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자음이체자 / 子音異體字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에서 초성과 종성에 쓰이는 자음 문자로 창제한 반설음 ‘ㄹ’, 반치음 ‘ㅿ’, 아음의 ‘ㆁ’을 아울러 이르는 말. 훈민정음』의 초성자는 먼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 문자인 ‘ㄱ, ㄴ, ㅁ, ㅅ, ㅇ’를 만들고 소리가 센 까닭에 획을 더하여 ‘ㅋ, ㄷ,

  • 자의 / 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세자부와 조선 후기 세자시강원의 관직. 참하관(정7품)으로 정원은 1인. 고려시대에는 충렬왕대(1275∼1308)에 세자부의 하위관원으로 겸관의 자의 이하를 두면서 성립되었으며, 공양왕대(1389∼1392)에는 춘방원에 소속되어 지원사의 지휘하에 행정사무를

  • 자적 / 自適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옥봉(李玉峰)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작자의 문집인 『옥봉집』에 수록되어 있다. 늦은 봄날의 한가한 서정을 읊은 시이다. 1·2구에서는 비가 온 뒤 낙수물이 뚝뚝 듣는 날에 대나무로 엮은 베개를 베고 있으려니 새벽녘에 한기가 느껴진다고 하였다. 3·4구

  • 자지 / 慈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왕모나 왕비가 내린 전교.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중종반정 때 정당성을 언문교지로 중외에 반포한 사실이나, 인조반정 때 인목대비 김씨의 반포문 등은 모두 자지에 속한다. 또한, 명종이 즉위했을 때 문정왕후 윤씨의 수렴청정시의 교지와 선조가 즉위했을 때 인순왕후 심씨, 순

  • 자초도회소 / 煮硝都會所 [과학기술/과학기술]

    화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염초를 달여 얻기 위해 1450년(문종 즉위년)에 각 지방에 설치했던 임시관청. 문종은 화기의 개량과 발전, 병제의 개혁과 일반 과학기술의 발전에 많은 업적과 염초자취법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문종은 즉위년 9월에 여러 읍을 단위로 하여 경

  • 자치통감 / 資治通鑑 [종교·철학/유학]

    사마광이 편찬한 중국 통사를 1436년(세종 18) 세종의 명을 받은 윤회·권제 등이 교정하고 주석을 첨삭하여 간행한 책. 보물 제1281호. 3권 1책. 사마광의『자치통감』은 총 294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국 주 위열왕 23년(B.C.403)부터 오대의 주 세종

  • 자치통감강목 / 資治通鑑綱目 [종교·철학/유학]

    1438년(세종 20)에 간행된 중국의 역사서. 1책. 활자본. 보물 제552호. 『자치통감강목』은 송나라의 주희가 사마광이 지은『자치통감』을『춘추』의 체재에 따라 사실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을 따로 세우고 사실의 기사는 목으로 구별하여 편찬한 것이다.

  • 자치통감강목 / 資治通鑑綱目 [역사]

    편년류(編年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45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5.7×22.3cm, 반곽은 25.5×16.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강목(綱目)이다. 송(宋)의 주희(朱熹)가 편찬하였다. 권수는 44권 45책이다.

  • 자하시고 / 紫霞詩稿 [언론·출판]

    저자 신위(1769-1847).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6장 이다. 표제는 <자하시편>으로 되어 있다. <국화>와 <족박성림추관춘주지구>는 이 책에서 처음 발견된 작품이다.

  • 자한 / 自恨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매창(李梅窓)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 3수로 작자의 문집인 『매창집(梅窓集)』에 수록되어 있다. 봄날 이별한 임을 그리는 애틋한 정을 읊은 시이다. 1·2구에서는 동풍이 불어오는 어느 봄날, 밤비를 맞으며 버들잎과 매화꽃이 다투어 피어나는 경치를 묘사하고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