 헌종연간(1835∼1849)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희화(金熙華)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사(詞) 1편, 시 125수, 권2·3은 시 266수, 권4∼6은 서(書)

  • 정우량 / 鄭羽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4). 시성 증손, 할아버지는 인빈, 아버지는 수기, 어머니는 윤희수의 딸이다. 휘량의 형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좌승지·이조참판·병조판서·우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뛰어났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