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정로 / 鄭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순절신(1751∼1811). 홍경래의 난때 적에 의하여 군아가 함락되자 난군에 합세하기를 거부하다가 피살되었다. 이때의 순절로 난이 평정된 뒤 집의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이조참판·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에 가증되었다. 가산의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 정로위 / 定虜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중기에 있었던 한량 계층 중심의 병종. 1512년(중종 7) 6월에 처음 설치되어 광해군대까지 존속하였다. 1480년(성종 11) 11월에 야인의 침입에 대비해 시험적으로 설치한 바, 1512년에 설치한 정로위와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다. 정로위는 기본적으로 이러

  • 정리사 / 整理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에 설치된 정리소의 정2품 관직. 정리소의 총책임자로서 수원유수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정리소는 1794년(정조 18)에 완성된 수원성 축조, 장헌세자의 현륭원 정화, 수원행궁의 정비, 영흥본궁의 수리, 온양 행궁의 정비를 기념하기 위한 수원에서의 대규모

  • 정만석 / 鄭晩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1834). 1785년 성균관전적·병조참의를 거쳐 1794년 양근·가평어사가 된 뒤 호남·호서 암행어사로 나가 명성을 떨쳤고,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자 민심수습을 위하여 관서위무사로 파견되었다. 1819년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광주부

  • 정만시 / 鄭萬始 [종교·철학/유학]

    1759년(영조 3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정수륜, 조부는 정광충이다. 부친 정창조와 모친 조윤성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82년(정조 6) 알성시에서 을과 1위로 급제하였고, 1784년(정조 8) 홍문록에 선발되었다. 성환찰방, 교리, 영남안사어사를

  • 정만양 / 鄭萬陽 [종교·철학/유학]

    1664년(현종 5)∼1730년(영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주, 어머니는 김방렬의 딸이다. 종조부 시연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동생 규양과 함께 수학하였다. 그는 동생 규양과 함께 경사에서부터 성리학·예학·천문·지리·역학·경제·정치·율려·과제 등에 이르기까

  • 정면수 / 鄭勉洙 [종교·철학/유학]

    1821년(순조 2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정후기 후손, 고조는 정문주, 증조는 정관휘, 조부는 정희중이다. 부친은 정석민, 모친은 강순의 딸이다. 생부 정석조와 생모 이중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오치현의 딸이다. 1861년(철종 12) 식년시 문과에서

  • 정명세 / 鄭名世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희장이다. 1570년(선조 3)에 진사가 되고 1579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해미현감으로 충청도 전 제독관 조헌의 휘하로 진주성에 들어가 사수하다가 성이 함락되면

  • 정묘기 / 丁卯旗 [정치·법제]

    국왕의 대가 의장에 쓰이는 깃발. 정축, 정사, 정미, 정유, 정해와 함께 육정기로 통칭된다. 고려 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 군사를 움직일 때 육정신이 돕는다는 인식이 존재, 세종대 의장물 대신 의장기를 대폭 보완하는 의장 제도를 마련하면서 군사를 움직일 때 무사를 기

  • 정묵재집 / 靜默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상일의 시·소·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시 36수, 사(辭) 1편, 소(疏) 3편, 기(記) 2편, 설(說) 1편, 제문 7편, 권2는 상량문 1편, 행장 1편, 권3은 부록으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