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임경주 / 任敬周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45년(영조 21).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임승, 조부는 임사원이다. 부친 임적과 모친 윤부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으로 녹문 임성주가 있다. 부인은 김응복의 딸이다. 18세에는 당시의 문사 황경원·이인상·이보행과 벗 원경여 등이 아끼

  • 임계영 / 任啓英 [종교·철학/유학]

    1528(중종 23)∼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희중이다. 1576년(선조 9)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 능성현령 김익복, 진사 문위세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전라우도 의병장

  • 임계탄 / 壬癸歎 [문학/고전시가]

    1732년부터 1733년까지 지속된 전라도 장흥 지역의 흉황과 학정을 묘사한 작자 미상의 현실비판가사. 「임계탄」은 현존하는 최초의 현실비판가사이다. 작품의 어조는 장중하며 직정적인 표현이 억제되어 있어 19세기의 현실비판가사와는 일정 정도 차별된다. 전반적으로 체제

  • 임고서원 / 臨皐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에 있는 서원. 1553년(명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의 덕행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임고면 고천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54년에 ’임고‘라 사액,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3년(선조 36) 현재의 위치로 이건, 이듬

  • 임광재 / 任光載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부마. 할아버지는 원준, 아버지는 사홍이다. 예종의 딸인 현숙공주의 남편으로 1475년(성종 6) 숭덕대부 의빈부의빈이 되었으며, 1485년 숭덕대부 풍천위, 1492년 풍천위가 되었다. 유배 도중 병이 나 강릉 우계현으로 유배지

  • 임규 / 任奎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영로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준백, 어머니는 이발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 1670년(현종 1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정언·장령·집의·수찬·경주부윤 등

  • 임대년 / 任大年 [종교·철학/유학]

    ?∼1695 조선후기 문신. 임백영 현손이다. 집안의 의장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도와주었으며, 흉년이 든 해에는 자기의 전토를 팔아서 이웃과 마을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었는데, 그 숫자가 수천 명이었다고 한다. 상신 이단하가 인재로 조정에 아뢰어 경양찰방을

  • 임방 / 任埅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영로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의백, 어머니는 김상의 딸이다. 송시열과 송준길의 문인이다. 1701년(숙종 27)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장령·승지·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논어취분』·『사가할영』·『

  • 임백경 / 任百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0∼1864). 임조용 증손, 할아버지는 임희직, 아버지는 임존상, 어머니는 남속의 딸이다. 1827년(순조 27)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형조판서·비변사당상 등을 역임했다. 1856년(철종 7)에는 동지사로 청나라를 다녀오기도 했다. 저서로

  • 임벽당김씨 / 林碧堂金氏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임벽당집』을 저술한 시인. 본관은 의성(義城). 별좌(別座) 김수천(金壽千)의 딸이며, 기묘사화 때 고향인 한산(韓山)으로 돌아가 은거한 유여주(兪汝舟)의 계실이다. 시집으로 『임벽당집』이 규장각과 일본인 다카하시[高橋亨]에게 있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

페이지 / 1029 go