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장위항 / 張緯恒 [종교·철학/유학]

    1678년(숙종 4)∼1747년(영조 23). 조선 후기 의병·문신. 증조는 장용경, 조부는 장연이다. 부친은 장옥상과 모친 이세구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도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 생원 3등 15위로 합격, 1727년(영조 3) 증

  • 장유 / 張維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38(인조 16). 조선 중기의 문신. 자중 증손, 할아버지는 일, 아버지는 운익, 어머니는 박숭원의 딸이다. 우의정 김상용 사위로 효종비 인선왕후의 아버지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 대

  • 장응규 / 張應奎 [역사/조선시대사]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무신. 을묘왜변 중에 봉사 정윤과 함께 장수로서 강진에 파견, 휘하의 군사 2백여 명만 죽고 장응규 혼자 돌아왔다. 안악의 교생으로 있던 1556년(명종 11)에 수군 윤순을 고발하는 계본을 올렸는데, 의금부에서 이를 조사하는 중에 계본의 내용

  • 장의 / 掌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식(掌食)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찬(司饌, 종 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세자궁에 약을 다리고 올리는 등 약에 관한 제반임무를 담당하였다

  • 장익성전 / 張翼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의 영귀한 출생과 고생스러운 성장, 천정배필과의 결연, 산사 도승에 의한 수련, 역적들의 반란을 평정하여 황제와 국가에 충성하는 무용담이 주축을 이루는 전형적인 영웅소설이다. 다른 영웅소설들이 대부분

  • 장인걸전 / 張仁傑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권 2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서 주인공의 출생설화와 출세설화(出世說話)는 다른 고전소설에서는 보기 힘든 독창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아버지의 개과천선에 하늘이 감동하여 주인공을 점지해주는 내용은 「이윤구전(李允九傳)」과 유사하다. 주

  • 장자방전 / 張子房傳 [문학/고전산문]

    중국 소설「서한연의(西漢演義)」를 초역(抄譯)한 고전소설. 3책(총 58장). 국문 방각본(南谷新板). 본문 표제는 ‘장자방젼 일명은 초한긔략이라’로 되어 있다. 김태준(金台俊)은 일찍이 “그 중에도 「서한연의」는 가장 인상깊게 애독되어……그 일부분씩을 적출(摘出)하여

  • 장잠 / 張潛 [종교·철학/유학]

    1497년(연산군 3) 6월 26일∼1552년(명종 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은 장충순이다. 조광조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조광조가 죽음을 당한 후 은거하여 죽정정사를 짓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묘갈명은 족손인 장현광이 지었다. 그의 문집으로『죽정일고』가 전해진다.

  • 장장 / 掌藏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봉(掌縫)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칙(司則, 종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이들의 임무는 주로 세자궁의 재물과 비단옷감 등을 관리하였다.

  • 장전 / 長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 각 역의 역장에게 절속된 토지. 고려시대는 983년(성종 2) 이래 대로역과 중로역에 각기 장전 2결씩이 지급되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의 경우는 ≪경국대전≫에 의하면 각 역의 역장에게 장전 2결씩이, 부역장에게는 부장전 1결50부씩이 지급되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